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문제된 리콜 제품 132개 버젓이 유통

중앙일보

입력 2019.02.13 06:0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해외에서 안전 등에 이상이 있어 리콜된 불량 제품이 국내 시장에서 지속해서 유통ㆍ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유럽ㆍ캐나다ㆍ미국 등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ㆍ불량제품 국내 유통 실태를 조사해 132개 제품에 대해 판매차단ㆍ무상 수리ㆍ교환 등의 조처를 하도록 시정 권고했다고 13일 발표했다. 

.

지난해에는 리콜 제품 유통 건수가 106개였던 2017년보다 2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32개 제품 중 국내 공식 수입ㆍ유통업자가 판매하는 ATV(All Terrain Vehicle·사륜형 이륜자동차), 승차식 잔디깎이 등 11개 제품은 사업자 자발적 교환 및 환급ㆍ무상 수리가 이루어졌다. 또 국내 공식 수입ㆍ유통업자가 판매하지 않거나 유통경로 확인이 어려운 121개 제품은 통신판매중개업자 정례협의체 등을 통해 판매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판매 차단 조치했다.

.

시정 조처된 132개 제품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되는 87개 제품 중 중국산이 35개(40.2%)로 가장 많았고 미국 제품(23개·26.4%)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아동ㆍ유아용품’이 38개(28.8%)로 가장 많았다. 아동ㆍ유아용품 중에서는 어린이가 부품을 삼킬 수 있다는 이유로 시정 조치된 사례가 절반이 넘었다. 음ㆍ식료품의 경우 세균 감염 우려가 있거나 유해물질이 검출돼 리콜된 사례가 33.4%였다. 화장품은 발암물질 등 유해물질 검출로 리콜된 제품이 66.77%에 달했다.    

아동 유아용품 리콜 사유

해외리콜 제품은 해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들어오고 리콜된 이후 판매를 차단해도 다시 유통될 가능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비자는 해외 직구나 구매대행을 통해 물건을 사기 전 소비자 위해 감시시스템(www.ciss.go.kr) 또는 열린 소비자 포털 행복 드림(www.consumer.go.kr)에서 리콜된 제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영선 기자 azu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