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엽 고용노동부장관 후보자와 심천회는

중앙일보

입력 2017.06.11 18:11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핵심 공약인 ‘일자리 창출’과제를 담당할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조대엽 (57) 고려대 노동대학원장을 지명했다. 교수 자문그룹를 이끌었던 최측근 학자다.  

조대엽 고용노동부장관 후보자. [중앙포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노동정책에 대한 전문성과 이해도가 높아 현안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그를 소개했다. 여권에선 조 후보자가 2015년 고려대 노동대학원장 부임이후 노동계 뿐만 아니라 정·관계와 재계, 언론계 인사들을 두루 참여시켜 ‘노사정 포럼’을 만든 데 주목했다.  노·사·정의 시각을 두루 정책에 반영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기대감때문이다. 
  
 조 후보자에겐 "문 대통령과 국정철학을 오래 고민해온 학자"라는 설명이 따라다닌다. 그는 노무현 정부의 마지막 청와대 정책실장이던 성경륭 한림대 사회과학부 교수를 통해 문 대통령과 첫 인연을 맺었다. 2012년 18대 대선때 문 대통령의 외곽 조직인 담쟁이 포럼의 1차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대선 패배 후엔 10여명의 학자들과 한 달에 한번씩은 꼭 문 대통령과 식사 모임을 하며 '대선 재수를 위한 공부'를 도왔다. 이 모임이 문 대통령의 싱크탱크 ‘정책공간 국민성장’의 모태가 된 ‘심천회(心天會)’다. 정도전의 어록 ‘심문천답(心問天答ㆍ마음이 묻고 하늘이 답한다)’에서 착안해 모임 이름을 제안한 이도 조 후보자였다. 심천회에선 조 후보자외에 서훈 국정원장과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 등이 이미 발탁됐다. 조 후보자와 함께 심천회의 또다른 축이던 김기정 연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국가안보실 2차장직에 발탁됐다가 구설에 휘말려 사퇴했다.   
 경북 안동 출생인 조 후보자는 고려대 사회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2000년부터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해왔다. 이번 대선에선 문 대통령의 싱크탱크인 '국민성장'의 연구부소장을 지냈다. 이후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박원순 서울시장, 김부겸 의원 측 싱크탱크를 아우른 민주정책통합포럼의 상임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조대엽(57) ▶경북 안동▶안동고·고려대 사회학과, 고려대 사회학 석·박사▶고려대 노동대학원장, 정책공간 국민성장 연구부소장, 민주정책통합포럼 상임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