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구동에 원자력 기술?…"전문가 모집" MS, 채용 공고 낸 까닭
마이크로소프트 로고. AP=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평가받는 소형 원자로를 인공지능(AI) 등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
[최준호의 사이언스&] 한국 인공태양 KSTAR, ‘1억도 300초’ 위해 업그레이드 중
━ 핵융합에너지연구원 현지 르포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논설위원 무한청정 에너지를 꿈꾸는 ‘한국의 인공태양’ 케이스타(KSTAR)가 도약을 위한 변신에 한창이다. 태양
-
한국 인공태양 KSTAR, 1억도 300초 목표 위해 변신 중
━ 핵융합에너지연구원 토카막 타일 교체 현장 르포 윤시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이 KSTAR 내부 토카막에 새로 설치한 텅스턴 디버터를 점검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
-
미·중·러·인·일 다 뛰어들었다…'하늘에 떠 있는 광산' 달 전쟁
지난해 11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무인 우주선 오리온이 달 궤도에서 찍어 온 달의 모습. UPI=연합뉴스 달이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냉전 이후 반세기 만에
-
한국팀 ‘상온 초전도체’ 개발 주장…아직 학계 검증 못 받아
퀀텀에너지연구소가 상온·상압 초전도 물질이라며 공개한 LK-99(작은 물체)의 모습. ‘꿈의 물질’로 불리는 초전도체 논쟁이 뜨겁다. 전기 저항이 사라지고 물건을 공중에 띄울 수
-
"사실이면 노벨상감" 韓 초전도체 개발…美·中서도 "어? 진짜 되네"
초저온 초전도체 위에 자석이 떠 있는 모습. 자석이 뜨는 반자성 현상은 초전도체의 특성 중 하나다. 이석배 퀀텀에너지대표 등이 공개한 초전도물질은 반자성 효과는 약하지만, 또다는
-
챗GPT 창시자, 이번엔 소형원전에 투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올해 5월 런던에서 열린 월드투어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의 창시자인 샘 올트먼(38) 오픈AI 최고경영
-
‘챗GPT 아버지’ 올트먼, 이번엔 소형원전 띄우기…“스타트업 우회상장”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5월 런던에서 열린 월드투어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의 창시자인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
-
“방사능 비이성적 공포, 중세 마녀사냥과 비슷”
━ MIT 원자력공학 포스버그 박사 인터뷰 미국 메사추세츠 공대(MIT) 원자력공학 수석연구원 찰스 W. 포스버그 박사가 2010년 12월 22일 미 싱크탱크 CSIS에서
-
[소년중앙] 지구와 함께 시작된 ‘탄소순환시스템’ 무너진 균형 되살리려면
최근 여름께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뉴스가 있습니다. 올여름 더위가 예년보다 빠르다거나, 역대급 폭염 혹은 기록적인 장마 등의 내용이죠. 이는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
[트랜D] 달 표면의 헬륨-3가 인류를 구원할 수 있을까
인류가 최초로 달에 다녀온 이후 달에 대한 관심은 수십 년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나사(NASA)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도 매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
-
[장덕진의 퍼스펙티브] 우주는 최후의 프론티어, 우리의 미래를 키워야
━ 이미 막 오른 우주전쟁, 그 승자는…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리셋 코리아 운영위원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이제 세계 7대 우주 강국의 반열에 올랐다고
-
폭스콘 창업자 "1 지자체 1 소형원전"…탈원전, 대만 대선 핫이슈로
2일 대만 폭스콘 창업자 궈타이밍(郭台銘)이 소형 원전을 세워 전력난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진=대만중앙사 애플 아이폰을 조립하는 대만 폭스콘(鴻海)의 창업자 궈타이
-
[박권의 미래를 묻다] 초전도체, 인류 문명의 ‘퀀텀 점프’ 위한 결정적 도구
박권 고등과학원 교수 영화 ‘아바타’는 현재까지 가장 높은 흥행 수입을 올린 영화이자 특수효과의 한 획을 그은 영화다. 영화에 나오는 수많은 화려한 컴퓨터 그래픽 이미지 중에서
-
[이기명의 과학 산책] 꽃 잔치와 지구 운명
이기명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교수 이런 꽃 잔치가 없다. 춘분이 지나고 기온이 오락가락하더니 서울 홍릉 고등과학원 캠퍼스가 온통 수채물감을 풀어놓은 듯하다. 매화와 산수유꽃이 조금
-
[최준호의 사이언스&] 1억도 300초 견디는 타일, 영하 270도서 가동하는 진공장비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논설위원 천장형 크레인이 달린 3층 높이 공장 한쪽, ‘TCD 작업장’이라 써 놓은 팻말 아래 한 작업자가 은회색 기계장비를 조립하고 있다. 가로 3㎝
-
시작은 두꺼비집이나, 이젠 KSTAR·가속기 만드는 중소기업
━ [최준호의 사이언스&] 비츠로넥스텍과 연구장비산업 비츠로넥스텍의 연구진이 KSTAR 토카막 내벽에 들어갈 텅스텐 카세트 디버터를 조립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천장형
-
‘1억도 50초 유지’ 미션 도전…인공태양 뜰 날 머잖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22일 언론 간담회를 열어 한국형핵융합연구로의 모습을 공개했다. 사진은 초전도 핵융합연구장치인 인공태양(KSTAR) 진공 용기의 모습.
-
27년 후 ‘인공태양’ 뜬다…“천덕꾸러기 삼중수소는 귀하신몸”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의 주장치 진공 용기 내부 모습. 1억도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다. 현재는 성능 향상을 위한 유지 보수 단계에 있다.
-
[포토타임]'테러에 대비하라!' 국가중요시설 통합방위태세 이상무!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2023.02.23 오후 5:20 '테러에 대비하라!' 국가중요시설 통합방위태세
-
[박경렬의 미래를 묻다] 과학기술의 본질은 협력…미·중갈등 이분법 넘어서야
━ 갈수록 거세지는 기술패권 경쟁 박경렬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부루마블’. 유년 시절 친구들과 둘러앉아 했던 추억의 보드게임이지만, 그 이름이 무슨 뜻인지는
-
UAE 300억 달러 투자 성명에 명시…원전 3국 공동 진출도 타진
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이 16일 오후(현지시간)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에서 열린 3호기 가동 기념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대
-
[속보] 한-UAE 정상 공동성명…300억달러 한국투자 결정 명기
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이 16일 오후(현지시각) UAE 아부다비 알다프라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에서 열린 3호기 가동 기념 행사에
-
핵융합 실험 사상 첫 성공…인류 ‘무한 에너지’ 얻을까 유료 전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올겨울 유럽은 초긴장 상태였습니다. 에너지 공급 차질로 혹독한 겨울을 지낼까 봐 걱정이 컸습니다. 에너지 수급 문제는 유럽만이 아니라 모든 나라의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