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축제 오감만족] 7만개의 유등, 드론불꽃쇼로 ‘평화·행운 담은 희망진주’의 밤 밝힌다
진주남강유등축제 10월 8~22일 진주남강유등축제가 10월 8일 초혼점등식을 시작으로 7만여 개의 유등에 불을 밝히며 남강 일원에서 22일까지 보름간 개최된다. [사진 진주시
-
강진 쌀귀리특구, 진주 남가람예술특구 신규 지정
지역특화발전특구로 지정된 전남 강진군은 전국 쌀귀리 생산량의 65%를 차지하는 최대 주산지로서 쌀귀리 가공 인프라 조성 및 브랜드화 등에 5년간 475억원을 투자하고 도로법 등
-
[포토버스]경복궁에서 열린 ‘전국 수문장 임명의식'
‘2023년 전국 수문장 임명의식’ 특별행사가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열렸다. '2023년 전국 수문장 임명의식'이 26일 경복궁 홍례문에서 열렸다. 이날 참석한
-
[시조가 있는 아침] (165) 부모님 계신 제는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부모님 계신 제는 이숙량(1519∼1592) 부모님 계신 제는 부모인 줄을 모르더니 부모님 여읜 후에 부모인 줄 아노라 이제사 이 마음 가지고 어디다가
-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진주성 함락 직전 마지막 음식…남편·자식 향한 절절한 마음
━ 임진왜란과 진주비빔밥 김정탁 노장사상가 몇 해 전 우리나라 국적기를 타고 미국서 귀국한 일이 있다. 그때 옆자리에 미국인이 앉았는데 기내식으로 비빔밥이 나온다는 이유로
-
가을밤 밝혀주는 ‘진주 남강유등축제’ 개막
‘진주 남강유등축제’가 열린 경남 진주가 각종 유등으로 형형색색 물들어 있다. [사진 진주시] 1300년 역사와 전통의 도시 경남 진주의 대표 행사인 ‘진주 남강유등(流燈)축제’
-
임진왜란 때 썼던 군사전술, 진주 남강에 유등 7만개 띄운 이유
━ 환상적인 야경…‘진주 남강유등축제’ 열려 '2022진주남강유등축제'가 열린 경남 진주 남강 일원. 사진 진주시 1300년 역사와 전통의 도시 '경남 진주'의 대표 행사
-
[역지사지(歷知思志)] 김시민
유성운 문화팀 기자 에도 시대 일본에선 ‘모쿠소 호간(木曽判官)’이라는 괴물이 일본을 공격하는 이야기가 유행했다. ‘모쿠소’는 임진왜란에서 진주대첩을 이끈 김시민 장군에서 유래된
-
[서소문 포럼] ‘미사일 신공’ 등극한 북한
채병건 국제외교안보 디렉터 어느 나라도 일주일이라는 초단시간에 미사일 기술을 발전시킬 수는 없다. 개인 차원의 시험도 당일치기로 성적을 올리기가 쉽지 않은데 정권 차원의 미사일
-
첫 상업용 국화 재배지에 28만명 몰렸다…'코로나 시대' 마산국화축제는 연장
진주성 야경 모습. 백종현 기자 ━ 올해 70주년 진주 개천예술제 7일 개막 올해 70회를 맞은 경남 진주 개천예술제가 7일부터 14일까지 진주성 일원에서 열린다. ‘펴
-
[더오래]10개 옥가락지 낀 논개 스토리…제2의 ‘오징어게임’?
━ [더,오래] 민은미의 내가 몰랐던 주얼리(84) 456억 원의 상금이 걸린 살벌한 서바이벌 게임.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
-
“뭔 글이 이래” vs “왕도 칭송한 문장”…논란 부른 18세기 베스트셀러 작가
천하제일의 문장. 하지영 지음. 글항아리 고 김영택 화백이 그린 세계건축문화재 펜화 기행 중 하나인 '진주성과 촉석루.' 촉석루에는 18세기 명문장가 신유한의 '촉석루에 제하다(
-
[더오래]5만 왜군과 싸운 1만 조선 민관군 합장한 ‘만인의총’
━ [더,오래] 양심묵의 남원 사랑 이야기(6) ‘약무호남(若無湖南) 시무국가(是無國家)’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호남이 없었더라면 국가도 없었을 것이다’는 의미로 이
-
전주보다 고운 진주비빔밥, 평양보다 진한 진주냉면
━ [일일오끼] 진주 진주의 유서 깊은 맛집 대부분이 남강 진주성 부근에 몰려 있다. 지난달 26일 촬영한 남강의 야경. 촉석루 아래로 갖가지 등이 불을 밝힐 준비를 하고
-
[일일오끼] 역시 평양냉면? 더 진하고 푸짐한 진주의 맛
진주냉면은 쇠고기 육전을 비롯해 고명을 푸짐하게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진주 이현동 '하연옥' 본점에서 촬영했다. 백종현 기자 경남 진주에 들 때는 적어도 하룻밤
-
태풍 링링에 합천 250살 천연기념물 나무 꺾였다…문화재 피해 21건
쓰러진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초강력 태풍 ‘링링’의 영향으로 강풍이 불면서 합천 해인사에 있는 천연기념물 나무가 쓰러지는 등 문화재 피해도
-
[박정호의 문화난장] ‘귀신폭탄’ 비격진천뢰, 그 찬란한 슬픔
박정호 논설위원 크기는 볼링공만 했다. 평균 지름 19.1㎝, 높이 18.1㎝다. 무게는 평균 17㎏이 넘었다. 볼링공과 달리 사람의 손으로 던질 수 없는 중량이다. 때문에 멀리
-
[분수대] 싸워야 할 상대
이동현 산업1팀 차장 임진왜란 이태 전 일본에 파견된 조선통신사 일행 중 부사(副使) 김성일(1538~1593)은 논쟁적 인물이다. 일본의 동태를 살피기 위해 정사 황윤길
-
진주성에서 높이 15m짜리 600년 고목 쓰러져 '아찔'
18일 사적 제118호인 경남 진주성내 호국사 앞 광장에 서 있던 600년된 느티나무가 쓰러져 계단을 가로막고 있다. [뉴시스] 경남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사적 제118호) 내
-
[카드뉴스] 6월에 걷기 좋은 성곽 길 4
글= 최승표 기자 사진= 중앙포토· 한국관광공사 제작= 전시내
-
[유성운의 역사정치] 임진왜란 후 재빨리 일어선 조선…그뒤엔 과감한 감세 있었다
신윤복이 그린 '야금모행(夜禁冒行)' “도성(都城) 안은 위로 경대부(卿大夫)로부터 아래로는 시정의 천인까지 모두가 지극히 사치하여, 벽에 바르는 것은 외국의 능화
-
유관순 열사의 무덤은 왜 찾을 수 없을까?
3.1운동이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다. 1919년 3월1일 우리 민족은 한반도 전역에서 봉기해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그날의 함성, 뜨거운 역사의 흔적을 품은 장소가 지금
-
[카드뉴스] 마음 따뜻해지는 낭만 가득 ‘겨울 걷기 길’ 6
━ 1. 속초 ‘바다향기로’ 강원도 속초 바다향기로는 이름처럼 푸른바다를 보며내내 파도 소리를 들으며 걷는 길이다. 거의 평지여서 부담 없이 걷기 좋다.편도 30~40
-
추워도 좋아…해변·강변 따라 걷는 길 6
옴짝달싹하기 싫은 겨울이다. 하나 본격적인 추위가 한파가 몰아치기에 앞서 조금이라도 몸을 부리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12월 걷기 좋은 길 6개를 추천했다. 이불 밖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