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사태 터지자마자 문건 모두 파쇄했는데…"

중앙일보

입력 2017.07.18 07:44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청와대 박수현 대변인이 14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과거 정부 민정수석실 자료를 캐비닛에서 발견했다고 밝히며 "고(故) 김영한 민정수석의 자필 메모로 보이는 문건"이라고 공개한 문건. [연합뉴스]

청와대가 경내 정무수석실 소관 사무실에서 박근혜 정부 대통령 비서실장이 주재한 수석비서관 회의 결과를 비롯한 1361건의 전 정부 청와대 문서를 추가로 발견했다고 밝힌 데 대해 한 전직 행정관이 관련된 모든 문건을 파기했다고 주장했다.  
 
18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한 전직 행정관은 최순실 사태가 터지자마자 기존 문건을 모두 파쇄했으며 컴퓨터로는 문서를 작성하지 않을 만큼 보안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해당 전직 행정관에 따르면 청와대에서 퇴직할 때도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가지고 나가는 게 있는지 일일이 점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그는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행정관, 행정 요원, 인턴 등의 퇴직 시기가 일정하지 않아 캐비닛 등 일부 사무 가구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놨다.  


또 다른 전직 행정관 역시 "먼저 나간 이들의 사무 가구는 주인을 잃은 채 정리되지 않았거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까지 한동안 사무를 본 경우 치우지 않고 나가면서 허점이 생겼을 수 있다"고 말했다고 동아일보는 전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14일 민정비서관실에서 지난 정부 자료가 발견됐다는 보도를 보고 정무수석실에서 자체적으로 잠겨진 캐비닛 등에 방치된 문서가 있는지 추가로 점검하던 중 그날 오후 4시 30분쯤 정무기획비서관실 입구의 행정 요원 책상 하단 잠겨진 캐비닛에서 다량의 문서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수석비서관 회의 문건은 회의당 두 장 정도로, 민감한 내용이 많다. 상식적으로 누가 봐도 불법 아닌가 하는 내용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발견 장소는 인턴이 쓰던 책상으로, 인턴이 나가고 충원이 안 되다 보니 방치된 것"이라며 사람들이 채워지고 정리하던 과정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