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꽂이] 알고 보면 반할 꽃시 外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안순태·노경희 지음, 태학사)=‘오롯한 겨울 마음 둥글게 늘어뜨리니/ 그윽하고 담담한 기품 차갑게 주위를 둘렀네’. 추사가 제주
-
[책꽂이] 푸코와 철학자들 外
푸코와 철학자들 푸코와 철학자들(김은주 외 8명 지음, 민음사)=미셸 푸코(1926~1984)는 철학자라는 정체성을 거부했다. 철학 텍스트나 개념 대신 광기, 질병, 인간 과학,
-
박연진 이곳 보냈더라면…'사과' 가르치는 서울 유일 교육기관
“오는 발걸음이 힘들지 않았나요.” 서울 구로구에 있는 3층 상가 건물. 1·2층에 자리 잡은 미용실과 피자집을 지나 걸어 올라간 3층 출입문에 이런 인사말이 붙어 있었다.
-
“SVB 파산, 리먼과는 달라…그땐 장관이 CEO 싫어했다” 유료 전용
━ 📈 SVB 사태, 美 현지 전문가 긴급 진단 한때 미국 뉴욕의 월가에선 숫자가 제왕이었다. 경제의 메커니즘보다 계량경제학(econometrics)이나 수학·물리학
-
[책꽂이] 모든 사회의 기초는 보수다 外
모든 사회의 기초는 보수다 모든 사회의 기초는 보수다 (다니엘 마호니 지음, 조평세 옮김, 기파랑)=피지배자의 동의(consent)는 민주적 자유의 기본 원리. 하지만 ‘제약 없
-
[책꽂이] 이명 外
이명 이명 (이우걸 지음, 천년의시작)=팔순을 바라보는 시인의 새 시조집. 음원(音源) 없는 소리를 듣는 이명(耳鳴) 현상은 노화의 결과일 수 있지만 소통 부재의 증상이기도 하다
-
[책꽂이] 꽃의 일생 外
꽃의 일생 꽃의 일생(양성우 지음, 일송북)=1975년 저항시 ‘겨울공화국’을 발표해 유신에 맞섰던 시인의 열여덟 번째 신작 시집. 110편을 묶었다. ‘우연히 내게 온 시’에
-
[책꽂이] 시는 기도다 外
시는 기도다 시는 기도다(임동확 지음, 푸른사상)=시인의 산문집. 윤동주·김수영 등의 시 세계 분석뿐 아니라 마르케스 소설 탐색, 시론, 여행기 등을 묶었다. 시는 이념이나 대의
-
[책꽂이] 사운드 오브 블루 아이즈: 매킨토시 스토리 外
사운드 오브 블루 아이즈:매킨토시 스토리 사운드 오브 블루 아이즈: 매킨토시 스토리(이종학 지음, 안나푸르나)=럭셔리 앰프 매킨토시의 역사와 명기를 소상히 소개했다. 매킨토시는
-
[책꽂이] 대한민국, 선진국의 조건 外
대한민국, 선진국의 조건 대한민국, 선진국의 조건 (김세형 외 4인 지음, 시공사)=매일경제신문 주필, 대통령 국민경제자문위원 등을 지낸 저자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성태윤 연
-
[책꽂이] 동양 문인의 예술적 삶과 철학 外
동양 문인의 예술적 삶과 철학 동양 문인의 예술적 삶과 철학(조민환 지음, 예문서원)=동양의 문인들은 현실적 이유로 실천이 어려울 때도, 속세와 거리를 둔 은자적 삶을 동경했다.
-
[책꽂이] 로봇개 스카이 外
로봇개 스카이 로봇개 스카이(김재석 글, 야마우지 카가리 그림, 솔아북스)=로봇 시대를 맞아 인간과 동물, 로봇제품이 어떻게 관계해야 하는지를 다룬 동화책. 아이들이 인공지능 로
-
[책꽂이] 바이닐: 그루브, 레이블, 디자인 外
바이닐: 그루브, 레이블, 디자인 바이닐: 그루브, 레이블, 디자인(마이크 에번스 지음, 박희원 옮김, 안그라픽스)=에디슨의 축음기 발명과 레코드의 제작 공정부터 1940년대~2
-
[책꽂이] 어른의 인생 수업 外
어른의 인생 수업 어른의 인생 수업(성지연 지음, 인물과사상사)=100세 인생, 그 절반을 넘어선 저자가 지금까지의 삶과 지금부터의 삶에 대한, 또 앞으로 살아갈 세상에 대한 인
-
[책꽂이] 오은선의 한 걸음 外
오은선의 한 걸음 오은선의 한 걸음(오은선 지음, 허원북스)=여성 산악인으로는 세계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한 오은선이 자신의 등반 인생을 풍부한 사진을 곁들여 흥미롭
-
[마음 읽기] 서재, 도서관, 동네책방
이은혜 글항아리 편집장 서재는 누구의 것이든 흥미롭다. 그중 작가나 열성 독자의 서재를 구경하는 게 가장 재밌는데, 이는 그가 살아온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기 때문이다. 파노라마처
-
[책꽂이] 차범석의 전원일기 1~3 外
차범석의 전원일기 1~3 차범석의 전원일기 1~3(차범석 지음, 전성희 엮음, 태학사)=최장수 드라마 ‘전원일기’의 1980년 방송된 첫 회 ‘박수 칠 때 떠나라’는 이름난 희곡
-
[단독] 서울 지하철 서점 37년 역사 끝난다…“이태원 참사 영향”
5일 서울 마포구 공덕역사 내 환승 통로. ‘한우리 문고’라는 간판이 달린 책장이 은색 셔터로 굳게 닫혀 있었다. 외부에 놓인 책꽂이에는 서른 권 남짓한 책들이 질서없이 쌓여있었
-
[책꽂이] 우리들은 닮았다 外
우리들은 닮았다 우리들은 닮았다(릭 퀸 지음, 이충 옮김, 바다출판사)=7년에 걸쳐 각 지역에서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오랑우탄 등 멸종 위기에 처한 대형 유인원의 생태 보호
-
[책꽂이] 정약용 코드 外
정약용 코드 정약용 코드(박정현 지음, 새움)=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여러 저서, 개혁 정신 등을 현대적 시각에서 쉽게 풀어썼다. 저자는 그를 문과와 이과를 넘나들고, 과학과 예술
-
[책꽂이] 순간이라는 말, 뜨겁고 멀다 外
순간이라는 말, 뜨겁고 멀다 순간이라는 말, 뜨겁고 멀다(고우리 지음, 상상인)=일상의 아련한 순간을 포착하는 시인의 세 번째 시집. 슬픔 가득한 세상에서, 거울 보듯 따듯한 시
-
[책꽂이] 서점의 시대 外
서점의 시대 서점의 시대(강성호 지음, 나무연필)=신구서림·회동서관 등 19세기 말 20세기 초 등장한 근대 서점부터 그 역사를 짚으며 출판·독서 문화의 면면을 조명한다. 초기에
-
[퍼즐] 한옥은 좁고 수납공간 없다는 편견 깨는 곳…계동 선유당
━ [퍼즐] 박나니의 한옥 이야기(7)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고 있다. 회색빛 바다와도 같은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콘크리트 아파트 단지에서
-
[책꽂이] 암,다시 짓는 집 外
암, 다시 짓는 집 암, 다시 짓는 집(전미선 지음, 마음대로)=현재 아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로 평생 암환자와 함께한 저자가 은퇴를 앞두고 그간의 경험을 한 권의 책에 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