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로봇랜드 사업…정부 지원으로 가속도

중앙일보

입력 2016.07.13 01:31

수정 2016.07.13 15:55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경남 창원시 구산면 구복·반동리 일대 바닷가 126만㎡에 조성되는 마산로봇랜드 사업이 속도를 내게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는지 챙기는 ‘현장 대기 프로젝트 사업’에 포함된 때문이다. 올 연말이면 1단계 사업의 시설물 건축공사가 가능할 전망이다.

12일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 7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에서 로봇랜드 사업이 현장 대기 프로젝트 사업에 포함됐다. 이 프로젝트는 기업의 투자수요가 있지만 기관간 이견과 규제 등으로 진척이 더딘 사업을 빨리 진행하기 위해 지정한다.
로봇랜드가 이 프로젝트에 포함되면서 바뀌는 것은 크게 두 가지. 로봇랜드는 개장 예정일이 2018년이다. 그러나 진입도로인 국도 5호선 현동IC~심리(13㎞) 구간은 2020년 개통 예정이다. 로봇랜드가 개장하더라도 접근 도로가 늦게 개설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앞으로 국토부는 로봇랜드 개장에 맞춰 진입도로를 완공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접 사업 챙기는
‘현장 대기 프로젝트’ 포함
2018년 개장 맞춰 국도 조기 완공
구산면 앞바다 보호구역 해제 추진

또 하나는 해수부가 2018년까지 로봇랜드가 들어서는 구산면 앞바다의 수산자원 보호구역의 해제를 추진한다. 수산자원보호구역이 해제되면 바다쪽에 해양관광단지·해양레저시설이 추가로 들어설 수 있어 로봇랜드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이 외에 로봇연구개발(R&D)센터, 로봇전시관, 로봇시험장 같은 각종 콘텐트와 인프라 구축에 국내 기업이 협조할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 등이 다양한 지원을 하기로 했다.

경남도와 민간사업자인 ㈜대우건설은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에 로봇랜드 조성 실행계획 변경을 신청해 최근 승인받았다. 이전의 민간사업자인 울트라건설㈜이 계획한 테마파크 조성 계획을 바꿔 단순히 로봇을 구경하는 관람 형태에서 여러 가지 체험·교육 기능을 더하기로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조·해양탐사 등을 할 수 있는 로봇, 악기 연주와 운동로봇 등 다양한 기능의 로봇을 볼 수 있다. 또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해 실제 로봇을 조종하거나 로봇을 타고 하늘을 날아다니는 체험을 할 수 있다. 로봇 작동원리와 로봇 제작과정 등 로봇 이론도 배울 수 있다.


변경된 실행계획으로 사업기간은 2017년에서 2018년으로 연장된다. 진입도로와 주차장이 곧바로 연결돼 생길 수 있는 병목현상을 바로잡기 위해 기존 주차장(서쪽)과 테마파크(동쪽)의 위치도 바뀔 예정이다.

로봇랜드는 2013년 11월 착공됐지만 이전 민간사업자의 부도 등으로 지금까지 1단계 부지조성공사 20%와 일부 진입도로 공사만 진행됐다. 이 사업은 국비 560억원, 도·시비 2100억원,민간자본 4340억원 등 7000억원을 들여 1·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사업인 테마파크와 로봇전시관, 컨벤션센터, 연구개발시설은 2018년 말에, 2단계인 호텔·콘도·유스호스텔 등은 2019년 말 완공 예정이다.

경남도 조현준 기계산업융합과장은 “사실상 대통령이 청와대를 통해 각 부처의 행정적 지원을 독려하면 로봇랜드 사업은 앞으로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