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바지사장 노릇 절대 못해"…"당 대통령 후보 정해져 있는 것처럼 생각 마라"

중앙일보

입력 2016.03.26 16:53

수정 2016.03.27 03:37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저를) 바지사장이 아닌가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절대로 전 바지사장 노릇을 못한다”고 26일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서삼석 (전남 영암-무안-신안) 후보의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해 “특정인을 위해서 제가 여기 와서 이런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26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전남ㆍ광주를 방문 중이다.

김 대표는 “이번 4ㆍ13총선이 끝나고 날 것 같으면 우리 정치지형도 많이 변화할 거라고 생각한다”며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것처럼 마치 대통령 후보가 이미 다 정해져있는 것처럼 그런 생각 절대로 하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총선이 끝날 것 같으면 새로운 싹들이 다시 대권을 향해서 많이 나오리라고 생각한다. 이런 사람들이 많이 나왔을 적에 우리당도 활기를 찾고 또 집권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리라고 저는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다만 “제가 70대 중반이 넘어섰다 제가 다른 특별한 욕심 있어 이 자리 있는것이 아니라 몰락하는 야당 구출해서 야당이 건전하게 다시 태어나서 국민들이 원할적에 정권 교체 할 수 있는 그런 수권정당을 만들려는 그런 목적 하나로 움직이는 것”이라며 본인의 대권도전설 등에는 선을 그었다.


김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당내 유력대권 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한 발언이다. 김 대표는 전남 방문 일정 중 “(저를 두고)‘누구의 앞장이가 아니냐’ 고 하는데 그런 일은 절대 벌어지지 않을 것” 등과 같은 발언을 계속 하고 있다. 김 대표 측은 호남에서 반문(反문재인) 정서가 퍼져있다고 보고 호남 지역에서는 문 전 대표와 ‘긴장 관계’를 유지하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여러분들이 호남을 대변하는 사람이 당에 없다는 말씀을 하는데 제가 기필코 호남을 대변하는데 절대적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26일 경기도 남양주에서 열린 조응천 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해 “유능한 경제정당이 되기 위해 이번 총선에서 김 대표를 선거 사령탑으로 모셨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당의 현역 의원들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쏟아냈다. 김 대표는 ”호남의 정치인들이 기득권에 사로잡혀서 굉장히 무사안일하게 지냈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집권할 생각을 하지 않고 집권을 할 자산이 없으면 정당으로서 존재 가치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그 동안 의원들의 행태는 의원 자체가 즐겁고 그 즐거움을 지속하는 것이 능사처럼 생각했기 때문에 당도 변하지 않고 지역의 변화에도 별로 관심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또 ”제가 당에 들어와서 가장 애석하게 느낀 게 의원들이 별로 집권해야겠다는 열의가 없다“며 ”그저 국회의원 하다가 내가 즐길 수 있는 가장 좋은 직업이다 이런 생각하는 분들이 너무 많다. 이런 사고를 가지고 절대로 새로운 정치가 피어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새로운 사람들 사람이 바뀌어야 모든 것이 바뀐다”며 “대통령이 바뀌어야 나라의 운영 질서가 바뀌고 국회의원들이 바뀌어야 입법 과정이 새롭게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또 “호남에 계신 분들이 과거에 이곳 기득권을 장악하신 분들로 인해서 호남의 정치가 분열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과거 같으면 호남이 똘똘 뭉쳐서 민주당을 지지했었을 텐데 왜 오늘날에 와서 호남인들이 이렇게 분열의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이같은 발언은 박지원, 주승용 의원 등 호남 지역 다선 의원들이 주로 포진한 국민의당 겨낭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 후보가 출마한 전남 영암-무안-시난의 경우 국민의당에서는 박준영 전 경남지사가 출마한다.

김 대표는 서 후보의 선거개소식 전 조상기 후보(전남 목포) 간담회에서도 “호남의 기득권 가지신 정치인들께서 다른 사람들의 패권을 논하면서도 본인들도 패권 유지하는 분”이라며 “그것이 호남을 분열로 이끌어가는 단초가 됐다”고 말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