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공무원 560만 명 지문정보 해킹 유출”

중앙일보

입력 2015.09.25 02:31

수정 2015.09.25 02:42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정부가 사이버 안보와 인권 문제와 관련해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 연방인사관리처(OPM)는 23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연방공무원 약 560만 명의 지문 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됐다고 발표했다.

미·중 정상회담 앞둔 미묘한 시점
정보당국, 중국과 연계 의혹 제기

미국 언론들은 이번 해킹이 올 상반기 OPM 전산망에 침입해 약 2150만 명의 개인정보를 빼내 간 해커와 동일범의 소행이라고 보도했다. 미 정보당국은 해커들이 중국 정부와 연계됐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제임스 클래퍼 미 국가정보국(ODNI) 국장은 지난 6월 “중국이 첫 번째 용의자”라고 언급한 바 있다.

OPM 대변인은 “정보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재로선 유출된 지문 정보가 악용될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 기술 발전과 함께 그 가능성은 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뉴욕타임스(NYT)는 “사회보장번호나 비밀번호는 바꿀 수 있지만, 지문은 그렇지 않다”면서 “지문만 있으면 공항 입국 단계부터 추적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문 도난은 정보와 국방 분야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에겐 악몽이 될 수 있다”고 평했다.

OPM의 이번 발표는 미묘한 시점에 나왔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24일 워싱턴DC에 도착했다. 사이버 안보는 미·중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다. 시 주석은 시애틀에서 “중국 정부는 해킹에 연관돼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해킹을 지원하지도 않는다”며 중국 정부의 해킹 책임론을 부인했다. 시 주석은 방미 전 WSJ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또한 해킹 피해자”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WSJ는 중국 군과 해커 그룹과의 연계 의혹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아시아에서 활동 중인 해커 그룹의 일원이 중국 쿤밍에 있는 인민해방군 부대 소속으로 밝혀졌다는 내용이다.

한편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중국 인권활동가와 가족들을 비공개로 만났다. AP통신 등은 케리 장관이 미·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내 반체제 인사들의 석방과 인권침해를 유발하는 법령 개정을 요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뉴욕=이상렬 특파원 is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