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저우 아시안게임 카운트다운, 최첨단 기술 향연 펼쳐진다
2023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4일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23일 개막을 앞두고 현지 분위기가 점차 달아오르고 있다. 이번 대회는 알리바바의 고장 항저우에서 열리는 만큼, 최첨단
-
‘가뭄에 단비’ 부동산 위기에 초강수 던진 중국, 효과 어떨까
중국 당국이 무너지는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인공호흡에 나섰다.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을 잇달아 내놓으며 위기에 내몰린 시장에 숨을 불어넣고 있다. 중국 경제를 떠받치는 부동
-
불황에 소비 욕구 주춤? 양극화된 중국인 소비 리포트
중국 경제가 불황에 빠지면서, 글로벌 업계의 우려 섞인 시선이 대륙으로 집중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소비는 팬더믹 이전인 2019년의 수준을 회복했
-
아이돌급 인기? 中 초중고생 사이 열풍 일으킨 이것
7월 14일 칭화대 동문에서 초·중생 연수 패키지여행단이 박사학위복을 입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新京報 캡처 40도가 넘는 무더위 속, 베이징대 앞에 학생 단체가 줄을 길
-
웨이팅 기록 행진, 대륙을 평정한 야시장 감성 훠궈집
훠궈(火鍋·중국식 샤브샤브)의 본고장 충칭(重慶)과 청두(成都)를 평정한 훠궈집이 있다. 복고풍 야시장 컨셉으로 현지 MZ 세대의 취향을 사로잡은 핑제훠궈(萍姐火鍋) 얘기다. 개
-
‘왕의 귀환’ 마윈의 선견지명, 이번에도 통할까?
‘비즈니스의 황제’가 돌아왔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馬雲)이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찾아 나섰다. 해양산업과 신에너지 융합 발전의 가능성에 투자했다. 중국 당국의 빅테크 규제 이
-
‘이름도 몰랐는데…’ 인기 급상승한 중국 도시, 왜?
중국 사회에서 지방 도시의 존재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얼마 전 발표된 ‘2023 중국 왕훙 도시 명단’에서 지방의 소도시가 1위에 오르며 화제를 모았다. 그뿐만 아니라 신1선
-
‘둘 중 하나는 논다?’ 중국 실업률 생각보다 심각한 이유
중국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고점을 돌파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3년 6월 기준 중국의 16~24세 인구 도시 실업률은 21%에 달하며 역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어
-
세계 최초 챗 GPT 탑재 전기 자전거, 베일 벗었다
올해 들어 챗 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중국의 한 스타트업이 만든 ‘생각하는 자전거’가 주목받고 있다. 챗 GPT를 탑재한 이 전기 자전거는 실시간 데
-
‘1위는 비야디’ 2023 상반기 전기차 판매 실적 나왔다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한 전기차 업계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비야디(比亞迪⋅BYD)와 테슬라가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나머지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
중국서 창업 15만에 빛 봤다…역주행 중인 '밀크티집' 승부수
요즘 중국에서 역주행 중인 밀크티 브랜드가 있다. 프리미엄과 가성비로 양분화된 중국 밀크티 시장에서 디테일의 차이로 조금씩 매장을 늘렸다. 창업 15년, 매장 수는 7000곳을
-
‘해외 활약’ 구글 선정 中 최고의 글로벌 브랜드는?
중국 업체들이 해외로 적극적으로 진출함에 따라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는 중국 브랜드가 늘어나고 있다. 2023년 현재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중국 브랜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구
-
‘상견니’ 허광한 썼지만…中 국민 음료, 예전 같지 않은 이유
와하하(哇哈哈)는 한때 중국 음료 계의 대표주자로, 업계에서 성공의 교과서로 여겨졌다. 생수, 요구르트, 콜라 등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며 중국의 국민 음료 브랜드로 널리 사랑받
-
글로벌 TOP 10 절반 점유, 中 유니콘 대세 업종은?
2023년 현재 중국은 500여 개의 유니콘 기업을 거느리고 있다. 그 규모는 13조 위안(약 2336조 3600억원)에 달하며, 글로벌 유니콘 TOP 10 가운데 5곳이 중국
-
‘카피캣 오명’ 중국판 다이소, 뉴욕 타임스퀘어 입성
‘중국판 다이소’ 미니소(名創優品·MINISO)가 해외 시장으로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 과거 카피캣이라 불리던 미니소는 IP 상품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았으며, 북미
-
베이징·상하이 아냐, 1인당 850만 원 쓰는 中 최대 소비 도시
중국 최대의 소비 도시는 어디일까. 최신 통계에 따르면, 항저우(杭州)가 4대 대도시(北上廣深, 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를 제치고 중국 최대 소비 도시에 올랐다. 중국 도시
-
흔들리는 ‘바이두 천하’, 中 검색엔진 판도 달라졌다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百度)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과거 80%에 가까운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하던 바이두지만, 최근 중국 국내 외 경쟁업체에 밀리면서 시장 점유율이 절반
-
생산 중단에 파산까지, 격변의 중국 전기차 시장
‘영원한 일등은 없다.’ 중국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과열됨에 따라 업계 판도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판매량을 꾸준히 늘리며 상승가도를 달리는 업체가 있는가 하면, 화려한 시
-
‘스벅 제치고’ 1만 매장 달성, 루이싱 ‘화려한 부활’의 의미
중국 본토에 처음으로 1만 점을 달성하는 커피 전문점이 생긴다. 지난날 회계 부정으로 ‘상장 폐지’까지 갔던 루이싱 커피(瑞幸咖啡·Luckin Coffee)가 그 주인공이다. ‘
-
‘X, Y, Z 개성 뚜렷’ 중국 세대별 소비 성향 어떻게 다를까
중국의 시대별 소비 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 얼마 전 미국의 보스턴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BCG) 산하 싱크탱크 CCI(Center f
-
요즘 뜨는 핫플, MZ세대 몰리는 중국의 이 도시
“올봄, 여기는 꼭 한번 가야 해” 2023년 상반기, 중국 난징(南京)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필수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몇 개월 사이 방문객 수가 크게 늘며 이른바
-
글로벌 인기? 중국 앱 해외 진출 현주소 톺아보기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앱의 위상이 사뭇 달라졌다. 틱톡(TikTok)을 필두로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유형의 앱이 해외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소비자가 많이
-
미국 휩쓴 중국 앱② 틱톡 회사가 만든 동영상 편집앱 ‘캡컷’
중국 앱 틱톡(抖音·TikTok)의 글로벌 확산세로 우려가 짙어지는 가운데, 제2, 제3의 틱톡이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틱톡과 함께 미국 앱스토어 다운로드 1~3위를 휩쓴 테
-
챗GPT에 물었다. “중국에서 살기 좋은 도시는?”
챗GPT가 각 분야에서 주목받으면서, 중국에서도 관련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중국의 살기 좋은 도시에 관한 챗GPT의 답변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