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장원의 부동산노트]장관 아파트도 희비···김연철 짭짤했고 김현미는 울상 지었다

중앙일보

입력 2020.04.01 05:11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고위 공직자들이 서울 강남에 갖고 있는 아파트 공시가격이 올해 많이 오르고 보유세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사진은 강남 일대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지난달 말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 변동 내용에 따르면 장관 셋 중 한 명이 집을 두 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로 집계됐다. 차관은 4명 건너 한 명꼴이다. 장관급은 4분의 1이다. 
 
강남 3구에 집을 가진 공직자는 대부분 강남·서초구에 몰려 있다. 321가구(공동소유 포함) 중 강남구 125가구, 서초구 144가구, 송파구 52가구다.  

고위공직자 재산 공시가격 따져보니
강남 재건축 단지 준공 후 큰 폭 뛰어
6년 전 매입 때보다 집값 내리기도

321가구 중 15가구는 지난해 새로 늘어난 집이다. 주로 기존에 갖고 있던 재건축 단지가 입주했다.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와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등이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와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같은 재건축 이슈가 있는 단지를 매수하기도 했다.
  
다주택자이거나 강남 3구에 비싼 집을 갖고 있는 고위공직자는 올해 확 늘어난 보유세(재산세+보유세) 고지서를 받게 된다. 9억원 초과 고가 주택 중심으로 공시가격이 급등했고 종부세 세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2주택자의 세금 부담이 크다. 전년 분보다 늘어날 수 있는 보유세 한도(세부담상한)가 지난해 200%에서 올해 300%로 올라갈 예정이어서 지난해의 3배까지 세금이 늘어날 수 있다. 1주택자는 150%를 넘지 못하고 3주택 이상은 300% 그대로다. 


고위공직자들의 주요 재산 변동을 올해 공시가격까지 반영해 살펴봤다. 올해 공시가격은 지난달 19일부터 열람 중인 예정 가격을 활용했다. 관보에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 변동이 허술하기 때문이다. 실거래가격, 공시가격 등 기준이 들쭉날쭉이다. 올해 공시가격 확정 전이어서 '현재가액'으로 표시된 금액이 실제론 지난해 금액이다. '증가액'과 '감소액'의 부실 기재도 많다. 
 
조사 결과 대부분 공시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린 경우도 확인돼 명암이 엇갈렸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배우자가 가진 서초구 방배동 181㎡(이하 전용면적)와 같은 주택형 최고 공시가가 올해 13억5000만원(예정)으로 지난해 10억2400만원보다 32% 오른다. 종부세가 33만원에서 93만원으로 2배 넘게 늘며 보유세가 335만원에서 487만원으로 세부담상한까지 증가한다. 
 
이번 공개에서 가장 재산이 많은 주진숙 한국영상자료원장의 배우자가 서초구 반포동에 재건축을 추진 중인 140㎡ 갖고 있다. 공시가격이 지난해 29억2800만원에서 올해 34억1700만원으로 오를 예정이다. 보유세가 지난해 1970만원에서 올해 2877만원으로, 마찬가지로 세부담상한까지 증가한다. 세부담상한이 없으면 올해 보유세가 3900만원에 달한다.
  
재건축 대박이 눈길을 끈다. 조용만 한국조폐공사 사장 배우자의 강남구 개포동 재건축 단지 113㎡. 지난해 입주했고 올해 예정 공시가격이 24억원 선이다. 시세는 30억원 정도다. 
 
지난해 재산 내용을 보면 입주 전 분양권 등 가액이 11억8700만원이다. 재건축을 통해 11억8700만원이 30억원으로 재산 가치가 18억원 늘어난 셈이다.  
 
입주한 재건축 아파트의 올해 보유세가 종부세 1200만원 등 총 2000만원가량이다.  
 

장관 소유 수도권 아파트 공시가격.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반면 서울 아파트값이 과열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서도 줄곧 몸값이 떨어진 아파트를 가진 장관도 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유은혜 교육부 장관이다. 김 장관은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아파트 146㎡를 소유하고 있다. 재산 내용에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변동 없이 5억3830만원으로 돼 있다.
  
그런데 실제 몸값은 내렸다. 올해 예정 공시가격이 3억2900만원이다. 취임한 다음 해인 2018년 3억5400만원 이후 2019년 3억3800만원에 이어 2년 연속 하락세다.
 
김 장관은 이 아파트를 2014년 초 5억2000만원에 샀다. 당시 수도권 주택시장이 되살아는 분위기였다. 실거래가격이 2016년 5억4200만원까지 올랐다.
 
하지만 그 뒤 3년 넘게 거래가 끊겼다가 지난 2월 5억원에 2건의 거래가 이뤄졌다.
  
이 아파트는 준공한 2011년에 최고 거래가 8억4000만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공시가도 그해 가장 높은 5억800만원이었다. 준공 이후 몸값이 줄곧 내린 셈이다. 공시가격·실거래가 모두 40% 정도 하락했다.  
 
김 장관 아파트는 공시가격이 9억원 미만이어서 종부세 대상이 아니고 재산세만 낸다. 2018년 72만원에서 올해 65만원으로 줄어든다.   
 
유 장관의 일산동구 중산동 83㎡ 공시가격도 지난해와 올해 연속 내렸다. 2018년 2억원에서 지난해 1억9400만원, 올해 1억8100만원이다. 올해 재산세는 35만원 정도다. 실거래가격이 2018년 2억8400만원까지 올랐다가 올해 들어서는 2억4000만원대다.  
 
조정대상지역 지정을 통한 주택시장 규제(지난해 11월 대부분 해제)와 정부의 고양 창릉 3기 신도시 개발 등이 일산 아파트값 약세에 일조했다. 지난해 1년간 일산서구 3.47%, 일산동구 2.19% 각각 하락했다. 경기도 전체 평균(-0.76%)의 3~4배에 달하는 하락률이다. 안장원 기자 ahnjw@joongang.co.kr 데이터 분석=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