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지지율 50%···남북 이슈에 하락세 멈춰섰다

중앙일보

입력 2018.09.14 10:53

수정 2018.09.14 11:2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하락 추세를 멈추고 소폭 반등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대법원 중앙홀에서 열린 사법부 70주년 행사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갤럽이 이달 11~13일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4일 발표한 결과,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50%였다(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 전주보다 1%포인트 올라 3주 연속 계속된 하락세를 멈췄다. 부정평가도 3%포인트 떨어진 39%로 조사됐다.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6월 지방선거 직후 이뤄진 조사(6월 14일)에서 79%를 기록한 후 3개월간 30%포인트가 빠질 만큼 하락세가 가팔랐다. 이달 7일 발표된 조사에서는 49%를 기록, 처음으로 지지율이 50% 아래로 떨어졌다. 지지율 하락 추세는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주도성장 부작용, 집값 상승 등 경제 이슈가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주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하락 추세를 멈춘 데는 남북 이슈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504명)들은 긍정평가 이유로 북한과의 관계 개선(22%), 대북ㆍ안보정책(14%), 최선을 다함(8%) 등을 꼽았다. 남북관계 개선은 전주보다 6%포인트 높은 수치다.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율[한국갤럽]

반면 직무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395명)들은 경제ㆍ민생 문제 해결 부족(41%)을 가장 많이 꼽았고, 대북 관계(14%), 최저임금 인상(7%), 부동산 정책(6%) 등이었다. 한국갤럽 측은 “여전히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경제ㆍ민생 문제 해결 부족’이 40%를 웃돌지만 9월 6일 평양 남북정상회담 확정, 2차 북미정상회담 가시화, 14일로 예고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소 등이 직무 긍정률 추가 하락을 저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40%), 자유정의당(12%), 자유한국당(11%), 바른미래당(8%), 민주평화당(0.5%)로 조사됐다. 지지 정당이 없다고 밝힌 무당층은 28%로 조사됐다. 전주 조사보다 민주당과 한국당, 바른미래당은 1%포인트 낮아졌고, 정의당은 변화가 없었다. 무당층은 3%포인트 늘었다.
 
한편 이번 조사에 응한 응답자들은 향후 1년간 집값 전망에 대해 50%가 오를 것이라고 응답했다. 내릴 것이라고 응답은 19%에 그쳤다. 7월 3~5일 이뤄진 조사에서는 집값 상승 전망은 29%, 하락 전망은 29%였다. 상승 전망은 21%포인트 올랐고, 하락 전망은 10%포인트 줄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도 박했다. 부동산 정책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6%에 그쳤고,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61%로 조사됐다.
 
다만 이번 조사에는 9ㆍ13 부동산 대책에 대한 반응은 반영되지 않았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