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대선의 급소①]‘진보’잡은 문재인, ‘보수’잡은 안철수…중도 각축전

중앙일보

입력 2017.04.11 17:44

수정 2017.04.11 20:1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5ㆍ9대선을 불과 4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속 접전을 벌이고 있다. 지지층을 분석해보면 이념성향별로 기반이 확연히 갈리고 있다. 문 후보가 ‘진보’, 안 후보가 ‘보수’ 유권자를 각각 선점하고 있다. 결국 이번 대선의 '급소'는 스윙보터(swing voter·미결정 투표자)로 꼽히는 중도부동층의 표심이 꼽히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 나타난 유권자 이념성향별 문재인·안철수 후보 지지율(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진보 56% 문재인, 보수 46% 안철수 지지=본지가 최근 공개된 5개 여론조사기관 조사에서 이념성향별 유권자 지지 성향을 살펴본 결과 문 후보는 자신을 진보 성향이라고 밝힌 유권자로부터 평균 55.7%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리서치가 한국일보 의뢰로 지난 7~8일 실시한 조사에서 60.5%로 최대였고, 코리아리서치(KBSㆍ연합뉴스 의뢰) 8~9일 조사에서 받은 53.0%가 가장 낮은 수치였다. 반면 문 후보는 스스로 보수라고 답한 유권자로부터는 평균 15.7% 지지를 받았다. 보수층의 ‘반문(反文)정서’가 여론조사에서 뚜렷히 나타난 셈이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보수층으로부터 평균 45.6%의 지지를 받았다. 39.7%(리서치앤리서치, MBC·한국경제)~49.3%(코리아리서치) 분포였다. 안 후보는 대신 진보층에선 평균 25.8%의 지지로 문 후보의 절반 수준이었다.
 
◇2012년 박근혜 지지의 48.3%→ 안철수=두 후보 주력 지지층의 이념성향이 다른 것은 지난 2012년 대통령선거 당시 누구를 투표했느냐는 질문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났다.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투표했다는 응답자의 48.3%(칸타퍼블릭ㆍ리서치플러스ㆍ리서치앤리서치 조사 평균)는 안 후보를 지지한다고 했다.


반면 문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11.3%에 불과했다. 2012년 당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유권자의 61.3%는 다시 문 후보를 지지했다. 안 후보로 지지를 바꾼 응답자는 평균 24.5%였다.
 
3개 기관(리서치앤리서치·리서치플러스·한국리서치) 이 조사한 '지지후보 변경 의향' 과 관련한 문항에서는 두 후보 지지층의 응집도가 비슷했다. 문 후보 지지층의 29.7%, 안 후보 지지층의 31.3%가 상황에 따라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중도는 안철수 39.3%, 문재인 33.7%로 각축= 문 후보가 진보를 잡고, 안 후보가 보수를 잡은 상황에서 중도ㆍ부동층 표심을 확보한 사람이 대선 결과를 좌우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5개 기관 조사에서도 두 후보가 중도층에선 오차범위 내 지지율로 각축전을 벌였다. 자신 스스로 중도성향이라고 밝힌 유권자 평균 39.3%가 안철수, 33.7%가 문 후보를 지지했다.
 
권순정 리얼미터 조사분석 실장은 "안 후보를 지지하는 중도·보수층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 안희정 충남지사로 떠돌다가 갑자기 쏠려 지지가 공고하지는 않다"며 "남은 기간 안 후보가 이들을 투표장으로 부를 만큼 적극 지지층으로 만드는 게 숙제"라고 말했다.
 
문 후보에게 진보의 쏠림보다 안 후보에 대한 보수의 쏠림이 10%포인트 가량 낮은 것도 변수다. 기존 보수정당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수도권ㆍ충청 보수층이 안 후보 쪽으로 넘와와 보수층의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중도ㆍ부동층이 중시하는 경제와 안보에서 안정감과 국정 운영 능력을 보여주는 후보의 당선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 조사에서 '투표할 후보가 없다'거나 '모름ㆍ무응답'을 선택한 유권자도 10.3%(한국리서치)~22.6%(칸타퍼블릭)에 이르는 것도 부동층의 표심을 예측하기 어렵게 한다.
 
(자세한 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정효식 기자 jjpo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