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망명에 현지 탈북민 '물밑 도움' 있었다

중앙일보

입력 2016.08.22 13:58

수정 2016.08.22 13:59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태영호 공사(왼쪽)가 지난해 11월 런던에서 레닌의 공산정권 수립 98주년을 맞아 영국 공산당 당원에게 강연하고 있다. [사진제공=유튜브 캡처, 중앙포토]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에서 근무하다 망명한 태영호(55) 공사의 탈북 과정에 현지 탈북민들의 ‘물밑 도움’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2005년 탈북해 2007년 영국에 정착한 김주일 국제탈북민자유민연대 사무총장은 22일 “한국과 영국의 정보 당국이 태 공사가 밝힌 망명 의사의 진위를 판단하는데 현지 탈북민들의 조언을 구했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북한 출신이라는 입장에서 태 공사의 망명 의사의 진실성을 확인해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탈북민들은 태 공사가 안전하게 대사관에서 몸을 피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조언했다고 한다.

영국 현지에 체류 중인 탈북민들은 공식 비자와 영주권, 시민권 소유자를 합쳐 600여명에 이른다. 이들 중 상당수는 영국에서 북한 인권 관련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김 사무총장은 전했다.

탈북민들은 태 공사 가족이 비행기를 통해 영국을 빠져나온 당일 이송 과정에도 직접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김 사무총장은 “태 공사가 비행기에 탑승하기까지의 과정에서 탈북민들의 도움이 있었다”면서도 “현지 탈북민들의 신변 노출 등을 고려해 구체적 내용은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탈북민들 중 일부가 공항에서 북한 기관원들의 감시망을 살피거나 북한 대사관 앞에서 인권 관련 집회를 개최해 북측 인사들의 시선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사무총장은 “태 공사는 현지 탈북민들이 자신을 도와줬다는 사실을 모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단독] 북 빨치산 가문 첫 귀순 외교관 태영호 공사 "체제 염증, 자녀 장래 고민"
② "아이 하나 잃어버려 난리랍니다"…이영종 기자의 '태영호 탈북망명' 특종기

한편 태 공사의 망명 경로와 관련해 김 사무총장은 “영국에서 바로 한국으로 들어간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다. 태 공사의 망명 과정에서 영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도 “영국정부의 협조 내용은 공항까지 태 공사의 신변을 보호해준 것과 여권이 없이도 한국행 비행기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재준 기자 suh.jaejo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