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자본 유치해 고용·복지 등 사회적 문제 해결"…임팩트 금융 추진위원회 출범

중앙일보

입력 2017.05.23 12:13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2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 출범식이 열렸다. [사진=심새롬 기자]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복지ㆍ고용 등 사회문제 해결을 도모하는 '임팩트 금융'이 국내에 본격 도입된다. 참여정부 시절 경제수장을 맡았던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임팩트 금융 추진위원회(IFK)’를 출범시키면서다.
 
 IFK는 23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출범식을 열고 앞으로의 계획과 설립 목표를 발표했다. 갈수록 복잡해지는 사회문제 해결에 정부 주도의 ‘주는 복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이 임팩트 금융을 출범시킨 계기가 됐다. 이 전 부총리는 출범선언문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 정부 예산 400조원 중 130조원이 보건 복지와 고용 관련 예산이지만 이 재원은 한정돼 있다"면서 "민간의 폭넓은 투자와 참여를 유도해 사회투자시장의 활성화를 이루는 게 임팩트 금융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주도로 23일 출범식
연말까지 700억원 모금해 지주회사 설립
"전통적인 복지만으로는 문제 해결 어려워"
사회적 벤처 지원·주택문제 해결 등 추진

 이른바 ‘착한 금융’, ‘사회적 금융’이라고도 불리는 임팩트 금융은 기업이나 단체, 개인 등 일반투자자에게 유치한 자금이 사회적 기업 발굴ㆍ육성에 쓰이도록 융통하는 역할을 한다. 주택 지역재생 프로젝트나 장애인,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도 임팩트 금융의 영역 중 하나다. 이 부총리와 함께 위원회 설립을 주도한 이종수 한국사회투자 이사장은 “기존 금융은 수익만을 목표로 하지만 우리는 사회적 문제 해결을 제일의 목표로 삼는다”면서 “수익률은 기관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수준 이상만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IFK는 올 연말까지 700억원 규모의 출연 및 기부 재원을 유치할 계획이다. 현재 기업 등 몇몇 곳에서 긍정적 참여 의사를 표시 중이다. 이 자금을 토대로 지주회사 격인 ‘한국 임팩트 금융’을 연내 공식 출범시킨다. 설립 실무는 재단법인 한국사회투자에서 진행하기로 했다. 회사 공식 출범 이후에는 펀드를 조성해 일반투자자를 모집한다. 이 전 부총리는 “2000억원 정도를 모으는 게 1차 목표”라면서 “이후 실적과 수요를 바탕으로 규모를 늘려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자들에게는 수익률에 따른 배당이 이뤄진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20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출판 기념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전직 경제관료가 나섰지만 정부와의 연결 고리는 없다. 순수 민간 전문가들이 모여 정부 주도의 ‘톱 다운(top-down)’ 방식이 아닌 풀뿌리 수요에 따른 사회적 금융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이 전 부총리는 “정부를 배경으로 해서 호가호위하는 조직으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새로운 금융의 영역을 개척해 금융이 사회를 위해 일하고, 지속가능한 경제 사회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에는 이 전 부총리와 이종수 한국사회투자 이사장 외에도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윤만호 전 산업은행지주 사장, 이장규 짐코 회장, 이종재 코스리 대표, 이승흠 한양대학교 교수, 임성택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이혜경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최도성 가천대 부총장 등이 참여했다.


심새롬 기자 saerom@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