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경호 논설위원이 간다]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은 문제 해결의 끝이 아니라 시작”
━ 강제징용 해법 갈등, 어떻게 풀어야 하나 서경호 논설위원 # 11일 오후 서울 시청 광장 동편. 원내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정의기억연대·민주노총·민변·전국민중행
-
"북핵 해결 기회 두 번 놓쳐...미사일·잠수함 대대적 확충을"[장세정 논설위원이 간다]
장세정 논설위원 북한의 핵 위협과 잦은 미사일 도발에 둔감해져 기억이 희미해졌지만, 3월 12일은 북한이 1993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갑자기 선언한 지 꼭 30년 되
-
[세컷칼럼] 트루먼 명패의 뒷면
한·일 과거사 문제는 지뢰밭이다. 독도,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가 난마처럼 얽혀 있다. 함부로 들어갔다간 길을 잃는다. 박근혜 정부는 위안부 문제의 문을 열었다가 중상을 입었고,
-
與 "강제동원 배상안 尹 결단 초석은 김대중-오부치 선언"
국민의힘은 12일 윤석열 정부가 제안한 제3자 변제 방식의 강제동원 배상안에 대해 “이번 결단이 국민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면 결단이라고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
"김정은, 종전선언 빠져 애석하다 해"...트럼프 '편지 정치' 공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에서 종전선언이 합의에 포함되지 않은 데 대한 유감을 거듭 표했던 것으
-
[중앙시평] 트루먼 명패의 뒷면
이현상 논설실장 한·일 과거사 문제는 지뢰밭이다. 독도,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가 난마처럼 얽혀 있다. 함부로 들어갔다간 길을 잃는다. 박근혜 정부는 위안부 문제의 문을 열었다가
-
한·일 셔틀외교 복원 본격화…일본 언론 “내주 정상회담”
윤석열 대통령이 한·일 관계 정상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6일 정부가 발표한 강제징용 해법의 정치적 여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한·일 셔틀외교 재개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
'징용해법' 여진 속 尹 방일 수순…셔틀외교 재개까지 '속전속결'
윤석열 대통령은 이르면 이달 중순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중이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속전속결로 한·일 관계 정상화 작업에
-
[단독]"땡깡부리고 압박" 교사 특채 의혹 판결문에 등장한 말
해직 교사 부정 채용 의혹을 받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달 2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뒤 건
-
"주소만 포항? 직원도 와야"…포스코지주사 '둥지전쟁' 2라운드
이강덕 경북 포항시장과 김정재 의원(포항북),김병욱 의원(포항남·울릉), 정해종 시의장과 지역 기관단체장 100여 명이 지난해 2월 8일 당시 포스코 포항본사 앞에서 포스코 홀딩
-
[단독] 노동개혁 마스터플랜, 6월 나온다…"노동계 출신도 참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9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유연성과 공정성, 또 이와 관련된 노사 법치주의, 그리고 산업 현장에서의
-
강인덕 前 장관 "지금이야말로 대북 심리전 재개할 때"
“대북 방송과 전단은 우리의 강력한 비대칭 전략 자산이다.” 김대중 정부 시절 초대 통일부 장관을 지낸 강인덕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석좌교수(92)가 지난달 발간한 회고록 『
-
[월간중앙] 직격인터뷰 | 윤심(尹心) 거머쥔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출사표
“총선 승리할 당대표? 나 말고 적임자 없어” ‘윤핵관’ 장제원 의원과 손잡으며 친윤계 단일 후보로 부상 “영남권 당대표 때 총선 승리 많아… 성패는 성과에 달려” 김기현 국
-
[단독] 강제징용, 日 '우회사과' 무게…한·일 재계, 모금 나설 듯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강제징용 해법 논의를 위한 공개토론회가 열렸다. 뉴스1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 추진해 온 강제징용 해법 도출이 막판으로 치닫
-
피해자들 “일본, 부담도 안 지고 사죄도 없다” 토론회 내내 고성·야유
12일 국회에서 열린 공개토론회는 방청석 곳곳에서 고성과 야유가 이어지면서 시종 아슬아슬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특히 피해자 측이 줄곧 요구해 온 일본 전범 기업의 배상 참여,
-
'韓기업이 강제징용 변제' 공식화…피해자 "日부담 전무" 반발
정부가 12일 열린 '강제징용 해법 논의' 공개 토론회에서 "피해자들이 '제3자'를 통해 판결금을 우선 받을 수 있다고 본다"며 일본 전범 기업 대신 한국 기업의 기부금 등으로
-
[사설] “무능한 것이 자랑이냐”는 유족 외침이 안 들리나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오른쪽)와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왼쪽)가 5일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를 17일까지 연장하는 합의문 발표를 마친 뒤 인사하고
-
'9ㆍ19 군사합의' 효력정지 검토…'평양선언'으로 확대되나
북한이 대남 도발을 강행할 경우 정부가 '9·19 남북 군사합의'의 효력을 정지를 검토하는 데 이어 2018년 9월에 발표된 '9월 평양 공동선언(이하 평양선언)'에 대해서도 재
-
[사설] 북한, 9·19 군사합의 준수하고 추가 도발 단념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29일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북한의 무인기 위협에 대한 우리 군의 감시·정찰 요격시스템을 포함한 국내 무기체계 개발 현황 전반을 점검하고 있다
-
존폐 기로 선 9·19군사합의…尹대통령 "효력 정지 검토"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무인기를 동원해 영공을 침범하는 등의 대남 도발을 이어가고 있는 북한을 향해 경고장을 보냈다.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
수도권 험지 출마론으로 뭉친 윤상현ㆍ안철수…윤핵관 압박
당원 100% 투표로 치러지는 3ㆍ8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수도권 대표론'이 부상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인 윤심(尹心)을 앞세우는 '윤핵관' 주자에 맞서 수도권에
-
슬쩍 고친 법안, 與 뒤늦게 좌절했다…법사위장 내준 野빅픽처
거야(巨野)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독주를 막아온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뚫리기 시작했다. 법사위는 법률안이 본회의로 넘어가기 전에 체계·자구 심사를 하는 곳(국회법 86조 1항)이다
-
‘일몰법’ 손 놓은 국회…30인미만 사업장 근로시간 대란, 건보료 국고지원 폐지 초읽기
올해 종료되는 일몰법(日沒法)을 연내 처리하겠다는 여야 합의가 공염불이 됐다. 주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30인 미만 사업장)와 건강보험재정 국고지원, 화물차 안전운임제 등의 법
-
[오병상의 코멘터리] ‘엉터리 예산심의’ 방지법
여야 지도부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내년 예산안·세법 일괄 합의 발표 기자회견에서 합의문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정책위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