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령, 창조하는 사람으로 기억되길”
고 이어령 선생 1주기 추모식에서 열린 김덕수와 앙상블 시나위의 추모 공연. 김현동 기자 “창조하는 사람으로 기억됐으면 좋겠어요. 우물을 찾는 사람, 누군가 마시는 물의 수원(水
-
‘영장실질심사’ 도입…사법개혁 디딤돌 놓은 전 대법원장 [윤관 1935~2022.11.14]
윤관 전 대법원장이 11월 14일 노환으로 영면에 들었다. 향년 87세. 윤 전 원장은 취임 첫해에 구성된 '사법제도발전위원회'를 주도했다. 사진 대법원 사법부 독립과 사법개혁의
-
이병철 선대회장 총애 받았다 “CJ그룹 출범의 숨은 주역” [손복남 1933~2022.11.5]
고(故) 손복남 CJ그룹 고문. 사진 CJ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어머니 손복남 CJ 고문이 5일 오전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9세. 이날은 CJ그룹(창업 당시 제일제당)
-
"이유도 모른채 끼여있다 참사" 축제는 한순간 재난이 됐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158명 2022.10.29]
“야, 나 겨우 살아나왔어!” 핼러윈데이를 앞둔 29일 밤 10시 25분쯤 서울 이태원역 1번 출구 쪽 길가에 한 여성이 주저앉으며 이렇게 외쳤다. 뒤이어 “119에 전화 좀 걸
-
인혁당 사건뒤 노동운동 투신...노무현 정부 초대 노사정위원장 [김금수 1937~2022.10.25]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국정과제회의(노사정위원회)를 주재하기 위해 故 김금수 노사정위원장과 이야기를 하며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중앙포토 노무현 정부에서 초대 노사정위원장
-
박정희·오바마·고이즈미...그의 캐리커처가 한국 현대사였다 [박기정 1935~2022.10.18]
만화 『도전자』, 『폭탄아』 등을 그린 1세대 대표 만화가 박기정 화백이 18일 별세했다. 87세. 고 박기정 화백 만화계에 따르면 박 화백은 최근 폐암 진단을 받고 투병해오
-
나비넥타이 매고 “이게 뭡니까”...정치에 직언한 ‘보수 맏형’ [김동길 1928~2022.10.4]
보수 원로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4일 별세했다. 94세. 고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 중앙포토 5일 유족에 따르면 숙환으로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 중이던 김
-
日 ‘살아있는 경영의 신’ 떠나다…우장춘 박사의 사위 [이나모리 가즈오 1932~2022.8.24]
일본에서 ‘살아있는 경영의 신(神)’으로 추앙받던 이나모리 가즈오(稻盛和夫) 교세라 창업주·명예회장이 노환으로 별세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30일 일제히 보도했다. 90세. 교세라는
-
‘의약보국’ 신념...'국민 소화제' 베아제, 우루사 창시자 [윤영환 1934~2022.8.20]
대웅제약 창업주 고(故) 윤영환 명예회장. 뉴스1 대웅제약 창업주인 윤영환 명예회장이 20일 오전 2시 별세했다. 향년 88세. 고(故) 윤 명예회장은 ‘좋은 약으로 국가를
-
MLB서 유명한 ‘67년 캐스터’…"다저스의 목소리가 떠났다" [빈 스컬리 1927~2022.8.3]
메이저리그(MLB) LA 다저스의 경기를 67년간 전담 중계한 ‘다저스의 목소리’ 빈 스컬리가 세상을 떠났다. MLB닷컴 등 미국 언론은 지난 8월3일(한국시간) 다저스 구단의
-
‘한탄 바이러스’ 발견한 韓대표 의학자...노벨상 후보 물망 [이호왕 1928~2022.7.5]
고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 연합뉴스 유행성 출혈열의 원인균 '한탄 바이러스'를 발견한 우리나라 대표 의학자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가 5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
"英이튼보다 좋은 학교 만들어 큰 장사할 것" 민사고 설립 [최명재 1927~2022.6.26]
민족사관고등학교(민사고)의 설립자 최명재 전 파스퇴르유업 회장이 26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고 최명재 민사고 이사장. 뉴스1 1927년 전북 김제군에서 태어난
-
韓경제학 기틀 다진 ‘흰눈썹 거목’...한은 총재·서울시장 역임 [조순 1928~2022.6.23]
경제학계의 ‘거목’ 조순 전 경제부총리는 지난 6월 23일 새벽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고 조순 전 경제부총리. 중앙포토 조 전 부총리는 한국 경제학 기틀을 다
-
새한그룹 출범시킨 ‘삼성가 3세’...이재용 회장의 사촌형 [이재관 1963~2022.6.11]
고 이재관 새한그룹 전 부회장. 중앙포토 이재관 전 새한그룹 부회장이 11일 별세했다. 향년 59세. 고인은 고(故) 이병철 삼성 창업주의 손자이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는
-
DJ와 함께 '80년 5월 사형수'…5·18 진상규명에 평생 바쳐 [정동년 1943~2022.5.29]
정동년 5·18기념재단 이사장. 1980년 5월 광주민중항쟁 당시 사형 선고를 받았던 정동년 5·18기념재단 이사장이 별세했다. 79세. 5·18기념재단 측은 29일 정 이사
-
4남매 낳고 요리 만학도…한국 음식 세계 알린 ‘문화사절’ [한정혜 1931~2022.5.9]
요리연구가 고 한정혜씨. 중앙포토 한국 음식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에 공헌했다고 평가받는 요리연구가 한정혜 전 한정혜요리학교장이 9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1세. 고인
-
끝내 日사과 못받고 떠난 위안부 할머니...이제 열한분 남았다 [김양주 1924~2022.5.1]
고 김양주 할머니. 중앙포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양주 할머니가 별세했다. 향년 98세. 2일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마산·창원·진해시민모임에 따르면 일본군 위안부
-
민변 창립 이끈 시국사건 1호 변호사..."사서 고생하자" 큰 울림 [한승헌 1934~2022.4.20]
“사서 고생하는 사람이 됩시다. 이런 사람이 늘어감으로 해서 역사는 진보합니다. 약한 자에게 힘을 주고 강한 자를 바르게 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가 좀 더 사서 고생하는
-
정치 참여 제의 뿌리치고...한국 헌법학 기반 다진 ‘41년 교수’ [김철수 1933~2022.3.26]
김철수 서울대 명예교수의 생전 모습. 그는 한국 헌법학의 기초를 다진 헌법학자다. 중앙포토 한국 헌법학의 기초를 다진 원로 헌법학자 김철수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가 26일
-
민청학련 변호, 민변 창립...군사정권 맞선 ‘1세대 인권변호사’ [홍성우 1938~2022.3.16]
1세대 인권변호사로 활동한 홍성우 변호사가 16일 별세했다. 향년 84세. 연합뉴스 군사정권 시절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 등에서 민주화 운동가 등을 대변하며 ‘1세
-
'바람의 나라'로 갔다···'한국의 디즈니' 꿈꾼 넥슨 창업자 [김정주 1968~2022.2.28]
고 김정주 NXC 대표. 국내 1위 게임사 넥슨의 창업자 김정주 NXC 이사가 세상을 떠났다. 향년 54세. NXC는 1일 "넥슨을 창업한 김정주 NXC 이사가 지난달 말 미
-
LS그룹 부흥 이끌고...사촌동생에 ‘아름다운 경영 승계’ 화제 [구자홍 1946~2022.2.11]
“가족들에게 자긍심과 행복을 주기 위해 성실한 삶, 그리고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사는 데 노력하고 있고 여기서 삶의 보람을 느낀다.”(구자홍 LS니꼬동제련 회장) 가족을 가장
-
“별 더 다는 것보다 중요” 주한미군 철수 반기든 미군 장군 [존 싱글러브 1921~2022.1.29]
1977년 지미 카터 당시 미국 대통령의 주한미군 철수 계획에 반대했다가 소환됐던 존 싱글러브 전 유엔사령부 참모장(예비역 소장)이 지난달 29일 별세했다. 100세. 뉴욕타임스
-
민주열사들 어머니....아들 이한열 죽음뒤 민주화 운동가 변신 [배은심 1940~2022.1.9]
지난해 6월 9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에서 열린 제34주기 이한열 열사 추모식에서 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배 여사는 아들의 죽음 이후 민주화 운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