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돗물 ‘발암물질’ 검출에 시민들 분노 “발암물질로 분유 태워 먹였다”

중앙일보

입력 2018.06.22 17:14

수정 2018.06.22 17:16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22일 대구 수돗물 사태가 확산하면서 대구시민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이날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대구 수돗물 사태에 대한 정확한 규명과 책임자를 처벌해 달라는 등 관련 항의가 쇄도하고 있다.  

22일 오후 경북 구미하수처리장에서 방류한 물이 낙동강으로 합류하고 있다. 대구상수도사업본부는 "구미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수거해 분석한 결과 과불화화합물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과불화헥산술폰산이라는 과불화화합물이 배출된 것은 사실이지만 발암물질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22일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 청원 및 제안 게시판에는 “대구시 수돗물 발암물질 검출”이라는 제목의 청원글이 올라왔다.
 
게시자는 “정수도 안 되고 끓여도 안 되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생활에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물인데 낙동강 물이 이 지경이 되도록 뉴스에 한 번도 나오지 않고 심지어 인터넷 뉴스에도 올라오지 않는 게 정상인가?”며 되물었다. 그는 “TBC에서 딱 한 번 뉴스에 나온 것이 전부”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제까지 제 아기에게 발암물질로 분유 태워 먹니 고 그 물로 밥을 지어 먹이고, 씻기고, 옷을 빨아 입히다니…생각만 해도 화가 치솟는다”라며 “빠른 대안을 마련해주시고, 대구시민들이 알 수 있게, 전 국민이 알 수 있게 투명하게 밝혀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해당 청원글은 이날 오후 5시 기준, 2만 9339명의 참여를 얻었다.

[청와대 국민 청원페이지 캡처]

 
앞서 TBC 대구방송은 21일 대구상수도사업본부 ‘과불화화합물 대책’이라는 제목의 문건 내용을 입수해 보도했다. 이 문건에 따르면, 대구 매곡·문산 취수장에서 8종의 과불화화합물을 검사한 결과 과불화헥산술폰산 수치가 낙동강 원수에선 152.1~169.6ppt, 정수된 수돗물에선 139.6~165.6ppt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 산학협력단 연구보고서 등에 따르면 낙동강을 상수원으로 하는 대구 수돗물의 과불화화합물 농도는 78.1나노그램(ng)이었다.
 
이 같은 수치는 한강을 식수원으로 하는 서울 수돗물의 15ng과 비교해 5배가량 높다.
 
부산은 대구보다 더 높아 수돗물 과불화화합물 농도가 리터당 109ng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단은 지난해 1∼2월 전국 행정구역별로 가정 수돗물을 수거해 분석했다.
 
대구상수도사업본부가 지난 20일 구미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수거해 분석한 결과는 과불화화합물 농도가 리터당 100ng이었다.
 
과불화화합물을 아직 먹는 물 수질 기준으로 설정한 나라는 없으며 권고기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상수도사업본부는 “과불화헥산술폰산이라는 과불화화합물이 배출된 것은 사실이지만 발암물질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상수도사업본부는 “환경부가 배출원이 된 구미공단 내 관련 업체를 확인하고 시정조치를 했으며 이후 관련 농도가 낮아졌다”고 덧붙였다.
 
과불화화합물은 지난달 29일 환경부가 라돈과 함께 수돗물 수질 감시항목으로 새로 지정한 물질이다.
 
배재성 기자 hongodya@joongna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