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구조조정, KDI 해법…"학생들 '발로 하는 투표' 끌어내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원(KDI)에서 졸업생 평균 연봉과 학과별 취업률 순위를 매겨서 대학 구조조정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30일 KDI가 주최한 제2차 국가미
-
[단독]韓 한계기업 OECD 6위…고금리·고환율에 벼랑 끝 몰린다
한계기업 이미지. [중앙포토] 국내 유일의 태양광 잉곳·웨이퍼(태양전지 제조용 소재) 제조사 웅진에너지는 지난달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파산했다. 중국 소재 업체들의 추격으로
-
[유홍림의 퍼스펙티브] 대학의 본질은 자유, 관료적 규제부터 혁파해야
━ 위기의 대학, 살길은 무엇인가 유홍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위기와 불확실성.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할 때 빈번하게 사용하는 키워드다. 팬데믹 상황에서 정치 갈
-
송영길 “강북이 제일 못 산다” 논란…'숫자'만 틀린 게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가 19일 오후 서울 노원역 인근에서 집중유세를 한 뒤 이동하며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강북이 제일 못 산다”는 송영길 더
-
[박영범의 이코노믹스] 초중고는 돈풍년, 대학은 돈가뭄…인재 언제 키우나
━ 수요·공급 어긋난 교육시장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부 교수 우리나라 교육산업은 불황을 모른다. 통계청이 조사하는 사교육비 조사에 의하면 2019년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
서울 턱밑 하남·과천도 분만실 '0'…"인구 부총리 신설, 정년연장 논의할 때" [리셋코리아 인구분과 전문]
한국의 올해 출생아 수가 25만명에도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2012년 48만5000명에서 불과 9년 만에 반토막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인구가 자연 감
-
[박영범의 이코노믹스] “유연한 해고가 일자리 만든다” 역설, 미국·유럽이 증명
━ 최악의 고용 상황 빠져나올 탈출구는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코로나19로 인한 일자리 충격이 심각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고용동향을 보면 1년 전보다 21
-
좋은 빚만 보고 나쁜 빚 눈 감고…文, 이야기 않는 불편한 진실
━ 모르핀·스테로이드로 한국 경제 고질병 고칠까 칼럼니스트의 눈 메인 국민소득 3만 달러가 붕괴할 위기다. 1인당 GNI는 2018년 3만3434달러에서 2019년
-
[뉴스분석]작년 성장률 금융위기 이후 최저…올해도 '반등' 불투명
성장률 이미지. [중앙포토] 정부가 지난해 막판에 나랏돈을 대거 풀며 2% 성장률은 가까스로 지켜냈다. 정부는 '선방'이라고 표현하며 "반등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
한국당 경제 대안은 민부론…“감세로 가처분 소득 확대”
자유한국당의 경제 대안은 ‘민부론(民富論)’이다. 경제학계 대표 고전인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國富論)’(1776)의 변용으로 국가보다 개인을 강조하려는 의미를 담았다. 실제 보
-
[단독] 한국당 77인 경제 필승카드···국부론 넘어 '민부론'
자유한국당의 경제 대안은 '민부론(民富論)’이다. 경제학계 대표 고전인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國富論)’(1776)의 변용으로 국가보다 개인을 강조하려는 의미를 담았다. 실제 보
-
국내 기업 해외 엑소더스 이유는? "법인세·해외소득 과세"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7일 발표한 '조세 국제경쟁력지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의 조세경쟁력 순위가 지난해보다 두단계 하락한 17위를 기록했다고 지적했
-
[중앙시평] 무능한 진보, 소득주도 성장으로 제 무덤 파나
이철호 논설주간 꼭 1년 전 이 자리(8월 23일자)에 ‘한국 경제의 생체실험…소득주도 성장’이란 글을 썼다. 3주 후엔 ‘경제학원론과 정반대의 위험한 소득주도 성장’ 칼럼도 실
-
10명 중 7명 “올해 경기 꺾여 성장률 3% 밑돌 것”
고위 당·정·청 협의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 셋째) 등 참석자들이 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
-
[월간중앙 3월호-단독 인터뷰] 문재인 대선캠프서 영입한 전윤철 전 감사원장
전윤철의 오랜 별명은 혈죽(血竹)이다. 우리말로 ‘핏대’인데 논쟁을 즐기고 꼬장꼬장한 그의 성격을 잘 나타내는 별호다. 그의 문재인 대선캠프 합류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호남을
-
[서소문 포럼]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성적표
김동호논설위원박근혜를 포함해 역대 대통령은 11명이다. 이들의 핵심 과업은 두 가지, 안보와 민생이다. 결국 국민이 안심하고 잘 살게 하는 것이다. 대통령들은 좌충우돌하면서도 대체
-
[비즈 칼럼] 뉴노멀시대, 일자리 열쇠는 중소·중견기업
주영섭중소기업청장2010년대 초부터의 세계경제 기조인 저성장으로 대변되는 뉴노멀 시대가 본격화하고 있다. 뉴노멀 시대의 핵심 화두는 일자리 창출이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나
-
[단독] “물러나 있어야” 친박계에 돌직구 던진 원희룡 인터뷰
원희룡 제주 지사. 오상민 기자원희룡 제주지사는 민감한 질문에도 주저하지 않고 시원스럽게 대답했다. 8월 9일 전당대회에 친박 후보가 당 대표 선거에 나서는 걸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
[사설인사이트]세계에서 '막말 정치'가 먹히는 이유
제 남편도 만족을 못 시키면서 미국을 만족시키겠다고?저 X이 보도한 것은 다 거짓말이다. 저 X은 삼류기자다.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사실상 공화당 후보가 된 도널드 트럼프의 ‘유명한
-
우간다보다 못한 87위라던 금융 순위, 넉달 만에 6위?
지난해 한국 금융권은 때아닌 ‘우간다 홍역’을 치렀다. 지난해 9월30일(한국시간)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금융시장 성숙도는 세계 140개국
-
[Column] 저성장 돌파구, 제조혁신에서 찾자
우리 경제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201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2.5%에 그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금융위기로 성장률이 급락했던 200
-
[똑똑한 금요일] 검은 대륙의 황금 황제 만사 무사, 그보다 부자는 없었다
1324년. 이슬람의 성지 메카로 향하는 수많은 행렬 중 단연 눈에 띄는 한 무리가 있었다. 말리제국의 왕인 만사 무사(1280~1337)의 순례단이다. 페르시아 비단과 양단으로
-
역사상 최고 부자는 말리 제국의 만사 무사
1324년. 이슬람의 성지 메카로 향하는 수많은 행렬 중 단연 눈에 띄는 한 무리가 있었다. 말리 제국의 왕인 만사 무사(1280~1337)의 순례단이다. 페르시아 비단과 양단으로
-
[서소문 포럼] 알박기 걷어내야 노동개혁 가능하다
김기찬논설위원 겸고용노동선임기자▶대학등록금 매년 540만원 감면 ▶최저임금 시간당 1만4400원으로 인상 ▶2017년까지 에너지 요금 동결 ▶맞벌이 부부의 3~4세 아동에게 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