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 로그인하고 한결 더 편리해진 나만의 중앙일보를 경험해보세요.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있습니다.
원전 최강국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포럼에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안보 위기 문제에 따라 세계적으로 원전 확대 정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원전 확대 전제조건으로 고준위방폐물인 사용후핵연료 처분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중앙일보
2022.07.06 16:20
글=중앙일보 논설실 그림=고혜경 프리랜서 관련기사[사설] “탈원전 5년, 바보 같은 짓”…원전 최강국 회복해야[그림사설] 꽉 막혔던 한·일 관계, 나토 회의서 풀릴까[그림사설] 대통령은
2022.06.26 23:23
이들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문제와 함께 후쿠시마 원전 방출수, 우크라이나 원전, 국내 원전 인력의 해외 진출 등 원자력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2022.06.24 05:00
같은 기간 국내 원전 공급업체·연구공공기관의 해외 매출은 2조1542억원에서 5025억원으로 1조6000억원 넘게 줄었다.
2022.06.23 11:18
이 기사 어때요윤 대통령 “탈원전 5년 바보짓”…1조 수혈, 원전최강국 재건한다유류세 37% 깎아도 체감 힘든 이유…'교통세'가 약속 어겼다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2022.06.23 08:44
2022.06.23 08:21
2022.06.23 00:38
2022.06.23 00:02
2022.06.22 18:16
2022.05.23 00:02
2022.08.12 10:10
2022.08.13 05:00
2022.08.10 19:56
2022.08.12 15:48
중앙일보는 뉴스레터, 기타 구독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거부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 하였을 경우 이메일을 수신할 수 없습니다. 구독 신청을 통해 발송된 메일의 수신 거부 기능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