'섬진강 시인' 고향도 물에 잠겼다…김용택 "수공 물관리 미흡"

중앙일보

입력 2020.08.14 19:2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 시인. [중앙포토]

지난 8일 집중호우로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살고 있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섬진강 시인'이 사는 마을도 최근 집중호우로 물바다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용택(72) 시인이 태어나고 자란 전북 임실군 덕치면 장산리 진메마을 이야기다. 
 
 김 시인은 '섬진강' '섬진강을 따라가 보라' 등 섬진강을 배경으로 한 시와 산문을 많이 써 '섬진강 시인'으로 불린다. "자연을 삶의 한복판으로 끌어들여 절제된 언어로 형상화해 김소월과 백석을 잇는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도 수해
'섬진강 시인' 김용택 고향으로 유명
논·밭 침수 피해…마을회관 물에 잠겨
김 "수백년 느티나무에 쓰레기 걸려"
"댐 관리 철저했다면 피해 없었을 것"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김 시인은 지금도 섬진강이 코앞에 보이는 고향 마을에 산다. 그런데 지난 8일 400㎜ 가까운 폭우가 쏟아져 그가 시를 쓴 배경이 된 섬진강이 범람해 마을 전체를 덮쳤다. 
 
 김 시인의 집은 직접적인 수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23가구가 모여 사는 시인의 마을 논과 밭 대부분이 물에 잠겨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망가졌다고 한다. 김 시인은 14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홍수 피해가 커진 이유에 대해 "(한국수자원공사의) 물 관리가 미흡했다"고 했다. 
 
다음은 김 시인과의 일문일답.


-어떤 피해를 봤나.  
"(지난 8일) 비가 많이 오고 (섬진강댐에서) 방류할 때 마을 전체가 물에 잠겼다. 저희 집은 직접적인 피해는 안 봤다. 집 앞 3~5m에서 물이 물러갔다. 그래도 (집 앞까지 들이닥친) 물과 (집 내부) 서재가 가깝다. 모든 자료가 그 속에 싹 들어 있는데 개인적으로 그게 (훼손될까) 가장 겁났다. 다른 사람들은 논밭이 유실됐는데 '무슨 책이냐'고 그럴 것 같아 말을 못할 뿐이다."


-폭우가 쏟아질 때 어디에 있었나.
"집에 있었다. 물이 벅차오르는 걸 봤다. 물이 집 가까이 오니 그렇게 무서울 수가 없었다. (마을)회관까지 물이 들어왔다. 논과 밭은 사라졌다. 삭막하고, 정신이 아득했다. '세상에 이런 일이' 같은 말만 나오고 말이 이어지지 않았다."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마을이 섬진강과 가깝나.
"우리 마을이 섬진강에서 제일 가깝다. 강에서 40~50m 떨어져 있다. 지금까지 500년 동안 한 번도 물이 (마을 안까지) 들어와 본 적이 없다고 한다. 수해가 나면 사람들이 '옛날에는, 옛날에는' 그러잖나." 


-어떤 마을인가.  
"동네가 작다. 23가구가 산다. 노인들만 산다. 이장만 빼고 일흔이 다 넘었다. 나도 (한국 나이로) 일흔셋이다. 남원 등 다른 데가 너무 (홍수) 피해가 커서 거기다 대면 여기는 말하기 그렇다. 하지만 동네로만 놓고 보면 수해가 크다. 마을 앞 전체 논과 밭이 유실됐다. 큰 땅은 아니지만, 물살이 지나간 뒤 논밭 형체가 없어졌다. 집도 한 채가 수몰됐다. 방 안까지 가득 찼다. 집들이 높고 낮기 때문에 일부는 (침수) 피해를 봤다. 길은 완전히 없어져 고립됐다."


-논밭엔 뭐가 있었나.
"벼와 나무 등을 심었다. 특히 고추 농사를 망친 집이 몇 곳 된다. 콩·깨 등 곡식들이 흔적도 없이 가버렸다."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지난 8일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해 논과 밭 등이 물에 잠긴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메마을. '섬진강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72) 시인의 고향이자 현재 그가 사는 곳이다. [사진 김용택 시인]
-살면서 마을에 이 정도로 물난리가 났던 적은.  
"7년 전에도 한 번 있었다. 그때도 댐 관리를 잘못해서 수몰됐다. 근데 그때는 물이 들어왔다가 금방 빠져나갔다. 지금처럼 수마가 할퀸 적은 없다. 더구나 그때는 내가 전주에 있을 때 당했기 때문에 직접 물은 안 봤다."


-주민들은 어떻게 대피했나.
"옷가지와 돈 등을 가방에 집어넣고 짐을 쌌다. 동네에서 이장 집이 높은 곳에 있다. 그 집은 물이 안 들어가서 할머니들이 조그만 가방을 짊어지고 거기로 올라갔다. '망연자실'이란 말이 거기서 나온 것 같다. 물이 마을로 금방금방 들어오는데 사람들이 새하얗게 질렸다. 손을 쓸 수가 없었다."  
 
-고향 마을은 작품의 배경이 된 곳인데.     
"농사 짓고, 제가 놀던 데다. 강변도 뒤집어져 버드나무가 끊기고 껍질까지 벗겨졌다." 


-가장 가슴 아팠던 장면이 뭔가.
"커다란 느티나무 두 그루가 마을 앞에 있다. 200~300년 됐다. 느티나무는 마을마다 그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여름 내내 느티나무 밑에서 씨름도 하고, 돌 던지기도 하고, 장기도 뒀다. 단옷날 그네도 탔다. (이번 폭우로) 마을의 상징인 느티나무가 물에 잠겼다. 어마어마한 느티나무가 물 가운데에 있었다. 어른 키보다 높아 손이 안 닿는 데까지 (물이 차) 느티나무 가지에 쓰레기가 걸려 있었다." 


-현재 마을 상황은 어떤가.
"본격적인 복구는 시작 안 됐다. 아침에 포클레인 몇 대가 동네에 왔다. (임실)군에서 중장비를 동원해 길은 치우고, 강변에 쓰러진 나무는 뽑아내고, 논밭은 보토(補土, 흙을 채워 메움)를 해야 한다."


-이번에 왜 홍수 피해가 컸다고 보나.
"많은 사람들이 '비도 많이 왔지만 (섬진강댐) 방류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물을 빼긴 했지만, (미리) 더 많이 뺐어야 하는데 (갑작스러운) 방류 때문에 일(수해)이 일어났다. 수공(한국수자원공사)에선 '자연재해'라고 한다. 마을 주민의 한 사람으로서 물이 불어나는 걸 봤을 때 물 관리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평소에 수공이 물을 관리할 때 긴급 재난이 닥치기 전에 일기예보라든지, 여름이니 장마도 있을 것이고, 이런 것에 충분히 대비했는지 의심이 간다. 일방적으로 방류 때문에 수해가 났다고 주장할 수 없지만, 댐 물 관리가 미흡했다고 본다. 댐 관리를 철저히 했다면 이런 일은 없었을 거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남원, 구례 등 (홍수 피해가) 커다란 데는 보도가 됐다. 국민이 알고 있다. (피해가) 커다란 데 말고 작은 곳도 수마가 할퀴어서 고통받는 사람들도 있다는 걸 알아줬으면 한다." 
 
임실=김준희 기자 kim.junhe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