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 은하선 "페미니즘의 꿈은 승자 패자 없는 세상"

중앙일보

입력 2018.07.09 17:26

수정 2018.07.09 19:32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남성의 파이를 여성이 가져오면 평등한 걸까? 이기고 지는 게 없는 세상이 페미니즘의 상상이다.”
 
지난달 20일 만난 페미니스트 은하선(30)씨는 “약자, 소수자를 차별하거나 배제하지 않는 게 페미니즘”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스스로를 ‘성소수자(양성애자)’라고 부르는 은씨는 작가, 칼럼니스트이며 섹스토이 숍을 운영하고 있다. EBS(교육방송) 토크쇼 ‘까칠남녀’의 고정 패널이었던 그는 지난 1월 ‘성소수자편’에 출연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방송이 나간 이후 “교육방송에 동성애자가 나올 수 있느냐”는 일부 종교단체의 반발이 있었고 은씨는 방송 하차 통보를 받았다. 이어 그의 행보와 정체성 등을 이유로 예정된 서강대 강연이 취소됐고, 연세대 강연도 반발에 직면했다. 다음은 은씨와의 일문일답. 
 

지난달 20일 신촌의 한 카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중인 은하선씨. 성지원 기자

패널로 출연하던 방송 하차, 서강대 강연 취소에 이어 연세대에서도 논란이 있었다.
방송 이후 일부 보수 종교 단체들이 방송 반대 시위하고 성명서를 내 쉽지 않겠다는 생각을 했다. 내 도덕적 자질까지 이야기해 놀랐다. 이후 서강대, 연대 강연이 논란될 때 내게 "남성혐오자, 신성모독자"라고 했다. 나는 모태 천주교 신자다(웃음). 연대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가짜뉴스를 유인물로 만들어 배포하고 서명을 받았다. 내가 한 말이 드물었고 거짓 짜집기도 많았다. 변호사는 명예훼손으로 고소할 수 있는 수준이라더라. 
 
은씨의 강연 이후 학생들의 반발로 주최측인 연세대 총여학생회는 개편안 투표에 직면했다. 지난 6월 이를 두고 학생 총투표를 진행한 결과, 학부생 2만5896명 중 1만4285명(55.16%)이 참여해 82.24%가 개편안에 찬성했다. 일부 여학생들은 이를 '페미니즘 억압'으로 보고 투표를 거부하기도 했다. 개편 찬성자 일부는 은씨를 온라인 극우 커뮤니티인 ‘일베’를 따라 만들어진 여성 커뮤니티 ‘워마드’나 ‘메갈리아’ 구성원으로 여긴다.     


공격적인 페미니즘을 표방하는 워마드, 메갈과 은하선이 같다고 보는 이들이 많다.
페미니즘을 알아야 차이를 구분할텐데 관심없는 이들은 나를 워마드나 메갈로 생각해 발언을 왜곡한다. 나는 그들을 비판해왔다. 이들은 계속해서 성소수자 혐오, 가난 혐오, 난민 혐오 발언을 한다. 내게 페미니즘은 성기중심적 사고를 바꾸자는 거고 불평등에 대한 문제 제기다. 최근 난민들에 대한 이들의 태도를 보면 퇴보한단 생각도 든다. 난민이 들어오면 여성을 강간하고 해칠 거라고 하는데 되묻고 싶다. 그동안 한국 남성들은 얼마나 안전했나.
 

지난 5월 오전 서울 종로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EBS 까칠남녀' 폐지 인권침해-차별 국가인권위 진정 기자회견'을 마치고 은하선 작가(왼쪽 두번째)와 참석자들이 진정서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혜화역 시위는 어떻게 봤나. 
‘여자만 올 수 있다’고 할 때 여성의 안전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이 그렇게 모여 분노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준 건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생물학적 여성이라는 제한은 소수자 혐오로 이어질 소지도 있다. 분노는 운동의 원동력이 될 수 있지만 분노만 계속되면 운동은 살아남지 못한다.  
 
일각에선 페미니즘에 대해 “급진적이고 불편하다”는 말도 한다.
그들이 말하는 급진적이라는 게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다. 메갈과 워마드가 급진적이라는 건가. 여성들은 지속적으로 말해왔다. 페미니즘이 불편할 수는 있다. 여자, 남자를 떠나 자신이 살아온 게 맞다고 생각하고 세상의 부조리에 의문을 제기한 적 없다면 지금의 흐름이 불편한 건 당연하다. 나도 트랜스젠더 지인이나 낯선 이, 다양한 이들을 만나면 새로운 걸 알게 되고 과거의 나를 갱신한다. 지금의 내가 달라지는 걸 즐겁게 느껴보자.    
 

지난달 20일 신촌의 한 카페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한 은하선씨. 여성국 기자

탈코르셋 운동도 반향이 크다.   
꾸밈 압박에서 벗어난다는 건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모든 이들에게 화장이 억압일까. 그렇지 않은 이도 있다. 트랜스젠더에게 화장은 본인이 가진 자아를 확장하는 수단이다. 남성의 화장은 운동이 될 수도 있고. 세상이 입체적이듯 페미니즘 언어와 상상도 입체적이다. 화장과 짧은 치마를 단순히 억압으로만 보는 건 페미니즘을 납작하게 만들 수도 있어서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당신이 생각하는 페미니즘은? 
일각에서는 뷔페미니즘(뷔페와 페미니즘의 합성어)이라고 조롱한다. 뷔페처럼 여성들이 원하는 것만 골라 먹는다고 하는데 그게 페미니즘의 매력이다. 과거 결혼, 출산, 육아는 여성들의 의무고 애국이었다. 페미니즘과 비혼운동 등은 여기에 의문을 던지고 다양한 상상을 가능케 했다. 최근 일본과 독일, 프랑스도 결혼 대신 동거를 많이 한다. 페미니즘은 문화나 역사 속에서 다른 시선을 갖게 한다. 요구도 다양하다. 좋은 걸 골라 찾고 좋은 세상을 꿈꾸는 건 당연한 일 아닌가.  
 
그동안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해온 것들에 의문을 던져온 그가 웃으며 되물었다.  
  
여성국ㆍ성지원 기자 yu.sungku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