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로 지방 주택시장 찬바람

중앙일보

입력 2016.06.15 00:03

수정 2016.06.15 00:32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지난달 지방 주택 매매거래량이 지난해보다 크게 줄었다. 5월부터 주택담보대출 규제(여신심사 가이드라인)가 지방으로 확대 적용된 데다 기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지역 경기가 위축된 탓이다. 주택 수요가 집 사는 것을 포기하고 임대로 눌러앉으면서 지방의 5월 전·월세 거래량은 지난해보다 10% 이상 늘었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월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8만9267건으로 지난해 5월(10만9872건)보다 18.8% 감소했다. 1~5월 누적 거래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1% 준 37만5048건에 그쳤다. 주택 매매거래 감소는 지방이 주도했다. 5월 지방 주택 매매거래량은 3만9790건으로 지난해 5월보다 21.8% 감소했다.
 

최근 5년간 5월 평균 거래량에 비해선 18.2%, 올 4월에 비해선 7.1% 감소했다. 전달보다 13.9% 늘어난 서울·수도권(4만9477건)과는 극명히 대비된다. 김이탁 국토부 주택정책과장은 “대출 규제가 시작되면서 거래량이 눈에 띄게 줄고 있다”며 “여기에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지역 경기도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1~5월 매매량 전년비 25% 감소

실제 지방에서도 지난해 집값이 크게 올랐던 대구·광주광역시나 조선업이 중심산업인 울산 등지의 주택 거래량 감소가 눈에 띈다. 대구는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이 2512건으로 지난해 5월보다 56.5% 줄었다. 대구 수정구 다음부동산중개업소 김선예 실장은 “대출 이자와 원금을 동시에 갚아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집 사기를 포기한 사람이 많다”고 전했다. 광주광역시의 5월 거래량은 2370건으로 지난해 5월에 비해 29.1%, 전달에 비해 21.6% 감소했다. 울산은 전달에 비해 29.2% 감소한 1991건이 거래되는 데 그쳤다.

주택 수요가 매매로 전환하지 못하고 임대시장에 주저앉으면서 지난달 지방의 전·월세 거래량(4만1551건)은 지난해 5월보다 10.1% 급증했다. 지난달 서울·수도권 전·월세 거래량이 7만9769건으로 같은 기간 1.4%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편 지난달 전국의 전·월세 거래량은 12만1320건으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4.2%, 전달에 비해 0.2% 증가했다. 월세 비중도 커지고 있다. 전체 전·월세 거래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5.2%로 전달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황정일 기자 obidius@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