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숙한 형광의 기묘한 능력…그 빛으로 암 쫓는 윤주영 유료 전용
형광(螢光)은 흔하다. 머리 위엔 형광등이 켜져 있고, 책상 위엔 형광펜이 놓여 있다. 콘서트장에서 흔드는 야광봉이나 경찰이 입는 조끼, 야광 시계에도 형광이 들어간다. 원리
-
담배 안 피우는데도 폐암…‘돌연변이’ 추적하는 안명주 유료 전문공개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사실상’ 폐암이다. 발생 숫자로만 보면 갑상샘암이 조금 더 많지만, 갑상샘암은 덜 위험한 종양까지 암으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폐암이
-
‘연봉 4억’ 신직업도 생겼다…생성AI, 어디까지 써봤니 유료 전문공개
Today’s Topic,생성AI, 어디까지 써봤니 3040세대라면 한때 ‘컴활(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따러 컴퓨터 학원에 달려가본 경험이 있을지도. 현란한 파워포인트(PPT)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연구성과 1등 대학의 비결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R&D 패러독스 극복하자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48)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생명공학
-
'교수 5명 중 한 명은 창업' 연구성과 1등 대학의 창업 비결
━ [혁신창업의 길] 42.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정범(가운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가 자신이 창업한 생명공학 스타트업 슈파인세라퓨틱
-
[CMG중국통신] 中 지난해 연구 인력 572만 명, 세계 1위
사진 셔터스톡 2021년 중국의 연구개발(R&D) 인력이 572만 명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12년 대비 두배 가량 늘어난 규모다. 취업자 1만 명당 연구개발 인력
-
"검색은 추억서도 사라질 것" 벌써 1억명 삶 바꾼 챗GPT 미래 [김필규의 아하, 아메리카]
전기나 심지어 불보다도 인류에게 더 심오할 것. 김필규 워싱턴 특파원 2018년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구글의 최고경영자(CEO) 선다 피차이가 인공지능(AI)에 대해 내놓은
-
문송 시대, 문과생 0.1% 됐다…‘4년째 세계 석학’ 48세의 비결 유료 전용
글로벌 학술정보 기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매년 전 세계 상위 0.1%에 해당하는 연구자들을 ‘HCR(Highly Cited Researchers)’로 선정한다. 그런데
-
인구 감소하며 더욱 주목받는 '사람 돕는 로봇', 중국서 잘 만드는 기업은?
유년기에 본 영화 중, 혁신적인 주제와 내용 때문에 강렬하게 기억에 남은 작품이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A.I.(에이아이)’(2001)와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의 영
-
AI 연구 중국 독주 시대...“논문 양과 질 모두 미국 압도”
글로벌 인공지능(AI) 연구를 주도하는 중국이 해가 갈수록 연구 성과를 급격히 늘리며 2위 미국과 격차를 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관련 논문의 양뿐 아니라 질 또한 미국을
-
우리도 ‘월클’ 연구자 있다…0.1% 세계로의 초대 유료 전용
━ 우리에게도 월클 연구자가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세상. 그 선두에서 인간이 닿지 못한 영역에 길을 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불치병을 치료하고, 환경 파괴를 막고,
-
[서경호 논설위원이 간다] ‘큰 정부’는 ‘냄비 여론’과 불평불만을 먹고 자란다
━ 『규제 vs 시장』 신간 낸 최병선 전 규제개혁위원장 서경호 논설위원 연말연시를 자유주의 경제학자인 하이에크·코우즈와 규제에 대한 묵직한 책을 뒤적이며 보냈다. 최병선
-
세종대, ‘US 뉴스 2023 세계대학순위’ 국내 7위
세종대학은 US 뉴스가 발표하는 ‘US 뉴스 2023 세계대학순위’에서 국내 7위를 차지했다. 세계순위도 397위를 기록해 전년 506위에서 크게 상승했다. US 뉴스는 ▲세
-
[박상욱의 미래를 묻다] 한국은 이미 과학선도국…성과주의 경계해야
━ 5차 과학기술계획(2023~2027)에 담긴 것 박상욱 서울대 과학학과 교수 내년부터 5년 동안 펼쳐질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을 담은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이 발표됐다.
-
[교육이 미래다] 임종환·박상원 교수 ‘2022년 세계 상위 1% 피인용 우수 연구자’에 선정
경희대학교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2022년 세계 상위 1% 피인용 우수 연구자’의 농학 분야에서 선정된 임종환 고황명예교수(왼쪽)와 사회과학 분야에서 선정된 박상원 교수. [
-
세종대 한희섭·명승택 교수, 2022년 ‘세계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전공 한희섭 교수와 나노신소재공학과 명승택 교수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에서 발표한 2022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로 선정됐다.
-
건국대, 중앙일보 대학평가 7위···‘5대 명문사학’ 향한 힘찬 전진
건국대학교는 최근 중앙일보 ‘2022년 전국대학평가’에서 평가지표 대부분 상승하며 종합순위 7위를 기록해 역대 최고 순위에 올랐다 1994년 해당 평가 시행 이후 건국대가 1
-
[이번 주 리뷰]신부의 막말, 북한의 도발…이재명 턱밑까지 간 검찰(14~19일)
11월 셋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대학평가 #수능 #미중 정상회담 #G20 #APEC #윤석열 #카타르 월드컵 #손흥민 #윤석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종부세 #프로야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종합 16위, 국립대학 1위 올라
서울과기대 전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동훈, 이하 서울과기대)가 11월 14일(월) 발표된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종합순위 16위, 국립대학 순위 1위를 차지했다
-
한국해양대 취업률 경상권 1위, 충남대 교수 교외연구비 1억4185만원[2022 대학평가]
━ 지역대학 분석 “지역에 일자리가 없다? 같이 만들면 되죠.” 부산의 한국해양대는 2020년 취업률이 65.8%로 경상권 대학에서 가장 높을 뿐 아니라 전국에서도 상위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역대 최고 순위인 종합 16위, 국립대학 1위에 올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동훈, 이하 서울과기대)가 11월 14일(월) 발표된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종합순위 16위, 국립대학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중앙
-
성균관대 문과 코딩교육...동국대 최대 규모 취업박람회 [2022 대학평가]
━ 인문·사회계열 평가 지난 9월 동국대가 개최한 취업 박람회에서 학생이 프로필 사진을 찍고 있다. '취업 걱정 없는 대학'을 선포한 동국대는 동문선배 멘토링과 박람회 등
-
KAIST, 와이파이 통화기술 특허…GIST, 등록금대비 장학금 1위 [2022 대학평가]
━ 자연과학·공학 계열 평가 울산과학기술원 중앙기기분석실 안에 위치한 나노 팹에서 연구 중인 모습. 사진 UNIST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UNIST(울산과학기술원)엔 국내
-
한양대 배터리특허 대기업 이전…영남대, 논문 피인용 2위 [2022 대학평가]
━ 교수연구 부문 바이러스로 암세포를 죽이는 항암치료제를 만드는 기업인 진메디신의 연구실. 진메디신은 한양대 윤채옥 생명공학과 교수가 자체 개발 기술로 교내에서 창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