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마다 되풀이되는 신구 정부 갈등사

중앙일보

입력 2017.11.12 16:21

수정 2017.11.12 19:1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노태우 정부

노태우 정부 당시 '5공 청산' 여론이 거세지자 전두환 전 대통령은 백담사로 들어가 은둔했다(1988년 11월부터 2년간). 유배나 다름없었다. 백담사에서 책을 읽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모습. [중앙포토]

1988년 6월 국회는 제5공화국 정치권력 비리조사특별위원회(5공특위)를 설치했다. 전두환 정권이 재벌로부터 598억원을 모금해 비자금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을 밝히기 위해서다. 특위 청문회에서 증언대에 선 일해재단의 실무자 3명이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

 
◇김영삼 정부

김영삼 정부는 1995년 과거사바로세우기에 돌입해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구속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검찰 소환을 앞둔 그해 12월 2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앞에서 김영삼 정부를 비판하는 '골목 성명'을 발표하며 저항했다. [중앙포토]

전두환 전 대통령은 골목 성명 다음날인 12월 3일 구속돼 안양교도소로 이송됐다. 검찰 승용차 뒷좌석에 수사관 사이에 앉은 전 전 대통령이 눈을 감은 채 회한에 잠겨 있다. [중앙포토]

 
 
◇김대중 정부


김대중 정부는 집권 첫해인 1998년 외환위기 책임자 처벌에 나섰다. 감사원 감사와 뒤이은 검찰 수사로 김영삼 정부의 경제 수장이었던 강경식 전 경제부총리와 김인호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구속됐다. 김인호 전 수석이 그해 7월 서울지법에서 열린 첫 공판에 참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중앙포토]

 
◇노무현 정부

노무현 정부는 김대중 정부 당시의 대북 비밀송금 의혹에 대한 특검을 수용했다. 동교동계는 강력 반발했다. 2003년 6월 박지원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대북송금 특검 사무실에 출두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중앙포토]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 첫해인 2009년 검찰은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뇌물를 수수한 혐의로 노무현 전 대통령을 수사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4월 30일 조사를 받기 위해 서초동 대검찰청에 들어서고 있다. 노 전 대통령 오른쪽은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중앙포토]

2009년 5월 29일 서울 시청앞 서울광장에 도착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 행렬. [중앙포토]

 
◇박근혜 정부

박근혜 정부 때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가 이뤄졌다. 고(故)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이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인사로 지목돼 검찰 조사를 받았다. 검찰이 2015년 3월 경남기업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중앙포토]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가 적폐청산에 돌입하며 이전 정부 인사들에 대한 대대적인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12일 인천공항을 통해 바레인으로 출국하기에 앞서 ’(적폐청산이) 감정풀이나 정치보복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고 밝히고 있다. 최정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