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토·안보 굳건한 지지" 중·러 공동성명…北 감싸며 美 비난도
21일 모스크바 크렘린 궁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과 건배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국가주석 3연임 확정 후
-
대통령실 "美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 중국내 韓기업 차질 없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22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미국 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과 공동주택 공시가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22일 미국 정
-
한일 관계 복원 뒤 요동치는 정세…동북아 '내 편 찾기' 가속화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도쿄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개최한 이후 중러 정상회담, 일-우크라 정상회담이 열리며 동북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6일
-
日언론 "멍게수입 요청, 촬영 막아"…대통령실 "멍게란 말 없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일본 도쿄 시내 한 호텔에서 일한의원연맹 및 일한친선협회중앙회 소속 정관계 인사들을 접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대통령실은 일한연맹회장누카가 후쿠시로 회
-
"英, 우크라에 '핵 요소' 갖춘 무기 줬다"…푸틴 핵무기 명분 쌓나
영국이 열화우라늄탄을 우크라이나에 보내겠다고 밝히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상응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경고했다. 사진은 푸틴 대통령이 21일 모스크바에서 시진핑 중국
-
"두 나라 동맹 아닌 정략결혼"…중·러 공동성명 작심 반박한 美
서방은 21일(현지시간) 발표된 중·러 정상의 공동성명과 관련해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 러시아의 입장만 일방적으로 대변했다고 비판했다. 중국을 향해 러시아에 무기 지원을
-
우상호 "웃기네, 보자보자 하니까"…국회 공무원에 반말 호통
박진 외교부 장관이 2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 정회 후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더불어민주당
-
K반도체 최악 면했지만…美 ‘중국 옥죄기’ 드라이브 계속된다
미국 상무부는 21일(현지시간) 미 반도체 지원법에서 규정한 투자 보조금을 받으면 이후 10년간 중국에서 첨단 반도체 생산능력을 5% 이상 확장하지 못하게 하는 내용의 ‘가드레일
-
열흘 만에 생긴 말발굽 도로…北 미사일 쏜 '사일로' 찾았다
북한이 지난 19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지하 사일로(siloㆍ고정 발사대)에서 발사한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미국 전문가들이 사일로 위치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
-
'지각대장' 푸틴 달라졌다…"시진핑이 대장 같네" 말 나온 장면
지난 20일(현지시간)부터 22일까지 2박 3일 일정으로 진행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방문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극진한 환대와 예우를 보였다. 크렘린궁
-
[이시각]우크라 깜짝 방문한 기시다 日 총리... “평화 회복될 때까지 지원할 것”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깜짝 방문했다. 이날 기시다 총리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앞서 소총으로 무장한 경호원
-
홍준표, 野 겨냥 "北 전술핵엔 대책도 없이…참 대단한 배짱"
홍준표 대구시장. 연합뉴스 홍준표 대구시장은 22일 "서울 상공에 전술핵이 투하되면 남북 공멸의 악몽의 시나리오가 가동되는데 거기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도 없이 그냥 넘어가도
-
이낙연 "한일관계 회오리, 잘못된 자세가 합작한 참사…새 위기"
미국에 체류 중인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조지워싱턴대 한국학연구소에서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현실적·실용적 접근'을 주제로 강연하
-
시진핑-푸틴 만난 날, 우크라 찾은 日기시다…"평화회복 지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키이우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EPA=연합뉴스 중국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이 열린 21일(현지시
-
고심 깊어지는 '위안부 합의'…화해재단 '잔금 56억'은 어쩌나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지난 16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합의 이행과 관련한 언급이 오갔는지를 둘러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2015년 당시 외무
-
'독도 발언' 논란의 진실…日 오역, 尹정부 오판, 野 왜곡했다
지난 16일 한·일 정상회담 이후 한국에선 후폭풍이 끊이질 않는다. 조용히 결과를 반기는 일본 분위기와는 영 딴판이다. 논란이 되는 이슈 중 핵심은 정상회담에서 독도,
-
“과거 넘어야” 대통령의 23분 국민 설득
윤석열 윤석열(얼굴) 대통령이 직접 나섰다. 정부의 대일(對日) 관계개선 노력을 향한 국민의 시선이 호의적이지 않고, 야권의 공세가 더욱 거세어지자 윤 대통령은 21일 국무회의에
-
시진핑-푸틴 공동성명 "독자제재 반대, 전쟁 끝내는 대화하자"
러시아를 방문 중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대러 독자제재에 반대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대화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
[역지사지] 슬램덩크
유성운 문화부 기자 일본 애니메이션 ‘슬램덩크: 더 퍼스트’가 관객 400만명을 돌파했다. 마음 한 구석이 착잡하다. 이 작품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야욕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다.
-
“위안부 합의 이행 요구” 논란에…제2 화해치유재단 추진도 주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의 지난 16일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관련 정상회담 발언(“착실한 이행을 요구했다”, 기하라 세이지 관방 부장관 브리핑) 공개 후폭
-
미국 “중, 러에 철수 아닌 휴전 요구 안돼”…우크라에 미사일 등 추가 지원
미국이 2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중국이 러시아에 철수가 아닌 휴전을 요구해선 안 된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미국은 이날 우크라이나에 대한 3억5000만 달러(
-
거야, 방송법 본회의 직회부 강행…여당 “공영방송 장악 의도”
더불어민주당이 3월 임시국회 막판 ‘입법 독주’에 재시동을 걸고 있다. 민주당은 21일 상임위원회 곳곳에서 국민의힘과 충돌하며 거야(巨野) 의석수로 쟁점 현안을 밀어붙였다.
-
시진핑, 푸틴에 “올해 편할 때 중국 방문해달라” 밀월 과시
지난 20일 러시아 국빈 방문을 시작한 시진핑(習近平·70) 중국 국가주석이 첫 일정으로 블라디미르 푸틴(71) 러시아 대통령을 단독으로 4시간30분 동안 만나 내년 러시아 대선
-
[세컷칼럼] 일본의 양심과 지성을 기대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모든 카드를 다 썼다. 개문발차(開門發車)라는 소리를 들어가면서 일제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피해자 지원재단을 통한 3자 변제’라는 해법을 서둘러 제시했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