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포화지방은 괜찮다고? 비만 막고 당뇨 잡는 방법은 따로 있다 [하루 한 끼, 혈당관리식]
[하루 한 끼, 혈당 관리식] 중앙일보 COOKING과 아주대병원 영양팀에서 8주 동안 매일매일, 쉽고 맛있는 혈당 관리식을 소개합니다. 하루 한 끼, 나를 위해 요리하며 당뇨병
-
실험실서 키운 투뿔 꽃등심, 치킨 튀기는 로봇…돈 되는 이 기술
한우 줄기세포로 키운 인공 꽃등심을 배달 로봇이 집 앞으로 갖다 주고, 요리 로봇이 ‘미디엄 레어’로 척척 구워 대령하는 세상. 푸드테크(Food Tech) 전성시대에 우리 식탁
-
오늘의 The JoongAng Plus
━ World View World View 인구 0.06% 줄었을 뿐인데 “중국 쇠락 신호탄” 난리난 이유 “우리가 알던 중국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 쇠락의
-
실험실서 키운 ‘투뿔 등심’…푸드테크, 너 정체가 뭐니 유료 전용
Today’s Topic먹고, 마시고, ‘배양’하라 Future of Food Technology 한우 줄기세포로 키운 인공 꽃등심을 배달 로봇이 집 앞으로 갖다주고, 요리
-
신재생에너지 확충하고 친환경 부품 개발…제주개발공사·코리아에프티 6연속 수상
━ THE CREATIVE 2021 올해 13회째를 맞은 ‘더 크리에이티브(THE CREATIVE) 2021’은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맞이한 현재, 혁신적인
-
코리아에프티 오원석 회장, 과감한 R&D 투자 성과…제주개발공사, 생수 시장 성장 이끌어 5연속 수상
━ ‘THE CREATIVE MANAGEMENT 2020’ 크레에이티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세계 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판로가 막히면서 기업 경
-
캐리어에어컨 강성희 회장, R&D경영으로 5년 내리 수상
━ 2019 한국을 빛낸 창조경영 대상 창조경영 로고 미·중, 미·유럽연합(EU) 무역분쟁이 치열한 가운데 세계적으로 경기 둔화도 이어지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이 긴축 기
-
[봄과 함께] 세포 배양, 치료제 개발에 앞장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우뚝
엠비지(MBG) 그룹이 동물 줄기세포 배양, 아토피 치료, 화상 치료제 분야에서 신기술 발굴에 앞장서면서 선진국과 어깨를 겨루고 있다. 신기술 개발이 특허 출원, 동물실험 등 마
-
탈모 예방·치료엔 단백질·철분·비오틴 풍부한 한우·한돈
탈모 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주로 40대 이상 중장년층 남성에게 나타나던 탈모가 젊은 여성과 임산부에게도 나타나고 있다. 탈모는 스트레스나 과로, 영양불균
-
한우자조금 "추석 선물은 한우! 느낌 아니까~"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홍보대사인 가수 이승기가 추석 한우기획세트를 들어보이고 있다. 최대 명절인 추석이 얼마 남지 않았다. 가족과 친지들에게 정성을 전하고, 어려운 한우농가 살
-
[200자 경제뉴스] SK에너지, 주유 즉시 할인되는 카드 출시 外
기업 SK에너지, 주유 즉시 할인되는 카드 출시 SK에너지는 KB국민카드와 손잡고 주유 즉시 현장에서 바로 할인되는 ‘SK LOVE油 KB카드’를 출시한다. 전달에 30만원 이상
-
[한우덕의 13억 경제학] 중국경제 콘서트(7)“개구리 하늘로 뛰어오르기”
지난 주말 김미경 아트스피치 원장을 만났습니다. 요즘 장안에 화제가 되고 있는 책 '아트스피치'의 저자입니다. 그의 강연을 들었고, 테이블 대화도 나눴습니다. 가끔 섞이는 충청도
-
[노트북을 열며] 잉리솔라의 월드컵 경제학
남아공 월드컵 경기가 끝났다. 13억 중국인은 이번 지구촌 축제의 아웃사이더였다. 자국 팀이 나가지 못한 탓이다. 그러나 64게임 모두 경기장에 ‘출전’한 중국 기업이 있다. 대
-
제천 약초, 풍기 인삼, 부안 참뽕 … 지역 명물이 뜬다
중국 사마천의 『사기(史記)』 마지막 장엔 재산증식에 대해 기술한 『화식(貨殖)열전』이 나온다. 그중엔 각 지역의 특산물, 사람의 기질, 물산의 성격을 결정하는 기후 등을 세세히
-
[한우덕의 13억 경제학] 중국을 ‘무섭다’하는 이유
중국이 무섭다는 얘기를 많이 합니다. 주변에 공룡같은 존재가 크고 있으니까요. 이러다가는 한국경제가 중국에 먹히지 않을지,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직접적인 위기감도 느낍니다.
-
[노트북을 열며] 중국의 ‘화웨이(華爲)현상’
‘짝퉁, 싸구려, 세계 하청공장….’ 중국의 기술 수준을 얘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들이다. 한 수 아래로 깔보는 시각이다. ‘중국산=저질’이라는 도식은 쉽게 깨지지 않는
-
제주 흑우 복제 해냈다
제주토종 ‘흑우(黑牛)’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복제됐다. 박세필 교수와 첫 번째 복제 흑우 ‘흑영돌이’. [연합뉴스]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박세필 교수팀과 ㈜미래생명공학연
-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위험 과장됐다”
포스텍(옛 포항공대) 생물학전문연구정보센터(브릭·BRIC)의 홈페이지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싼 광우병 논란을 과학적으로 접근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브릭은 2005년 말
-
생물교과서는 '오류 투성이'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 검증되지 않았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들이 그대로 기술돼 학생들이 잘못된 생물 지식을 습득할 우려가 크다고 한겨레 신문이 17일 보도했다. 신문은 황우석 전 서
-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⑧기술진보] 74. 생명 복제
개나리나 장미 나뭇가지를 잘라 땅에 꽂으면 뿌리를 내려 꽃을 피운다. 원래 식물과 유전자가 똑같은 개나리와 장미가 나온 것이다. 이는 식물의 복제다. 그러나 1997년 영국 로슬린
-
황우석 교수, 농협서 10억원 연구기금 받아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석좌교수는 1일 농협중앙회에서 농협으로부터 10억원의 '축산발전 연구 후원기금'을 받는다. 이 기금은 농협중앙회가 가축개량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마련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⑤
세계 최초의 복제 양 `돌리''가 태어난 후 전세계 과학자들은 복제와 줄기세포(stem cell) 연구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윤리논쟁도 뜨겁게 일고 있다. 19
-
신춘 중앙문예
였는지 지금 생각해도 알 수 없는 행동이었다. 그때 그 애는 힘없이 웅얼거렸다. 우리엄만 왜 오지 않나요. 그 한마디에 그녀는 집으로 데려가자고 작정했다. 그 순간에 느낀 것은 그
-
샘품종·인공종자개발 열 올리는 농진청 유전공학연구실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 땀을 흘리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경기도 수원시 서둔동 농촌 진훙청 농업기술연구소 유전공학연구실-. 세포조직배양법으로 내병성·다수확 벼품종을 개발하고 세포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