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잘나가지만 … 장비업체는 세계 톱10에 하나도 없어

중앙일보

입력 2018.05.04 01:08

수정 2018.05.04 02:43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20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반도체 소재 업체인 A사는 늘 인력난에 시달린다. 이 회사 임직원의 평균 연봉은 5200만원으로 많은 편이지만 평균 근속기간은 5년이 채 안 된다.  
 
이 회사 인사 담당자는 “관련 분야 전공자가 별로 없고, 이들마저 대기업만 들어가려 하니 연구개발(R&D) 자체가 힘들다”며 “결국 회사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연구 인력 대기업에 뺏겨
인력난 → R&D 부실 → 경쟁력 저하

한국 반도체 산업이 역대 최대 호황을 맞고 있지만 장비·소재·부품 같은 이른바 반도체 후방산업은 이를 제대로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에 따르면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60%나 되지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0.1%다. 반도체 소재도 9.9%에 불과하다. 국내 업체 중 세계 반도체 장비 업계 10위권에 드는 곳은 한 곳도 없다.  
 
관련기사
 
국내 반도체 후방산업의 국산화율은 평균 30%에 못 미친다. 장비의 경우 국산화율은 18.2%다. 그러다 보니 국내에선 AMAT이나 램리서치 같은 미국 업체 제품을 주로 쓴다. 예컨대 삼성전자가 10조원을 들여 반도체 공장을 지으면 장비 구매에 평균 7조원을 쓴다. 이 중 5조6000억원은 외국 업체로 흘러간다는 얘기다.
 
인력난도 부담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업계 전체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2016년 기준)은 1.5%다. 그러나 후방산업만 따로 떼어 놓으면 5%에 달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반도체 장비업체인 에프에스티 장명식 회장은 “지난해 80명 정도의 직원을 뽑으려고 했는데 절반도 못 채웠다”며 “수년째 30~40명이 부족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그간 정부가 반도체 산업을 이른바 ‘대기업 산업’으로 분류하고 별다른 지원을 하지 않은 점도 후방산업을 ‘언더독’으로 만든 원인이다. 정부의 반도체 R&D 지원은 가장 많았을 때가 연간 900억원 선이었다. 그나마 올해는 아직 새 프로젝트 지원이 없다.
 
최재성 극동대 반도체장비공학과 교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를 개발하려면 공정이 더 복잡하고 까다로워져 이에 맞는 장비와 신물질 등 소재가 뒷받침해 줘야 한다”며 “후방산업의 지원이 없다면 결국 전방산업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는 “산학 연계, 중소업체 간 공동개발이나 연구개발비 직접 지원 등으로 기술혁신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