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 "청탁금지법 효과"…“더치페이 늘었다” 44%

중앙일보

입력 2017.09.20 21:31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변호사회관에서 서울지방변호사회와 청탁금지법연구회 주최로 열린 '청탁금지법 시행 1년, 법적 과제와 주요 쟁점에 관한 심포지엄'에서 정형근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장(가운데)이 '청탁금지법의 입법 경과와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 1년을 앞두고 이뤄진 설문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9명은 효과가 있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동균 서울시립대 교수는 20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한국사회학회 주최로 열린 ‘청탁금지법 1년과 한국사회 학술대회’에서 이런 내용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은 지난해 11월과 올 8월 두 차례에 걸쳐 이뤄졌다. 1차 조사 대상자는 1566명이었고, 이 중 1202명을 대상으로 2차 추적조사가 이뤄졌다.
 
 2차 조사에서 응답자의 89.5%가 청탁금지법이 효과가 있었다고 답했다. 45.5%가 '약간 있었다', 38.2%가 '어느 정도 컸다' , 5.5%가 '매우 컸다'고 답했다. 반면 '별로 없었다'는 9.9%, '전혀 없었다'는 0.6%에 불과했다. 응답자 52.9%는 실제 직무 관련 부탁이 법 시행 초기보다 줄어들었다고 답했다. 55.4%는 선물 교환이 줄어들었다는 의견을 내놨다.


 또 '더치페이'가 늘어났다고 응답한 비율이 43.6%였으며, 36.6%는 단체식사가 줄었다고 답해 청탁금지법이 회식문화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탁금지법의 식사·선물·경조사비 등 제한과 관련해 규제의 강도가 더 강해져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절반에 가까운 48%였다. 공직자 등 청탁금지법 적용 대상자인 응답자 가운데서도 36.6%가 규제가 '더 강화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1차 조사의 34.3%보다 소폭 늘어난 수치다.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타격은 예상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인 응답자의 70%가 '수입이 예전과 별 차이 없다'고 답했고, '약간 감소했다'는 18.8%, '크게 감소했다'는 8.8%에 그쳤다.
 
 최계영 서울대 법대 교수는 이날 학술대회에 참석해 "청탁금지법 총괄기관인 국민권익위원회에 법 위반 사항에 대한 조사권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