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 장병 피부병부터 코로나 방역까지...선한 영향력은 나눔서 시작" [건강한 가족]
인터뷰 민복기 대구 올포스킨피부과의원 원장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하게 의술을 실천하는 의사가 있다. 저소득층 자녀의 피부 흉터를 재건하고, 의료시스템을 확립하면서 선한 영향력을
-
[사설] 주 52시간제 둘러싼 정책 혼선 걱정된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 부처 발표 뒤 윤 대통령이 “주 60시간 이상
-
[세컷칼럼] ‘나는 신이다’ 명과 암
■ 「 사이비 종교 실태 고발 다큐 파장 반향 크지만 선정성 논란 구조적 접근 부족도 아쉬워 」 울먹이는 여신도의 성폭행 피해 고발 인터뷰로 시작하는 첫 장면부터가 충격
-
[양성희의 시시각각] ‘나는 신이다’ 명과 암
양성희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울먹이는 여신도의 성폭행 피해 고발 인터뷰로 시작하는 첫 장면부터가 충격적이다. 사이비 종교의 실태를 파헤친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
-
"10조 공헌" 역풍 맞은 은행…정부 맹폭에 또 내놓은 대책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대한 압박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이자 장사’·‘돈 잔치’라는 눈총이 거세지자 주요 은행은 원금상환유예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상품 수수료 감면 및 대출
-
점포 줄이는 은행들, 제 발등 찍는 격?
온라인 뱅킹의 확산으로 금융 소비자의 편의가 늘고 있으나 그림자도 있다. 은행 점포 수가 줄어 금융 서비스의 사각지대가 넓어진 것이다. 은행 점포 감소가 단순히 디지털 금융에 서
-
OECD는 18곳, 한국 14곳…점포 줄이는 은행, 제발등 찍었다?
온라인 뱅킹의 확산으로 금융 소비자의 편의가 늘고 있으나 그림자도 있다. 은행 점포 수가 줄어 금융 서비스의 사각지대가 넓어진 것이다. 은행 점포 감소가 단순히 디지털 금융에 서
-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 약탈적 영업…배경엔 독과점 환경"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진단 및 향후과제 세미나'에 참석해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7일 "
-
“난방 덜하니 6세 딸 한달째 감기”…취약층은 여전히 춥다
━ 난방비 대책 그 후…현장 가보니 지난 14일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개미마을’의 한 가정에서 주민이 난방용으로는 연탄을, 음식 조리용으로는 가스를 사용하고 있다. [뉴
-
은행권, 서민금융에 7조…취약계층 지원 확대
대통령까지 나서 은행이 과도한 ‘이자 장사’를 한다는 비판을 쏟아내자 은행권이 이익 사회 환원 방안을 내놨다. 15일 은행연합회는 향후 3년간 10조원을 공급한다는 내용의
-
尹 '돈잔치' 비판에 '10조 공헌' 내놓은 은행…"숫자 부풀렸다"
대통령까지 나서 은행이 과도한 ‘이자장사’를 한다는 비판을 쏟아내자 은행권이 부랴부랴 이익 사회환원 방안을 내놨다. 저소득·저신용자와 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을 지원한다는 내용인데,
-
[사설] 갈수록 팍팍해지는 국민 살림, 더 면밀히 살펴라
공공요금 인상으로 국민 살림살이가 한층 팍팍해지고 있다. 뉴스1 ━ 5년 새 근로소득세 증가율 69% 달해 ━ 공공요금 인상, 고금리에 허리 휘어 연초부터 국민 살
-
[세컷칼럼] '빅 배스'의 소멸시효
. . . 난방비 폭탄의 책임에 대해 국민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했다. 응답자의 정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여론조사가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설 연휴 직후인 지난달 2
-
[사설] 사상 최대 실적 은행, 사회적 책임은 다하고 있나
[그래픽] 주요 금융지주 당기순이익 현황 [연합뉴스] ━ 기준금리 인상 덕분에 이자부문 이익 크게 늘어 ━ ‘신관치 논란’은 금융당국과 금융계 모두의 책임 예상대로
-
[이상렬의 시시각각] '빅 배스'의 소멸시효
이상렬 논설위원 난방비 폭탄의 책임에 대해 국민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했다. 응답자의 정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여론조사가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설 연휴 직후인 지
-
[서경호 논설위원이 간다] 난방비 포퓰리즘 비판은 진보·보수 아닌 상식의 문제
━ ‘난방비 폭탄’ 불만 파고드는 거리 시위 서경호 논설위원 지난 4일 서울 남대문 일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권 민생파탄 검찰독재 규탄대회’. 검찰 수사
-
[시론] ‘퍼펙트 스톰’에 갇힌 한국경제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원장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한 지 3년이 지나면서 사실상 풍토병(Endemic)으로 변신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
-
"취약층 부실화 막아라"…'청년 특례' 채무조정 전연령 확대
저신용 청년층의 이자 부담을 줄여준 채무조정 제도 대상이 전 연령으로 늘어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의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로 갈아탈 수
-
심상찮은 與 '난방비 악재'...한덕수도 "포퓰리즘탓" 文정부 때렸다
실내마스크 의무가 권고로 변경된 첫날인 30일 오전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마스크를 벗고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격을 억누르는 건 포
-
"55∼64세 핵심 인적자원" 계속고용·임금체계 개편 논의 착수
노인 일자리. 송봉근 기자 정부가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만 55∼64세를 핵심 인적자원으로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또 기업의 자율적인 계속고용을 유도하기 위해 장려금을
-
이재명, 또 30조 추경 제안 "정부 난방비 대응 잘했지만 부족"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가 27일 전북 익산시청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 회의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27일 난방비 폭등 문제와 관련
-
과자·아이스크림 가격 오른다…꼬깔콘 1700원·월드콘 1200원
사진 롯데제과 롯데제과는 제과류와 빙과류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내달 1일부터 순차적으로 인상한다. 27일 롯데제과에 따르면 제과류 중 마가렛트는 3000원에서 3300원
-
식당 한달 가스료가 75만원…한파보다 계량기가 무섭다
지난 25일 오후에 둘러본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군복·군화·침낭 등 각종 군인 용품을 주로 판매하는 ‘군복 골목’ 내 30여 가게 중 문을 연 곳은 5곳뿐이었다. 난로도 없이
-
집 대신 백화점·쇼핑몰서 따뜻하게…일본 ‘웜 셰어’ 확산
일본 도큐그룹의 ‘오프앤고’ 캠페인 안내문. 가정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따뜻한 쇼핑몰에서 시간을 보내자는 것이다. [홈페이지 캡처] 전 세계 에너지난으로 전기·가스 요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