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 중심 경영 앞장서고, 친환경차 부품 국산화…제주개발공사·코리아에프티 8연속 수상 영예
━ THE CREATIVE 2023 중앙일보와 중앙SUNDAY가 각 분야에서 창조적인 경영 활동과 성과를 이뤄낸 우수한 경영·브랜드 사례를 선정했다. ‘대한민국 창조경영
-
[조원경의 돈의 세계] ‘그린’에 얽힌 불편한 진실
조원경 UNIST 교수·글로벌 산학협력센터장 연두색은 경고를 뜻하는 노란색을 띤 밝은 녹색이다. 연두색을 둘러싼 세 가지 경고장을 마주해 보자. 우선, 연두색 법인용 승용차
-
껌값도 이 정도 아닌데…요즘같은 시대에 '1000원'만 받는 곳
광주광역시 동구 대인시장 내 '천원식당'으로 알려진 해뜨는 식당 업주 김윤경 씨가 요리하고 있다. [뉴스1] 1000원짜리 식당과 택시·공연 등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고물가·고
-
럭셔리 세단의 정답, BMW i7 ‘올해의 차’
BMW i7 COTY2023 BMW의 럭셔리 전기차인 i7이 ‘2023 중앙일보 올해의 차(Car of the Year·COTY)’ 평가에서 ‘올해의 차’로 선정됐다. 심사위원은
-
“럭셔리의 끝을 보여줬다”…BMW i7 ‘2023 올해의 차’ 선정
BMW의 럭셔리 전기차인 i7이 국내 최고 역사와 권위를 가진 ‘2023 중앙일보 올해의 차(Car of the Year·COTY)’ 평가에서 ‘올해의 차’로 선정됐다. 심사위원
-
K배터리 '조선최강' 선봉장…새벽 4시반~밤9시에 꼭 챙기는 것
━ [0.1%를 만나다] 조재필 교수 전기차 배터리 실험장비를 살펴보는 조재필 UNIST 교수. 송봉근 기자 충전해 재사용하는 배터리, 즉 이차전지 기술은 세계적으로 한·
-
‘수명 30% 연장’ K배터리 원천기술 만들다
━ [0.1%를 만나다] 조재필 교수 전기차 배터리 실험장비를 살펴보는 조재필 UNIST 교수. 송봉근 기자 충전해 재사용하는 배터리, 즉 이차전지 기술은 세계적으로 한·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연구성과 1등 대학의 비결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R&D 패러독스 극복하자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48)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생명공학
-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 연구성과 1등 대학의 창업 비결
━ [혁신창업의 길]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가운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가 자신이 창업한 생명공학 스타트업 슈파인세라퓨틱
-
‘30% 수명연장’ 꿈 이뤘다…K배터리 선봉장, 조재필 유료 전용
배터리가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있을까. 휴대전화나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까지. 현대인의 하루는 배터리 충전으로 시작해 방전으로 끝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충전해 재
-
이젠 대세는 전기차…아이오닉6, EV6 GT 등 점수 높았다
━ 2023 올해의 차(Car of the Year·COTY) 1차 심사 “소비자들이 차량 구매를 결정하는데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지난
-
낙동강 페놀이 인생 바꿨다, 47세 늦깎이 교수의 반전 유료 전용
세계적 석학들은 일찌감치 자신만의 길을 찾아 연구를 시작한 경우가 많다. 일찍 일어난 새가 벌레를 잡듯, 이른 나이에 연구를 시작해 보통 40대에 학문적 전성기를 맞는다. 물
-
고려대, 구자열 LS이사회의장에 명예 철학박사 학위 수여
고려대학교는 10일 고려대 백주년기념삼성관 국제원격회의실에서 구자열 LS 이사회 의장(한국무역협회 회장)에게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이날 행사에는 구자열 회장의 가족과 친
-
전기연, 내비게이션 구현할 스마트 콘택트렌즈 핵심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스마트 3D프린팅 연구팀의 설승권 박사팀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정임두 교수팀이 3D 프린터로 증강현실(AR) 기반 내비게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스
-
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 공공기관서 빠진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광주과학기술원(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이 공공기관에서 빠진다. 금융감독원에 대해서는 올해
-
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 공공기관 제외…금감원 또 지정 유보
한국과학기술원(KAIST)ㆍ광주과학기술원(GIST)ㆍ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ㆍ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이 공공기관에서 빠진다. 금융감독원에 대해서는 올해
-
SK온, KAIST와 손잡고 글로벌 배터리 인재 키운다
SK온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손잡고 배터리 산업을 이끌 전문 인력을 직접 육성한다. 18일 SK온에 따르면 SK온은 전날 대전시 유성구 KAIST 본관 제1회의실에서
-
장민 교수 연구팀, 대기 중 CO2 활용, 탄산프로필렌 생산을 위한 단일 원자 촉매 개발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장민 교수 연구팀은 환경공학과 황건덕(Wong Kien Tiek) 박사후 연구원(제1저자)와 함께 높은 표면적(박리된 GCN)을 지니고 있고, 가장자리에 N
-
‘글로벌·혁신수업’ 통해 미래 대학교육의 모델 제시
━ 성균관대학교, 융복합 교육과 맞춤형 진로지도로 45개 대학 중 취업률 1위 성균관대학교는 2019년 신동렬 총장 취임 이래 학생성공, 미래가치 창출이라는 모토 아래 교
-
치매잡는 PET·3D 현미경…딥테크 선도하는 한국 기업들
20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 ‘혁신창업국가 대한민국’ 국제심포지엄에서 혁신창업상 수상자들이 내빈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토모큐브, 브라이토닉스이미징,
-
“기술 창업으로 미래세대 먹거리 만들어야…대학의 책임”
박용근 KAIST 교수(오른쪽)는 전문창업가 홍기현 토모큐브 대표와 함께 2015년 토모큐브를 창업했다. 살아있는 세포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관찰 가능한 레이저 홀로그래피 현미경
-
[이상렬의 세계경제전망]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코로나 대응, 부채 위기가 3대 변수
━ 2023년 세계 경제는 어디로 이상렬 논설위원 글로벌 경제에 혹독한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 2023년 세계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악당에 시달릴 전망이다. 경기침체
-
기업이 선호하는 출신대학은 고려대, 금융권은 서울대[2022 대학평가]
━ 평판도 지난 9월 고려대에서 열린 채용박람회를 찾은 학생들이 기업 부스 앞에서 취업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열린 비대면 채용박람회에는 80여
-
KAIST, 와이파이 통화기술 특허…GIST, 등록금대비 장학금 1위 [2022 대학평가]
━ 자연과학·공학 계열 평가 울산과학기술원 중앙기기분석실 안에 위치한 나노 팹에서 연구 중인 모습. 사진 UNIST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UNIST(울산과학기술원)엔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