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기어였던 줄기세포 부활…파미셀·차바이오텍 또 어디? 유료 전용
■ K-바이오 지도 by 머니랩 「 금리 인상기 성장주는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합니다. 성장주의 대표 격인 바이오도 예외는 아니죠. 특히 소형 바이오테크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큽
-
이젠 DNA 잘라 붙이는 시대…툴젠·올릭스 주목받는 이유 유료 전용
■ K-바이오 지도 by 머니랩 「 금리 인상기 성장주는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합니다. 성장주의 대표 격인 바이오도 예외는 아니죠. 특히 소형 바이오테크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큽
-
서울시립대 산학협력단, ㈜인스바이오팜과 기술이전 협약 체결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가 지난 7일, ㈜인스바이오팜(대표 유인수)과 특허기술을 양도, 상용화하기 위한 대형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이전한 기술은 DNA와 RN
-
‘바이러스의 페니실린’ 현대바이오 제프티, 하나의 약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시대 열었다
한림대 의대 우흥정 교수는 06월 17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휴스턴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감염 및 미생물 학술대회인 미국 미생물학회(American Society for Mic
-
“원숭이두창? 인류 망하겠네” 그런 당신께 ‘이 책’ 권합니다 유료 전용
━ 💊원숭이는 죄가 없다-엠폭스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 다니엘 디포 『전염병 연대기』와 테코비리마트(TpoxxⓇ) 지난해 여름, 그동안 세계를 비탄으로 몰아넣었던 코로
-
AIDS 안 걸리는 아기 탄생…유전자 편집, 축복과 재앙 유료 전용
사상 최초로 ‘유전자 가위(CRISPR-Cas9)’를 사용한 치료제 출시가 임박했습니다. 미국 제약사 버텍스(Vertex)와 크리스퍼 테라퓨틱스(CRISPR Therapeutic
-
RNA로 난치병 유발 유전자 억제, 암도 치료할 수 있다
━ [최준호의 첨단의 끝을 찾아서] RNA 연구 석학, 김빛내리 서울대 석좌교수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겸 IBS RNA연구단장이 참여한 ‘다이서 단백질’ 연구 결과 2편이
-
사스→메르스→코로나 주기 심상찮다…전문가 '감염병X' 경고
'신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 전문가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정통령 질병관리청 위기대응총괄과장. 사진 질병관리청 유튜브 캡처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 세대가 코로나19와
-
[중앙시평] 의과학 정책에 대해 챗GPT는 이렇게 답했다
김명자 한국과총 명예회장·전 환경부장관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를 팬데믹이라 선언한(2020년 3월 12일) 지 3년 만에 대중교통에서도 마스크를 벗게 됐다. 세계 코로
-
에스티팜, 美 멀티버스파마와 항체의약품 대체 신규 mRNA 플랫폼기술 공동개발 협약 체결
에스티팜(대표이사 사장 김경진)은 미국 샌디에고 소재의 멀티버스파마(Multiverse Pharma)와 신개념 AER (항체단백질 인코딩 RNA, Antibody-encoding
-
암·노화 '생로병사 정복' 문턱 넘다…비밀 풀린 miRNA 뭐길래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 IBS 국내 연구진이 우리 몸의 유전자 조절을 담당하는 마이크로 RNA(이하 miRNA)의 생성 비밀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로 유전자
-
[건강한 가족] 폐 세척액에서 유전자 변이 진단, 폐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센터 탐방 건국대학교병원 정밀의학폐암센터 이계영 건국대학교병원 정밀의학폐암센터장은 “수술 전 EGFR 유전자 변이를 찾아내 표적항암제를 먼저 투여하면 병소를 축소시키고 미세
-
[라이프 트렌드&] 미래차·반도체·바이오헬스 … 신산업 이끌 인재 키운다
단국대학교, 관련 전공 신설 등 전문 인력 양성 위한 교육 투자 확대 단국대가 미래차, 반도체, 바이오헬스, 수소, 지식재산 등 미래 신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투자를
-
성공만 하면 초대박, 바이오…3년뒤 반란 일으킬 기업들 유료 전용
지난주 앤츠랩에서 바이오산업의 무게중심이 유전자·세포치료제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드렸어요(‘미워도 다시 한 번’ 바이오, 2025년을 주목해야 할 이유①). 201
-
[라이프 트렌드&] '토탈·오픈형 산학협력' 목표…단국대 다산링크3.0사업단 본격 활동
교비 110억원 등 총 350억원 투입 단국대 다산링크3.0사업단이 ‘토탈·오픈형 산학협력’을 목표로 활동을 시작했다. 지난 12일 단국대 죽전캠퍼스에서 열린 사업단 현판 제막식
-
[제약&바이오] 바이오신약 연구 역량 강화, 글로벌 100년 기업 향해 뛴다
유한양행 유한양행이 지난 20일 창립 96년을 맞았다. 유한 100년사를 목전에 두고 있는 현재, 유한양행은 끊임없는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로 글로벌 기업을 향해 전진하고
-
[소년중앙] 바이러스와 안전하게 공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2022년 4월 25일, 코로나19의 국내 감염병 등급이 제1급에서 제2급으로 조정됐습니다. 우리나라의 높은 백신 접종률과 먹는 치료제 보급 등 코로나19 발생 초기보다 대응 수
-
에스티팜, TIDES USA 학회에서 ‘올리고 CDMO 사업 노하우를 활용한 mRNA 플랫폼 기술의 개발’ 주제 발표
에스티팜(대표이사 사장 김경진)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미국 보스톤에서 열린 TIDES USA 학회에 Gold 스폰서로 참석해 Spotlight Sessi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출간
코로나19가 전 세계에 퍼진 이후 우리를 위협하는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었다. 인류 역사상 이렇게 많은 사람이 ‘백신’에 관심을 가진 적은
-
에스티팜, LNP 원료 공급으로 글로벌 mRNA CDMO 사업 본격화
에스티팜(대표이사 사장 김경진)은 북미 소재 바이오텍과 177억 원 규모의 mRNA-LNP 구성 핵심 원료인 Lipid(지질)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mRNA CDMO(위탁
-
에스티팜, LNP 원료 공급으로 글로벌 mRNA CDMO 사업 본격화
에스티팜(대표이사 사장 김경진)은 북미 소재 바이오텍과 177억 원 규모의 mRNA-LNP 구성 핵심 원료인 Lipid(지질)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mRNA CDMO(위탁
-
"1달러 지원, 4달러 수익"…코로나 줄어도 백신 파고드는 호주
7일 기자가 찾은 호주 멜버른의 모나시(Monash) 약학 대학은 들뜬 분위기였다. 이날 모나시 대학은 QS 세계 대학 순위 약학 부문에서 영국 옥스퍼드와 미국 하버드 대학을 제
-
[Biz & Now] 삼성, 미래기술육성 사업 27건 선정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과 삼성전자가 올 상반기부터 지원하는 연구 과제 27건을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기초과학 분야 12개, 소재 분야 8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7개다.
-
노화 원인 규명, 버그 없는 가상화…삼성, 미래기술 연구 27건 선정
2022년 상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연구자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강찬희(서울대), 권영진(KAIST), 김대현(경북대), 김준성(포스텍), 양용수(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