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침내 한국 온 중입자 치료…첫 대상은 전립선암, 비용은? 유료 전용
얼마 전까지만 해도 ‘중입자 치료’를 받으러 일본이나 독일로 떠나는 원정 암 환자가 많았습니다. 2019년엔 중입자 치료를 받으러 독일로 떠난 환자 중 10명이 치료도 못 받고
-
“완충하는데 20분, 주행거리 635㎞” 현대차 수소버스 타보니
현대차가 개발해 지난 4월 출시한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FCEV). 사진 현대차그룹 지난 12일 충남 천안에 있는 현대자동차 글로벌러닝센터(GLC). 이날 현대차는 ‘유니버스
-
광운대 장민 교수 연구팀, 지하수 내 질산염의 생물학적 탈질 향상을 위한 친수성 황 담지 영가철 나노 소재 개발
본교 환경공학과 장민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의 윤소연 석박 통합 과정(제1저자), 김민지 석사 연구원, 종초은 연구교수 (공동 교신저자), 플라즈마바이오센터(PBRC) 최은하 교
-
식약처, 세브란스병원 암 치료용 중입자 치료기 국내 첫 허가
서울 연세중입자암치료센터에 설치된 중입자 가속기. 김현동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디케이메디칼솔루션이 수입 허가를 신청한 치료용 입자선 조사장치를 국내 첫 ‘탄소이온 중입자치료
-
[포토타임]고종이 하사한 ‘나전흑칠삼층장’ 130년 만에 韓 돌아왔다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2023.03.21 오후 5:00 고종이 하사한 '나전흑칠삼층장' 130년 만에
-
광운대 박재영 교수 연구팀, 땀 속 포도당과 젖산 검출 멀티센서 개발
광운대 박재영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은 고분자 유연 기판위에 레이저유도 그래핀(LIG)에 코어-쉘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나노다공성탄소(H-NPC) 소재를 코팅하여 전기적, 기
-
암세포만 골라 죽이고 탈모 없다…'꿈의 치료' 한국도 곧 시작
세브란스병원의 중입자가속기(싱크로트론). 사진 속의 청색 연두색,원형 장치가 탄소원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해 중입자 빔을 만들고, 왼쪽 너머 치료기로 보낸다. 장진영 기자 17일
-
인간관계 오래 가려면 ‘배터리 스와핑’처럼 교류 활발해야
━ 인문학자의 과학 탐미 인문학자 2019년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로스트 인 스페이스’에서 로빈슨 가족은 자원의 고갈과 오존층 파괴로 이주할 만한 장소를 찾아 우주로 떠난
-
핵융합 실험 사상 첫 성공…인류 ‘무한 에너지’ 얻을까 유료 전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올겨울 유럽은 초긴장 상태였습니다. 에너지 공급 차질로 혹독한 겨울을 지낼까 봐 걱정이 컸습니다. 에너지 수급 문제는 유럽만이 아니라 모든 나라의 핵심
-
K중이온가속기, 빅뱅 비밀 풀고 신물질 도전 ‘가속도’
━ [최준호의 첨단의 끝을 찾아서] 홍승우 중이온가속기연구소장 우리 ‘몸’은 무엇으로 구성돼 있을까. 몸무게가 70㎏인 성인이라면 산소가 43㎏, 탄소 16㎏, 수소 7㎏
-
‘해리포터’에 나오는 투명 망토, 메타물질로 만들 수 있다
━ [최준호의 첨단의 끝을 찾아서] 포스텍 젊은 석학 노준석 교수 노준석 교수가 포항공대 실험실에서 레이저 광선을 메타물질 표면에 쏘아 초고해상도의 홀로그램(포항공대 로
-
투명망토, 투명 스텔스기...메타물질로 미래 여는 젊은 석학
━ [최준호의 첨단의 끝을 찾아서] 노준석 포항공대 교수 노준석 포항공대 교수가 메타물질에 반사된 빛이 홀로그램을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포항공대] 10
-
[소년중앙] 1908년 한양에서 처음 만났어요…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손짓 한번에 콸콸···어디서 어떻게 왔을까 깨끗한 수돗물 아침에 일어나 샤워를 할 때, 쌀을 씻어 밥솥에 앉힐 때, 빨래를 세탁기에 돌릴 때, 집에 돌아와 손을 씻을
-
[월간중앙] 스폐셜 인터뷰-'4차병원' 향한 금기창 연세암병원장의 소명(召命)
"중입자 치료로 암 치료의 패러다임 혁신 이룰 것" 연세중입자치료센터 개원하면 환자 부담 낮추고 의료 수준 도약 암 예방에서 치료, 완화까지 전 주기 환자별 맞춤 진료 가능해
-
전기硏 김병곤 박사, 리튬금속전지용 고효율 리튬 저장 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원장 명성호) 차세대전지연구센터 김병곤 박사(선임연구원)가 리튬금속전지용 고효율 리튬 저장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논문이 저명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
전기연구원 배터리 음극재 대량 제조기술, 11억원 기술이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원장 명성호)이 개발한 ‘고용량 리튬이온전지용 실리콘/그래핀 복합 음극재 대량 제조기술’
-
그린수소 생산, 상용 수준 실증으로 앞당긴다
국내 연구진이 값비싼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음이온교환막수전해 기술을 상용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수전해 스택 실증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이재용·정의선 '미래차 동맹' 車전자장비 당장 손잡을 수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의 회동 이후 한국을 대표하는 두 대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차그룹의 협력이 현실화할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서울 여의도에서
-
한 번 충전하면 800㎞ 간다…테슬라S보다 센 삼성 배터리
‘전고체전지’ 기술을 개발한 유이치 아이하라, 이용건, 임동민 마스터(왼쪽부터).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크기를 반으로 줄이고 성능을 높인 ‘전고체 전지’ 원천기술을 공개했
-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3세대 전기차’ 개발 가속
지난달 6일 현대자동차는 전기차(EV) ‘코나 일렉트릭’ 2020년형을 내놨다. 2018년 첫선을 보인 후 지난해 4만7000대 넘게 국내외에서 팔린 전작의 신형 제품이다. 국토
-
이산화탄소로 전기 생산···친환경 배터리 만든 한국 연구진들
질산 용융염 전해질과 루테늄을 이용한 리튬-이산화탄소 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 설명도. 일반 전해질을 사용했을 경우 대비 질산염과 루테늄 촉매를 사용했을 경우 전력밀도가 13
-
연세암병원 국내 최초 중입자암치료센터 착공
연세암병원이 16일(월) 오후 2시 연세의료원 종합관 5층 우리라운지에서 연세중입자암치료센터 착공식을 했다. 왼쪽부터 김병수 전 연세대총장, 문석진 서대문구청장, 문흥렬 연세암병
-
[소년중앙] 코털 방어막 뚫는 미세먼지, 마스크가 막는 방법은
아꿈선 '과학, 실험, 으악 따분해!'라고 느낀 적 있나요. 이제 걱정하지 말아요. 소년중앙이 집에서 준비할 수 있는 물건으로 재미있는 실험을 시작합니다. 초등학교 과학 연구 교
-
인공태양 1억℃ 첫 달성…한국이 세계 핵융합 발전 이끈다
한국의 ‘인공 태양’으로 불리는 KSTAR가 1억 도의 초고온 달성에 성공해 핵융합 발전에 성큼 다가섰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13일 핵융합 발전을 위한 연구장치인 KSTAR가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