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북·미 중재자 등판 … 남북핫라인 가동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2018.05.18 00:40

수정 2018.05.18 15:42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서울 마곡 연구개발단지에서 열린 ‘2018 혁신성장 보고대회’에 참석해 5G를 이용한 동작 인식 로봇을 직접 조작해 보고 있다. [김상선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재고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에서 북·미 양측의 ‘중재자’로 나설 것이라고 17일 청와대 관계자가 밝혔다.
 
청와대는 이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북·미정상회담이 상호 존중의 정신하에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미, 남북 간에 여러 채널을 통해 긴밀히 입장을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김의겸 대변인이 전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는 문 대통령이 중재자로서 역할을 더 적극적으로 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표현”이라며 “한·미 간에는 22일 정상회담을 통해 우리가 파악한 북한의 입장과 태도를 충분히 전하고, 북한에도 미국의 입장과 견해를 충분히 전달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김정은 속내 듣고 트럼프에게 전달
22일 한·미정상회담 전후 통화할 듯
정의용, 볼턴과 통화 … 사전협의 착수

핵심 중재 채널은 남북 정상 간 개통된 ‘핫라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 내에선 22일 회담을 전후한 두 차례의 남북 정상통화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한 핵심인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내밀한 의도를 정확히 전달할 채널을 가진 사람은 문 대통령뿐”이라며 “전날 대통령이 주재한 비공개 청와대 비서관 회의에서 순방 전후 통화를 유력하게 봤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은 이에 앞서 존 볼턴 백악관 NSC 보좌관과 전화통화를 하는 등 핫라인 통화에 앞선 사전작업에 착수했다. 정 실장과 통화한 볼턴 보좌관은 폭스뉴스 라디오에 출연해 “한국에서도 (북한의 의도를) 확실히 알지 못했지만, (회담 파기 등) 모든 것은 가능하다”라며 북한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 한국의 추가적 역할을 간접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규제 개혁 속도 내야”=문 대통령은 이날 마곡 연구개발 단지에서 열린 ‘혁신성장 보고대회’에서 “혁신성장의 걸림돌인 규제를 혁신하는 데 더 속도를 내야 한다”며 “규제 샌드 박스 관련 법 개정안 통과에 당·정·청이 더 힘을 써달라”고 말했다. 또 “법 개정 전이라도 규정과 지침 해석으로 허용 가능할 경우 규제를 과감히 풀어달라”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혁신성장은 당연히 민간 주도이지만, 정부의 촉진 역할도 필요하다”며 “초기에 시장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문 수요를 확대해야 한다. 혁신제품의 초기 판로를 여는 공공수요를 과감히 찾아내 달라”고 주문했다.


강태화·위문희 기자 thk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