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빠진 자리에 동학개미군단 등장···주가반등 시점은 언제

중앙일보

입력 2020.04.02 08:44

수정 2020.04.02 10:2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동학개미군단의 꿈은 언제 이뤄질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19) 패닉 와중에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강력한 매수세력으로 등장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던진 물량을 사들여 뜻하지 않은 증시의 ‘한국화(koreanized)’가 꽤 이뤄지고 있다. 이른바 ‘동학개미군단’의 등장이다.

1일(현지시간) 미 주가 급락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입에서 시작됐다.

 
동학개미군단의 바람은 하루라도 빨리 글로벌 시장이 반등하는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달의 시작인 1일(현지시간) 미국 주가는 다시 4% 넘게 추락했다.
이날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는 973.65포인트(4.44%) 추락한 2만943.51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14.09포인트(4.41%) 내린 2470.50에, 나스닥도 339.52포인트(4.41%) 떨어진 7360.58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방아쇠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었다. 트럼프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30일간의 사회적거리두기 생활지침을 발표했다. 그는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매우 힘든 2주를 앞두고 있다. 매우, 매우 고통스러운 2주가 될 것"이라고 특유의 강조화법을 동원해 설명했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 미국 위기 사례를 살펴보니,
실물 침체가 끝나기 전에 바닥 찍고 올랐다.
올해 미 침체는 2분기 시작, 3분기 끝이 일반적 예상이다.
미 주가 반등 시점은 멀지 않지만, 전고점 회복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날 가파른 하락으로 ‘4월 안정’을 기대하는 심리가 약화했다. 하지만 증권시장 역사를 보면 전형적인 ‘저점(trough) 찾기’ 과정이다. 주가 등 자산 가격은 패닉 순간 장기 평균치 아래로 곤두박질한다.
  
주가 반등은 순식간에 되 튀어 오르지 않았다. 상당 기간 ‘죽은 고양이 반등(Dead Cat Bounce)’으로 착시 현상을 일으키기도 했다. 역사를 보면 이 모든 과정이 저점 찾기라는 게 증명돼 있다. 

그럼 언제쯤 반등하는 건데?

월스트리트 역사가인 존 스틸 고든은 기자와 인터뷰 등에서 “증시 참여자들은 패닉 순간 망각하는 사실이 하나 있다”며 “바로 주가는 조기경보기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 조기 경보기는 100% 엄밀하지는 않지만, 실물경제 침체가 끝나기 전에 반등했다”고 덧붙였다.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글로벌 주가 추락 순간에 대거 매입에 뛰어들었다.

 
실제 주가는 위기 초장에 곤두박질한다. 대공황 때 주가는 1929년 10월 추락하기 시작해 직전 고점 기준 86%  정도 떨어진 뒤 저점에 이르렀다. 반면 미 경제사에서 ‘요란한 60년대(Roaring 60s)’의 시작을 알린  60~61년 침체 때는 하락폭이 14%에 지나지 않았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미 주가는 올 2월 고점에서 30% 넘게 추락했다. 이후 반등과 하락을 되풀이하고 있다.
 
영국 경제분석회사인 캐피털이코노믹스(CE) 등은 미 경제의 침체가 2분기에 시작된 뒤 3분기(7~9월) 끝 무렵에 되살아나기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코로나19 사태가 예상보다 더 악화하면 이 시나리오는 물거품이 된다. 

주가가 반등해도 전고점 회복까지는 시간 걸린다 

CS는 이날 내놓은 보고서에서 “2월 고점이 미 기업의 평균 수익력 등에 견줘 버블 상태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2000년 닷컴거품 추락 직후처럼 주가의 저점찾기 기간이 오래가지는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미국 실물경제 침체 기간은 경제상황에 따라 제각각이었다. 파란 막대 그래프는 실물경제가 침체에 빠진 시점에서 저점에 이르까지 기간(개월), 검은 막대 그래프는 S&P500지수가 하락하기 시작해 저점을 벗어나기까지 기간이다.

이런저런 정황에 비춰 CS의 휴버트드바르케즈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추락한 주가가 반등하기까지 시간은 과거 위기  때와 견줘 짧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다만, 과거 위기 때 주가가 반등해 이전 고점 수준에 이르기까지 기간은 짧게는 2개월에서 3년까지 다양했다. 게다가 실물경제의 침체가 끝난 시점에 주가는 전 고점보다 20% 정도 낮았다.  
 
강남규 기자 disma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