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P “이제 좀 놓아주십시오” 박정희 “왜, 총리 하기 싫어?” 유료 전용
1975년 12월 나는 건강상의 이유로 국무총리직을 사퇴했다. 4년6개월 전 총리에 취임한 뒤 쉴 새 없이 달려오다 보니 육체적으로 한계 상황에 다다른 것이다. 이후락 중앙정보부
-
“아 글쎄, 이후락 그 자가…” 박정희 분노케한 ‘DJ 납치’ (56) 유료 전용
국무총리 시절인 1973년 8월 초 나는 농수산부 장관과 전국의 목장을 둘러보며 낙농 실태를 점검하고 있었다. 8일 늦은 오후, 부산에 머무르고 있는데 황인성 총리실 비서실장(1
-
JP “박정희 3선 마지막” 유세…그때는 유신 상상도 못 했다 (49) 유료 전용
1969년 3선개헌(三選改憲)으로 가는 길목에서 박정희와 김종필(JP)은 충돌했다. 68년 봄 JP는 ‘자기 자리를 넘본다’는 박정희의 의심 속에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야인이
-
재판장 입 모양 찢어졌다 “피고인 김대중 사형” ⑫ 유료 전용
1980년 5월 17일 밤 10시쯤. 나, 김대중(DJ)은 서울 동교동 집에 있었다. 대문에서 ‘쾅쾅’ 두드리는 소리가 들렸다. 무장 군인들이 밀려들어왔다. 총검을 꽂은 소총
-
박정희, 망명 중이던 DJ에 “한국 오면 부통령 주겠다” ⑦ 유료 전용
망명(亡命). 망명은 정치적 핍박과 박해를 피하려는 쫓기는 자의 고독한 운명이다. 고향의 품으로 돌아갈 수 없는 비운의 삶이다. 자신의 가족과 지인들을 위험에 빠뜨리는 죄책감을
-
‘긴급조치 9호’ 피해자, 국가 상대 소송 2심도 승소
서울 서초동 법원청사 전경. 연합뉴스 박정희 정권 시절 ‘긴급조치 9호’를 위반한 혐의로 옥고를 치른 김명식 시인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 1·2심에서 모두 승소했다.
-
경찰 감시에 텃밭도 못 넘던 아버지…"긴급조치 9호 특별법을"
“한국경제 파탄은 박정희 도당에게 책임이 있다” “박정희 도당과 청와대를 때려 부숴야 한다” 고(故) 윤중희(당시 45세)씨의 인생은 1975년 7월 22일 충남 서천군 장향읍에
-
보기 민망하다 '70세 진보 대학생' 이해찬…이제 현실로 오라 [김재섭이 고발한다]
왼쪽은 이해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오른쪽은 문재인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정부 청와대 비서진. 운동권 출신 정치인과 학자, 시민단체 소속 학자들이 대거 포진했다. 그래픽=김경진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미·중 전쟁과 코로나 2중고, 우리의 무기는 민주주의
━ 세계사의 흐름과 한반도 정세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한국의 역사는 세계사적 흐름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다. 특히 제국주의 시대 이후 모든 일국사는 세계사의 흐름에
-
‘긴급조치1호’ 피해자 오종상 별세 나흘전 국가배상 받아냈다
1974년 박정희 정권 유신체제 아래 선포된 ‘대통령 긴급조치 1호’를 어긴 혐의로 옥살이한 오종상씨가 재심을 거친 끝에 국가의 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을 받았다. 오씨가 국가의
-
[단독] 민주화, 5·18 이어…정청래 "유신 피해자 보상법" 발의
더불어민주당이 유신체제 긴급조치로 불이익을 받은 피해자와 그 유족에게 금전적 보상을 해주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정청래
-
[분수대] 상소문
한애란 금융기획팀장 1972년 12월 충청남도 한 집안에서 전해 내려오던 상소문 필사본 책자가 언론에 공개됐다. 조선 말 헌종 때인 1846년 평양기생 초월이 쓴 상소문이었다.
-
김재규 "유신 헌법을 놓고 볼때···" 판사 "진술 그만하세요"
유신 체제의 중심에 있었던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 갑작스레 박정희 전 대통령을 암살한 것은 한국 현대사의 가장 큰 물음표 중 하나로 남아있다. 차지철 경호실장과의 갈등설부터
-
[전영기의 시시각각]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전영기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김영삼 전 대통령(1927~2015)은 집권 때 업적보다 야당 시절 민주화 운동이 빛났다. 1979년 9월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뉴욕타임스와의 기자회견
-
[박철희의 한반도평화워치] 한·미·일서 나오는 한·미 동맹 약화론 기민하게 대응해야
━ 흔들리는 한·미 동맹 지난해 10월 31일 미국 국방부에서 열린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사용된 태극기와 성조기를 미군 의장병들이 옮기고 있다. SCM에는 양국 국
-
‘부마항쟁 국가기념일’ 지정에 민주당 “당연한 결과. 환영”
부산일보 사진기자 출신인 정광삼 한국사진작가협회 부산시지회 자문위원이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에 기증한 40년 전 부마민주항쟁 당시 사진. [연합뉴스] 부마항쟁의 국가기념일 지정에
-
조국 "몇번 정독"-나경원 "창피해"…文 대통령 기고문 전문 보니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연합뉴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문재인 대통령의 독일 일간지 기고문에 대해 "문 대통령의 마음과 뜻과 숨결과 맥박이 오롯이 느껴지는 글"이라고 극찬했다
-
[전문] 文대통령 “南北 화해로 동북아 평화 촉진” 獨 기고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신(新)한반도 체제는 수동적인 냉전질서에서 능동적인 평화질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며 “한국은 남북화해를 기반으로 동
-
부마항쟁 때 계엄령 놓고 대법 "위헌ㆍ무효"…사법부 첫 판단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 지역에서 일어난 ‘부마항쟁’은 유신체제의 종말을 알린 역사적 사건이다. 부가가치세 신설 직후에 발생한 물가 폭등 현상이 심화되면서 유신체제에 대한
-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만들자” 100만 서명운동 나서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범국민 추진위원회 출범식 뒤 부산시청 로비에서 기념일 지정 촉구 서명을 받고 있다. [송봉근 기자]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
-
‘유신 반대 시위’ 징역 받았던 이재오 재심 3년 만에 재개
이재오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뉴스1] 유신체제 반대하는 시위를 하다 유죄를 선고받고 옥고를 치른 이재오(73) 자유한국당 상임고문의 재심 재판이 3년여 만에 다시 열린다.
-
부마항쟁 때 돌멩이 1개 던져 징역 산 20대, 재심서 ‘무죄’
1979년 부마민주항쟁 당시 부산 시내에 등장한 탱크. [사진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연합뉴스] 1979년 부마민주항쟁 때 돌 1개를 파출소를 향해 던져 당시 징역형을 받았던 20
-
부마민주항쟁 기념일 두고, 부산 “16일” 창원 “18일” 이견
지난해 10월 17일 오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동 문화광장에서 열린 부마민주화항쟁 전야제에 전시된 신문 판넬. [연합뉴스] 부마민주항쟁 기념일 제정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
-
[분수대] 위수령의 종언
김남중 논설위원 박정희 정권 유신체제의 시작과 끝은 공교롭게도 위수령(衛戍令)과 함께였다. 군인들이 치안 유지 명분으로 캠퍼스와 시가지에 주둔하면서 시위 학생·시민을 진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