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푸틴·시진핑 불참한 유엔총회서 ‘중·러 견제 외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8차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유엔 총회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중국의 핵심 광물 무기화와 디커플링
중국은 지난 8월 1일부터 반도체, 전기차, 태양광 패널 등 중요 산업에서 필수적인 광물인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 중이다. 이들 광물의 수출은 상무부의 허
-
“평양은 기름덩이에 앉았다” 소떼와 방북한 정주영의 흥분 ㉔ 유료 전용
미국 국빈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지 이틀 만인 1998년 6월 16일의 일이다. 앞선 한·미 정상회담에서 나, 김대중(DJ)은 빌 클린턴 미 대통령으로부터 ‘햇볕정책’에 대한
-
바이든 ‘희토류 세계 2위’ 베트남과 협력 합의…중국 견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지난 10일(현지시간) 하노이에서 팜민찐 베트남 총리와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회의를 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응우옌푸쫑 공산당 서기장과
-
바이든, 베트남서 ‘中견제 순방’ 마무리…반도체 파트너십, 공급망 확대
10일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앞줄 왼쪽)이 베트남 권력서열 1위인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앞줄 오른쪽)과 함께 하노이 대통령궁에서 열린 환영식에 참석
-
한국·호주 경제협력위 열어…"탄소중립 기술·자원 협력"
최정우 한-호주 경제협력위원장과 로저 쿡 서호주 주(州)총리가 8일 서울 JW매리어트에서 열린 ‘제44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연례회의에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 포스코홀딩스 한
-
‘이·모·반’ 초격차 기술 확보 나선다…K-연구개발 로드맵 띄워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17차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반도체 국가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
尹대통령 "前정부 푹 빠졌던 '재정만능주의' 단호히 배격"[전문]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내년도 예산안을 논의하는 제36회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정부의 방만한 재정 운영으로 국가채무가 400조 원 증가했고, 지난해 최초로
-
포스코퓨처엠, "2030년 매출 43조 목표"...친환경 사업 확 늘린다
포스코퓨처엠 임직원들이 28일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진행된 '비전공감 2023 : 포스코퓨처엠이 더해갈 세상의 가치'를 마치고 새로운 비전 달성을 기원하며 회사와
-
“미국이 대비하지 않으면 중국에 뒤처질 10가지”
미국은 국가안보의 여러 핵심 분야에서 여전히 중국보다 우위에 있지만, 최근 미국의 군사적 우위는 정체돼 있는 반면 중국은 빠르게 미국을 따라잡고 있다. 미국기업연구소(AEI)는
-
2차전지 광풍, 과당경쟁 땐 폴리실리콘 전철 밟을 수도
━ 증시 블랙홀 2차전지의 허실 한 배터리 관련 전시회에서 관람객이 전기차용 배터리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그동안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 왔던 반도체 수출이
-
긴축 끝나면 제조업 경기 되살아날 것...변수는 중국 경제
한국 수출과 밀접한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내년 이후에는 글로벌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 재화소비 정상화 등으로 점차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다만 중국의 부동산 경기 부진과
-
아이엠, 필리핀 PGMPI와 전략 희귀광물 개발 본격화
광학기술 기반의 전자부품기업 ㈜아이엠(대표 김태동)은 18일 필리핀의 전략적 자원 정제기업 PGMPI(Philippine General Minerals Project)와 진행 중
-
SK온·포드·에코프로비엠 1.2조원 들여 캐나다에 양극재 공장 짓는다
국내 배터리 기업 SK온이 소재업체 에코프로비엠, 미국 완성차 기업 포드와 손잡고 캐나다에 배터리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 북미 지역에서 배터리 밸류체인(가치사슬)을 강화하기 위한
-
미국은 돈줄·일자리 다 챙겼다…IRA 1년, 한국기업 속타는 사연
“이 법은 ‘제조업 르네상스 법’으로 불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 1주년 행사에서 연설하던 중
-
'반도체 공장' 비용 70% 보조…"中 제친다" 인도 극단적 혜택
정보기술(IT) 강국인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의 주축으로 자리잡겠다는 야망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대만과 갈등으로 ‘세계의 공장’ 입지가 흔들리는 중국을 대신
-
자원 막는 중국, 기술 막는 미국…G2 '공급망 싸움' 격화
원소 주기율표에 표시된 갈륨, 게르마늄 앞에 중국 국기 이미지가 합성돼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글로벌 공급망을 두고 벌이는 미국과 중국의 싸움이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미국이 중
-
시장 들었다 놨다…롤러코스터 주가 에코프로의 진짜 경쟁력은
최근 국내 산업계·주식시장의 화두는 단연 2차전지소재 업체인 에코프로다. 주당 100만원이 넘는 황제주에 등극(7월 18일)했다가 급락, 다시 황제주로 복귀(28일)하는 일이 최
-
2차전지, 에코프로만 아니? 증권사가 본 알토란 종목들 유료 전용
「 ‘2차전지’ 」 올해 주식 시장에서 가장 ‘핫’한 단어죠. 주식 투자자가 아니어도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데요, ‘2차전지=대박’이라는 등식이 떠오를 정도죠. 그럴 법도 합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가능할 것인가? (下)
사진 셔터스톡 미국과 우방국들의 반도체 분야 대중(對中) 봉쇄 극복은 수많은 난관을 동시에 극복해야 하는 지난한 과제이다. 봉쇄가 장기화할수록 반도체 가치사슬의 대부분을 스스로
-
성공한 거짓말, 궁금하시죠? 팩플 추천 여름휴가 책 8권 유료 전용
극한 호우와 극한 더위가 교차하는 7월의 마지막 주입니다. 이 무더위를 어떻게 보낼지 계획을 세우셨나요? 아직 계획 중이시라면 올여름이 끝나기 전에 팩플과 함께 책읽기 어
-
미국 뒷마당 파고드는 인민해방군
중남미에 2010년대 들어 중국이 손을 뻗치기 시작했다. 호의적 경제 협력과 원조를 통해 중국의 매력도를 끌어올렸다. 셔터스톡 중남미는 흔히 미국의 ‘뒷마당(backyard)’으
-
반도체는 경기도, 2차전지·디스플레이는 비수도권 거점
반도체는 경기도 중심, 2차전지·디스플레이는 비수도권 집중. 정부가 국내 주요 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해 각종 지원을 몰아주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첨단 특화단지) 7곳을 처
-
반도체·2차전지·디스플레이…'614조' 첨단특화단지 7곳 지정
한덕수 국무총리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도체는 경기도 중심, 2차전지·디스플레이는 비수도권 집중. 정부가 국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