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최승희’ 같은 몸짓 다른 느낌

중앙일보

입력 2016.10.20 01:35

수정 2016.10.20 02:10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우메하라 류자부로의 1941년 작 ‘무당춤’(왼쪽)과 고려인 화가 변월룡의 1954년 작 ‘무용가 최승희 초상’. [사진 리앤구 아트·국립현대미술관]

20세기 전반 활동한 신(新) 무용가 최승희(1911~67)가 춤추는 모습을 담은 일본 화가의 그림이 발굴됐다. 이학준 ‘리앤구 아트’ 대표는 19일 “일본 근대 화가 우메하라 류자부로가 그린 최승희의 ‘무당춤’ 유화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우메하라 류자부로(梅原龍三郞, 1888~1986)는 일본 근·현대 화단의 대표 작가로 ‘왕자 화가’로 불렸을 만큼 부와 명성을 모두 누린 스타 미술가다.

‘무당춤’은 우메하라가 1941년 그린 인물화로 독특한 색채 감각과 무희의 춤추는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 있어 미술사뿐 아니라 역사적 가치를 지닌 자료다. 이 대표는 이 그림을 홍콩 ‘바젤 아트페어’에서 우연히 발견해 지난해 구입한 뒤 1년 여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한 뒤 공개했다.

일본 화가 우메하라 ‘무당춤’
홍콩 아트페어서 발견 첫 공개
변월룡 그림과 비교돼 더 관심

프랑스에 유학하며 여체(女體) 표현에 감각을 발휘했던 르누와르의 화풍을 승계한 우메하라는 춤꾼 최승희의 난만한 춤사위를 색과 필체로 잘 살려냈다. 미묘한 색채의 배합과 공중으로 떠오른 무희의 섬세한 손짓 발짓이 한 공간에 집약돼 있다. 조선 춤의 정중동이 사진의 한 컷처럼 정지됐다.

최승희는 일제강점기 미국과 유럽, 중남미에서 150여 차례 공연을 펼치며 세계적인 무용가로 활동했던 안무가이자 교육자다. 1926년 춤 스승인 일본 무용가 이시이 바쿠(石井 漠, 1887~1962)를 만나 일본 유학길에 오른 뒤 그의 문하에서 주역 무용수로 활동했다. 29년 귀국한 뒤 ‘최승희 무용연구소’를 세워 다양한 무대를 만들며 한국에 근현대무용의 씨를 뿌린다. 46년 평양으로 건너가 북쪽 지역의 춤 문화 발굴과 발전에 애썼다.

이번 ‘무당춤’ 발굴은 지난 3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렸던 고려인 변월룡(1916~90) 탄생 100주년 회고전에 선보였던 1954년 작 ‘무용가 최승희 초상’과 비교돼 더 관심을 모으고 있다. 1950년대 초 평양에 가 최승희를 만났던 변월룡과 1940년대 초 일본에 공연을 온 최승희를 무대에서 본 우메하라. 최승희의 실연 모습이 한국과 일본 두 화가의 작품으로 남게 된 역사적 인연이 더 뜻있다.


정재숙 문화전문기자 johana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