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6개월 '환경오염' 갈등 내포 열병합발전소… LNG로 전환

중앙일보

입력 2018.09.03 11:49

수정 2018.09.03 13:24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환경오염을 우려하는 주민 반대로 공사가 지연됐던 충남 내포신도시(홍성·예산) 열병합발전소 건설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충남도청 내포신도시(예산·홍성)에 건설 중인 열병합발전소 건설 현장. [연합뉴스]

 
충남도와 산업통상자원부, 내포그린에너지㈜는 3일 충남도청에서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소 청정연료 전환 선포식’을 열고 발전소 연료를 고형폐기물연료(SRF)에서 액화천연가스(LNG) 등 청정연료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포그린에너지는 LNG를 주 연료로 하는 열병합발전소(LNG발전 500㎿급·수소연료전지 60㎿급)를 건설, 내포신도시 등에 냉·난방 에너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충남도·산업부·내포그린에너지 '청정연료 전환' 선포식
고형폐기물연료(SRF),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화키로
난방 공급중단 위기 넘겨… 양승조 지사 "결단에 감사"

발전사업자인 내포그린에너지(롯데건설·한국남부발전 등 주주)는 2010년 8월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집단에너지사업 허가를 받고 지난 2016년 말 공사를 시작했다. 2023년까지 예산군 삽교읍 목리에 SRF를 사용하는 시설 1기와 LNG를 사용하는 시설 5기 등 규모였다.

충남도와 산업부, 롯데건설 등은 3일 충남도청에서 내포 열병합발전소 청정연료 전환 선포식을 개최했다. 사진 왼쪽부터 신정식 한국남부발전 사장, 박원주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하석주 롯데건설 대표이사. [사진 충남도]

 
하지만 지난해 3월부터 주민들이 대기오염물질 배출 등 환경오염 문제를 제기하면서 사실상 공사가 중단됐다.
 
산업부는 공사계획 승인을 보류하다 지난 6월 내포그린에너지가 환경부 장관의 통합허가를 받고 ‘상업운전 개시 전 주민과 합의한다’는 조건으로 공사계획을 승인했다. 연료도 SRF에서 LNG로 바꾸라고 권고했다.
 
이후 내포그린에너지와 충남도, 산업부는 연료전환을 위해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한 뒤 발전소 주 에너지원을 SRF에서 LNG로 변경하는 데 합의했다.


연료전환에 따라 임시보일러 도시가스요금 체납 등 주민들의 불안요인도 사라지게 됐다. 내포그린에너지에 도시가스를 공급했던 미래엔서해에너지는 체납액이 24억원에 달하자 도시가스 공급 중단을 예고하기도 했다.

충남도청과 충남도의회, 충남경찰청 등이 위치한 내포신도시(예산·홍성) 전경. [중앙포토]

 
양승조 충남지사는 “내포그린에너지가 정부의 친환경정책에 협조해준 덕분에 LNG 전환이 가능했다”며 “앞으로 집단에너지시설 건립에 차질이 없도록 행정적인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홍성=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내포열병합발전소 추진 일지
-2010년 8월: 롯데건설 집단에너지 사업 허가
-2013년 4월: 고형연료, 고형폐기물연료(SRF) 통합
-2014년 5월: 내포그린에너지㈜ 설립
-2016년 5월: 예산군, 건축허가 승인
-2017년 3월: 내포주민, SRF 연료 반대 시위
-2017년 7월: 충남도의회, 발전소 건립 중단 촉구
-2018년 6월: 산업부, SRF 공사계획 조건부 승인
-2018년 9월: 열병합발전소 청정연료 전환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