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 전액 지원할 테니 "꼭 아이 넷 낳으라"는 이 회사

중앙일보

입력 2015.04.01 01:06

수정 2015.04.01 01:17

SNS로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곽동원(오른쪽)·안선희씨 부부는 2013년 첫아이에 이어 지난 1월 쌍둥이를 낳아 세 아들의 부모가 됐다. 곽씨는 “내년엔 딸을 낳고 싶다”고 말했다. [강정현 기자]

“나랑 결혼해 아이 네 명 낳아줘.” 안선희(33·여·공무원)씨는 2012년 10월 남편 곽동원(38)씨에게서 난데없이 이런 프러포즈를 받았다. 남편은 고급 레스토랑에서 꽃다발·반지와 함께 이런 말을 건넨 것이다. 결혼 후 세 아들을 둔 안씨는 “그땐 황당했지만 아이만큼 큰 행복을 주는 존재가 없다는 걸 깨닫게 됐다. 내년께 넷째를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곽씨의 독특한 프러포즈에는 사연이 있다. 2007년 1월 건설관리업체 한미글로벌에 입사한 곽씨는 신입사원 교육 첫날 이 회사 김종훈 회장과 면담했다. 김 회장의 첫마디는 “꼭 네 명의 아이를 낳으라”는 것이었다.

[이젠 시민이다] 한미글로벌, 파격적 인센티브
넷째는 500만원 장려금 주고
남녀 직원 모두 1년 육아휴직
시공테크는 ‘사람됨’교육 우선
연말엔 인성 우수사원에 포상
청년 벤처 창업 돕는 기업인도

 ‘열심히 일하라’도 아니고 ‘열심히 낳으라’고? 곽씨는 정식 입사 서류에 ‘출산 서약서’가 끼어 있는 걸 보고 진지해졌다. 실제로 부서 배치를 받고 보니 대부분 자녀가 두세 명이었다. 곽씨는 “회사에는 넷째, 다섯째까지 둔 직원도 여럿 있다”고 소개했다.

 이 회사의 출산 혜택은 파격적이다. 자녀(입양 포함) 수와 관계없이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학자금 전액을 지원한다. 첫째·둘째 자녀는 50만원, 셋째는 200만원, 넷째는 500만원의 출산 장려금도 준다. 남녀 직원 모두 1년간 육아휴직을 쓸 수 있고 이 중 6개월은 의무다.

 저출산 극복은 한국의 국가적 과제다. 정부가 지난 10년간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150조원을 쏟아부었으나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정부의 힘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해결을 위해 힘을 보태는 기업도 있다.


 김 회장은 저출산 문제 해결에 앞장선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간단합니다. 아이를 적게 나으면 앞으로 일할 인재도 줄고 먼 미래엔 한국인이 없어질지도 모르잖아요. 남의 일이 아니라 우리의 문제인 거죠.”

 기업도 시민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기업 역시 사회 문제를 방관할 게 아니라 책임의식을 갖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모든 기업이 한 가지 문제씩 책임지고 개선 노력을 한다면 사회가 많이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교가 학생들에게 바른 인성을 가르치듯 사원에게 인성교육을 하는 기업도 있다. 국내 전시·컨벤션업체인 시공테크다. 이 회사 박기석 회장은 1990년대 초반부터 직원들의 책상과 업무노트에 다른 사람의 처지를 생각하라는 역지사지(易之思之)와 배려·협력 등 인성 실천 덕목을 붙여 놨다. 매월 전체 사원 조회시간엔 생활 속 실천 사례를 부서별로 발표하고 공유한다. 연말엔 인성이 우수한 사원을 뽑아 포상한다. 박 회장은 “대한민국이 발전한 것은 서로 도와 어려움을 이겨내는 사람이 있었기 때문인데 요즘엔 대학이건 회사건 ‘사람됨’을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이런 문제점을 고려해 지난해엔 채용 시스템도 개편했다. 채용 방식은 입사지원 서류에 수상내역 등 스펙을 못 쓰게 하고 자기소개서에 드러난 인성을 꼼꼼히 살피는 것이다. 면접 때 프레젠테이션과 토론, 인터뷰를 통해 헌신·정직·협동·양보 4개 덕목에 대한 가치관과 문제 해결력을 평가한다. 박 회장은 “기업이 돈을 버는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 과거에 깨끗하게 벌고 세금만 잘 내면 되던 건 20세기에 통했다. 이젠 기업 경영 자체가 사회 전체의 공익과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실업 문제 해결에 나선 기업인도 있다. 70년 중학교 졸업 후 무일푼으로 상경해 1000억원대 자산가로 성공한 이동석 석전자 회장은 청년 창업가들에게 투자금을 지원하는 ‘에인절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위기 때마다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와준 사람들이 있었다. 이젠 청년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말 청년 창업가들을 가르치고 이들에게 투자금을 대주는 ‘스타트업’ 벤처캐피털을 시작했다. 이 회장은 지인들과 함께 청년 벤처 30여 곳의 창업을 돕고 있다. 2008년엔 일본 지하철에서 승객을 구하고 숨진 고(故) 이수현씨의 전기 영화가 일본에서 제작됐으나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국내 개봉이 안 되자 10억원을 내놓아 상영을 가능케 했다. 이 회장은 “10년 내에 어려운 학생들이 맘껏 공부하고 사회 진출을 도울 수 있는 ‘에인절 학교’를 세우고 싶다”고 말했다.

글=윤석만 기자 sam@joongang.co.kr
사진=강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