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귀포 술집서 대접받는 법…주문 때 “노지 껄로 줍서!” 유료 전용
살면서 국어 교과서에 나온 지문 조금 읽었을 뿐인데 원작 다 읽은 것처럼 얼렁뚱땅 넘어간다거나, 맛보기 영화 프로그램 주섬주섬 보고 나서 전편 다 봤다고 착각할 때가 있다. 겉모
-
중국 식음료업계 강타한 6대 新 트렌드 (2편)
(1편과 이어집니다.) ━ 3. 지역 특산물, 식음료업계 新 성장 동력 되다 중국은 넓은 땅 크기만큼이나 다양하고 이색적인 식재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식재료는
-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 반도체 칩 독자 개발 나서나
[사진 셔터스톡] 빅 테크 기업들의 반도체 독립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애플을 비롯한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최근 몇 년간 앞다퉈 독자적인 반도체 칩 개발
-
이소룡 주연 ‘정무문’의 작가 니쾅 별세
니쾅 이소룡 주연의 ‘정무문’ 등 홍콩 대표 무협영화의 시나리오 작가 겸 소설가 니쾅(倪匡·예광·사진)이 지난 3일 지병으로 별세했다고 홍콩 명보가 4일 보도했다. 87세.
-
이소룡 영화 '정무문' 원작자…"반공 투철했던 홍콩의 천재" [니쾅 1935~2022.7.3]
지난 2007년 홍콩 북페어에 참석한 유명 작가 니쾅(倪匡·예광)의 모습 사진 홍콩 명보 이소룡 주연의 ‘정무문’ ‘당산대형’ 등 홍콩 대표 무협영화의 시나리오 작가 겸 소설가
-
[漢字의 비밀] 霖雨(임우)
한자의 비밀 장마를 나타내는 한자어 중 ‘霖雨(임우)’라는 단어가 있다. ‘霖雨(임우)’는 ‘霖(장마 림)’과 ‘雨(비 우)’로 구성된 한자어로 한국·중국·일본 등 한자문화권에서
-
[김기협의 근대화 뒤집기] 16세기 급팽창한 유럽, 아시아 따로 떼내 구별짓기
━ 누가 유라시아를 둘로 나눴나 김기협 역사학자 지구 표면의 모든 육지는 7개 대륙으로 구분된다. 면적 순서로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유럽,
-
[漢字의 비밀] 안면부지(顔面不知)의 아는 사이
한자의 비밀 6/18 코와 입은 완전히 가린 채 타인을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는 두 눈뿐이었다. 안면부지(顔面不知)의 마스크 생활도 어언 2년이 훌쩍 넘었다. 지난 5월에야
-
[주역으로 본 세상](24) 시진핑 이해의 키워드, 딱 3개
중국, 필자가 지난 20년여 년 매달린 주제다. 지금도 매일 새벽 중국 뉴스를 체크한다. 어긋나고 있다. 시진핑의 중국은 근육질을 과시하고, 국내에서는 반중 감정이 깊어지고 있다
-
[역지사지(歷知思志)] 논
유성운 문화팀 기자 김진명 작가의 『글자전쟁』은 한자(漢字)의 기원을 놓고 고구려와 한(漢)나라가 벌이는 문화전쟁을 다룬 소설이다. 작품에서 핵심 키워드는 ‘답(畓)이라는 글자다
-
[漢字의 비밀] 메타버스(metaverse)와 원우주(元宇宙)
한자비밀 1/1 한 해의 시작, 원단(元旦)에 한 해를 달굴 화제를 그려 본다. 메타버스는 분명 그중 하나일 것이다. 초월을 뜻하는 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의
-
[한 週 漢字] 歸(귀)-일상으로 돌아가다
한자 12/18 2021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문뜩 ‘2022년도에는 우리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 잠긴다. 코로나가 발생한 후, 약 2년 동안 세계인의
-
[한 週 漢字] 友(우)-벗, 손끝에서 전해지는 도타운 정
한자 12/4 벗 우(友) 자는 ‘벗’이나 ‘사이가 좋다’, ‘우애가 있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한자 자형인 갑골문에서는 또 우(又)를 나란히 겹쳐 그려
-
[한 週 漢字] 力(력)-일상과 힘
한자 11/20 力拔山氣蓋世(역발산기개세), ‘힘은 산을 송두리째 뽑아낼 만하고 기운은 세상을 온통 뒤덮을 만하다’는 말, 그렇기에 그럴 만한 능력을 지닌 영웅의 풍모를 일컬을
-
[한 週 漢字] 竝(병)-대립의 시대에 함께 선다는 것
한자 11/6 ‘竝’(병)자는 ‘나란히’나 ‘함께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다. 竝자는 두 개의 立(설 립)자를 함께 그린 상형글자로, 갑골문에서부터 발견되고 있으며, 자형이 점차
-
[한 週 漢字] 愛(애)-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한자 10/23 광복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노래 제목에 제일 많이 등장한 단어는 ‘사랑’이며, 가사에 ‘사랑’이 포함된 노래가 전체 가요의 65%에 달한다고 한다.
-
[한 週 漢字] 盡(진)-진정으로 盡하고 있는가
한자 10/9 ‘고진감래(苦盡甘來)’와 ‘흥진비래(興盡悲來)’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고진감래’는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봤듯이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온다”라는 뜻이고, ‘흥진비래
-
[한명기의 한중일 삼국지] “조선혼 어디갔나” 500년 짝사랑 통탄한 권덕규
━ 조선 지식인의 사대 의식 “무슨 운인지 임진왜란이 일어나 조금의 이익은 있을 법하되 커다란 해를 끼친 명나라 원병이 다녀가자 찰거머리 같은 모화(慕華)의 신(神)은 이
-
[한 週 漢字] 滿(만)-성취 안에서 자신의 몫 성찰해야
한자 9/25 滿(찰 만)은 소리를 나타내는 㒼(만)과 의미 범주를 한정하는 요소인 水(물 수)로 구성되는 글자다. 『설문해자』에서는 ‘가득 차서 넘침(盈溢也)’으로 풀이했는데,
-
[한 週 漢字] 電(전)-‘에너지의 신’이 된 전기
한자 9/11 전기가 모든 에너지를 대표하는 시대가 됐다. 전기를 대신할 전혀 새로운 에너지가 나올 때까지 이러한 추세는 계속 이어질 것이다. 그야말로 전기가 ‘에너지의 신(神)
-
[한 週 漢字] 像(상)-이미지의 범람 속에서 허우적대는 꼴
한자 8/28 『한자어원사전』에 따르면 “像(형상 상)… 형성. 人(사람 인)이 의미부고 象(코끼리 상)이 소리부로, 사람(人)들이 상상하는 코끼리(象)의 ‘모습’을 말하며, 이
-
[한 週 漢字] 智(지)―슬기로운 생활의 근본
한자 8/14 ‘智’ 자는 ‘지혜·슬기·재능’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다. ‘知’(알 지)와 헛갈리는 경우가 있기도 한 것은 일부 모양이 공통으로 들어가 있기도 하고 의미 또한 상관
-
[한 週 漢字] 惑(혹)-다양한 혹에 맞서는 나이 불혹
한자 7/31 흔히 마흔을 ‘불혹(不惑)’이라 부른다. 아닐 불(不)자와 미혹할 혹(惑)자가 합쳐져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쉽게 세상일에 홀리지 않고 또렷한 판단을 할 수
-
[한 週 漢字] 圓(원)-완전함보다는 너그러움 좇아야
한자 7/17 『설문해자』에서는 圓(둥글 원)이라는 글자의 짜임을 소리를 나타내는 員(원)과 의미를 나타내는 囗(테두리)로 나눠서 설명한다. 이와는 달리 본래 員이 ‘둥그런 테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