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다 일자리 … 트럼프, 3800㎞ 송유관 허가

중앙일보

입력 2017.01.26 02:33

수정 2017.01.26 02:3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글로벌 트럼프 쇼크
24일(현지시간) 취임 4일째를 맞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석유업체의 송유관 건설사업을 허가했다. 환경보다는 일자리 창출에 우선을 두겠다는 의미다. 국제사회에선 기후변화 공조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불허했던 키스톤XL 송유관과 다코타 액세스 송유관 건설사업을 허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송유관 건설로 일자리 2만8000개가 창출될 것”이라며 “환경 규제가 지나치다.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텍사스주와 캐나다 앨버타주를 잇는 키스톤XL 송유관(길이 1897㎞)과 미국 4개 주를 가로지르는 다코타 액세스 송유관(길이 1931㎞)은 환경보호·주민 반대 등을 이유로 각각 2015년과 2016년에 건설 허가가 취소됐다.

오바마가 허가 취소했던 2개 사업
“일자리 2만8000개 창출” 재개 명령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행정명령은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그동안 국제사회를 설득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 등에서 공조를 이끌어냈던 미국이 ‘환경보다 경제적 이익이 먼저’라는 신호를 보낸 것이기 때문이다. 기후협정 중 가장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파리협정은 2100년까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을 섭씨 2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일각에선 트럼프 행정부의 다음 수순이 파리협정의 취소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트럼프는 지난 대선 기간 파리협정 파기를 공약했다.

트럼프 "불법 투표 의혹 조사 요구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25일에도 트위터를 통해 또 다른 ‘마이 웨이’ 행보를 예고했다. 그는 “불법 투표와 사망자가 유권자로 등록된 경우 등 선거 조작에 대한 중대 조사를 요구하겠다”며 “결과에 따라 선거 절차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3일 “300만~500만 표에 이르는 불법 투표가 없었다면 대선 득표 수에서도 승리했을 것”이라고 주장한 데 이은 후속 조치다. 그는 대선 총득표 수에서 힐러리 클린턴에게 약 280만 표 뒤졌다. 트럼프는 다음달 2일 공석인 연방대법관 후보자를 지명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누구를 낙점하든 강경 보수인사가 지명될 것이 확실시된다.


이기준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