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때의 3.7%”…광주시, ‘북한참가’ 세계수영대회에 ‘올인’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2018.08.27 17:48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201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홍보대사인 박태환이 취재진의 질문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 시장, “세계 5대 메가 스포츠에 걸맞은 국비 지원해달라”
 
지난 13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과 호남권 시·도지사 간 예산정책협의회장. 이용섭 광주시장이 진지한 표정으로 마이크를 잡았다. 민주당 주요 당직자에게 내년 광주에서 열리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서였다. 이날 회의에는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와 이춘석 사무총장, 송갑석 예결위원 등이 참석했다.
 
이 시장은 “세계수영대회에 대한 국비 지원액(482억원)이 인천아시안게임의 8.1%, 평창동계올림픽의 3.7%에 그쳐 대회 준비에 어려움이 많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 5대 메가 스포츠이자 내년에 국내에서 개최되는 유일한 국제대회인 만큼 현재 1697억 원인 총 사업비를 2235억 원으로 증액해 달라. 국비 지원도 169억 원가량 더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시장은 “북한 선수단과 응원단, 문화예술단이 수영선수권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 의미와 준비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북한 참가 ‘촉각’…“평화물결 넘실대는 대회될 것”
 
내년 7월 광주에서 열리는 수영대회는 전 세계에서 열리는 5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다. 하계·동계 올림픽과 월드컵 축구, 세계육상선수권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대회에는 세계 200개국, 1만5000명이 참가한다. 한국은 내년 수영대회를 치르면 5대 메가 스포츠를 모두 개최한 4번째 나라가 된다.

이 시장, 수영선수권 예산확보 '총력'
“수영선수권, 세계 5대 메가 스포츠”

이 시장에게 수영대회는 각별한 의미가 있다. 취임 후 개최되는 첫 국제 스포츠 행사에 북한의 참가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이 시장은 지구촌 곳곳에서 10억 명이 지켜볼 대회를 통해 광주의 역량과 한반도의 평화 정착 모습을 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이 시장이 수영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려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 있다. 2015년 광주에서 열린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당시 시설비·운영비(6170억원)의 27% 수준인 사업비다. 지난달 이낙연 국무총리를 시작으로 김동연 경제부총리,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을 잇달아 만난 것도 정부의 추가 지원을 받기 위해서다. 이 시장은 현재 80억원인 개·폐회식 예산과 국제수영연맹(FINA) 측에서 요청한 문화행사나 경기장 조명·음향 등을 확충하는데 540억원이 추가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홍보대사인 박태환(왼쪽) 선수와 안세현 선수. [뉴시스]

이 시장은 “총사업비가 턱없이 부족해 범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며 “평창 동계올림픽이 평화의 물꼬를 텄다면, 광주 수영대회는 평화의 물결이 넘실대는 대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최경호 기자 ckha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