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평균 연봉 6700만원 공기업”…민주 “사내커플 빼야”

중앙일보

입력 2018.10.23 00:04

수정 2018.10.23 00:29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박원순 서울시장이 22일 오전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들 질의를 경청하고 있다. [뉴스1]

22일 서울시청에서 진행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선 야3당이 서울교통공사 채용 특혜 의혹을 두고 총공세를 펼쳤다. 반면 여당은 야당 주장을 반박하면서 ‘팩트체크’를 해야한다고 맞섰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국감 시작부터 서울교통공사가 올 3월 진행한 ‘가족 재직 현황’ 조사 등에 대한 자료 요청을 쏟아내며 서울시를 압박했다.  

한국당, ‘교통공사 채용특혜 의혹’ 총공세
민주당 “가짜뉴스 많다…팩트체크해야”

먼저 이현재 한국당 의원은 “교통공사가 채용 비리 관련 직원 조사를 했다는데 응답률 99.8%가 맞는지 아니면 11.2%가 맞는지, 전체 친인척 채용이 몇 명인지, 정규직 전환 인원은 어떻게 되는지, 이와 관련한 향후 정원 감축 계획이 있는지를 밝혀달라”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직원 10명 중 1명이 친인척이라는 게 정상적 공기업의 채용형태냐”고 몰아세우며 “적자가 5000억원인 공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이 6791만원인데, 이렇게 해서 경영 정상화가 어떻게 이뤄지겠나”라고 비판했다.  
 
이에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적자 중 3600억원 이상이 무임승차로 인한 적자”라고 설명했다. 교통공사의 영업이익 적자는 2015년 3454억, 2016년 3306억원, 2017년 5220억원으로 늘었고, 올해 6월까지 영업적자는 2596억원이다.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청년 일자리가 줄어든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정규직 전환에 따라 교통공사 정원이 1632명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김석기 한국당 의원은 “민주당 출신 전직 시의원 부인들이 서울시의회 개방형 공무원 직위에 들어온 사례가 여러 건 제보됐다”며 “시의회 개방형 직위에 전직 민주당, 열린우리당 시의원 출신 부인이 줄줄이 채용돼 근무하는 게 우연인가”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현직 입법담당관(4급)의 남편이 전직 시의원이며, 전직 입법담당관(4급) 지모 씨의 남편 역시 전 시의원이라고 주장했다. 또 전직 입법조사관(6급) 이모 씨 남편 역시 시의원 출신이라고 밝혔다.


한국당 의원들의 지적에 여당은 서울교통공사 의혹과 관련한 ‘가짜뉴스’가 많다며 ‘팩트체크’를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후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전문제가 흑자냐 적자냐 논리로 진행되는 게 참 안타깝다”며 “식당 직원, 목욕탕 직원의 정규직화가 안전문제와 관련이 없다고 하지만, 직원들이 휴식하고 편안하게 쉴 공간을 마련하는 게 안전문제와 왜 관련이 없냐”고 했다.  
 
이규희 민주당 의원은 “먼저 입사하신 직원이 있고 친인척이 나중에 입사하는 건데, 이렇게 따지면 가족 비율이 5.6%로 낮아진다”며 “각각 입사했다가 사내커플이 된 경우도 빼야 한다”고 말했다.
 
황희 민주당 의원도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 중 사내에 가족이 있는 경우가 전체 직원 1만7054명 중 0.6%인데 마치 어마어마하게 채용을 한 것처럼 말한다”고 지적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채용에 있어 어떤 불공정함이나 차별도 있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이번에 제기된 의혹에 대해 저희도 철저히 조사를 하겠지만, 더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사를 위해 감사원에 감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점 의혹도 없이 밝히겠다. 비리가 드러난다면 철저히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