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소설이 페미코인? 여성주의는 상처 헤아리는 언어" 소설가 최은영의 소신
"저는 쉽게 상처받는 사람이에요. 제 마음이 너무 자주 빠개지고 망가지는 거죠. 여성주의를 공부하기 전까지는 내 마음이 왜 이런지 표현할 길이 없었어요. 여성주의를 알게 되면서
-
[중앙 시조 백일장 - 7월 수상작] 내일의 꿈 잃지 않는 직장인을 그리다
━ 장원 시조 백일장 천 원 앞에서 윤정욱 성대역 횡단보도 허기가 몰려온다 앞뒤로 뒤집힌 꿈 늘어져 기다릴 때 호떡집 벽돌에 기대 천 원이 익어간다 온종일 말단에
-
[중앙 시조 백일장 - 6월 수상작] 자신만의 영혼으로, 열정을 노래하다
━ 장원 블루로즈 블루로즈 이영미 예외를 바라는 게 파렴치한 일일까 수많은 인연들을 남김없이 보내놓고 한 사람 가슴 깊숙이 숨겨두고 싶은 나는, 불덩이 가라앉힌 푸
-
세종사이버대학교 유튜버학과, 제작한 콘텐츠 조회수 100만뷰 돌파
세종사이버대학교(총장 신 구)는 최근 유튜버학과에서 제작한 콘텐츠가 조회수 100만뷰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100만뷰를 돌파한 콘텐츠는 세종사이버대 유튜버학과 학과장 박성배
-
[중앙 시조 백일장-5월 수상작] 바닷길 재단사
━ 장원 바닷길 재단사 한승남 바닷길과 맞대어져 항구의 사연 깁는다 양복점 라사 거리 바다 향기 품을 때 옷감에 파도 떠다니듯 스쳐 가는 가윗날 조각난 해풍은 수습
-
세상 곁으로 다가가는 ‘소설 버스’ 다함께 타보세요
━ 이현석의 ‘소설의 곁’ 소설의 곁 오랜만에 대구 본가에 갔다가 뜻밖의 소식을 접했다. 졸고 ‘라이파이’(『다른 세계에서도』, 자음과모음, 2021)에 등장하는 고집불통
-
“유리 잔도 걷듯 온 길, 진정한 시조인 될 것”
왼쪽부터 염창권 심사위원, 최훈 중앙일보 주필, 중앙신춘시조상 김현장, 중앙시조대상 정혜숙, 중앙시조신인상 박화남, 박명숙 심사위원, 이정환 한국시조시인협회 이사장. 권혁재 사진
-
“유리 위 걷듯 지나온 길…정형의 그릇에 무한한 이야기 담겠다”
지난 16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중앙일보 사옥에서 제41회 중앙시조대상·신인상, 제33회 중앙신춘시조상 시상식이 열렸다. 왼쪽부터 염창권 심사위원, 최훈 중앙일보 주필, 중앙신춘
-
[제41회 중앙시조대상] 수로왕릉의 가을…망한 왕조 쓸쓸함과 고즈넉함 담아
정혜숙 시인은 “이제야 시조 쓰는 사람으로 인정받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국내 시조문학상 가운데 최고 권위로 꼽히는 중앙시조대상 제41회 수상작에 정혜숙(
-
[제41회 중앙시조대상] 맨발로 걸어가도 괜찮다는 대답일까요
언제나 새로움을 앞에 두라는 한 시인의 문장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집 앞에 느티나무 앙상해지면 어떤 빛깔로도 익숙해질 줄 알았는데 시 앞에 서면 여전히 막막해집니다. 아무것도
-
"둥근 능이 머금은 세월의 깊이…하고픈 말 많아 고뇌했죠"
지난 6일 서울 상암동 중앙일보에서 만난 제41회 중앙시조대상 수상자 정혜숙(65) 시인은 "이제야 정말 시조 쓰는 사람으로 인정 받은 기분이다. 엄청난 무게감을 느낀다"고 말했
-
"언제나 새로움을 앞에 두라는 한 시인의 문장을 간직"
━ ◇제41회 중앙시조신인상 맨발에게 -박화남 아내가 씻어준다는 남자의 낡은 두발 구두 속의 격식은 언제나 무거웠다 이제껏 바닥만 믿고 굳은살로 살았다 손처럼 쥘
-
[중앙 시조 백일장-11월 수상작] 섬세하게 포착한 인간의 삶, 자연의 숨소리
━ 장원 신도시 폐가 홍성철 무너진 지붕 한쪽 황톳빛 처연하다 셈평 펴인 주인은 도시 생활 흔전대고 쫓겨난 길고양이가 새끼 낳고 사는 곳 잡초 마당 한구석 널브러진
-
참사가 ‘남의 이야기’ 라고 침묵? ‘곁’이 되는 목소리 내야
━ 이현석의 ‘소설의 곁’ 그래픽=양유정 yang.yujeong@joongang.co.kr “어머니가 4월 7일 월요일에 돌아가셨다. 퐁투아즈 병원에서 운영하는 노인 요
-
국경없는 문화산업, 무분별한 인종 차별 콘텐트 삼가야
━ 이현석의 ‘소설의 곁’ 그래픽=양유정 yang.yujeong@joongang.co.kr 넷플릭스를 구독하지 않아 ‘수리남’을 시청하지는 못했다. 그래도 이 드라마가 세
-
[중앙 시조 백일장-9월 수상작] 당장 튀어나올 듯, 한편의 강렬한 이미지
━ 〈장원〉 능소화 이영미 숨 가쁜 자드락비 기왓장에 얹히고 짓무른 볕뉘 아래 담장 넘는 유혈목이 뱉어낸 내밀한 맹독 살갗 위로 퍼질 때 제 홀로 눈이 부셔 허공을
-
[삶과 추억] 인간과 깨달음 화두 ‘만다라’의 아버지
2014년 자택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는 고 김성동 작가. 그는 당시 “(내 인생에서) 마지막 남은 게 글판”이라며 “성패는 아직 알 수 없으나 죽을 때까지 할 것이다”고 말했다
-
"죽을 때까지 읽고 쓸 것"이라던 그…'만다라' 김성동 작가 별세
소설가 김성동이 25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75세. 그는 청년시절 잠시 절에 들어가 승려가 되기 위해 수행을 했으나, 불가를 다룬 등단 소설 '목탁조'가 불교를 비방했다는 이유
-
의료현장 ‘태움 문화’…방관자 상처까지 보듬다
“(...) 가혹한 언어의 세례를 듣고 나면 태경 또한 펄펄 끓는 물에 덴 것처럼 몸서리가 쳐졌다. 그것은 고문 이었다. 사람을 영혼을 파괴하는 고문이었다. 제아무리 무딘 사람이
-
"의료 현장의 태움 문화, 플랫폼 노동으로도 확산된다"
의료현장의 지옥 같은 태움 문화와 해양 스포츠 서핑을 곁들인 장편소설 『덕다이브』를 펴낸 의사 겸 소설가 이현석.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좋은 소설은 네다섯 시간의 몰입을 너끈히
-
[중앙 시조 백일장-8월 수상작] 마스크로 얼굴 가린 지금은 ‘눈빛의 시대’
━ 장원 마스크로 얼굴 가린 지금은 ‘눈빛의 시대’ 눈빛의 시대 정병삼 온전한 얼굴은 이곳에선 금물입니다 지금은 눈빛의 시대 서로를 살피세요 불신이 팽배하군요 입을 가
-
‘탈석탄’ 탓 생계 잃은 탄광촌·발전소 주민들 배려해야
━ 이현석의 ‘소설의 곁’ 이현석 칼럼 광물자원통계포털 기준 현재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탄광은 네 곳이다. 탄광업은 역사 속으로 사라져가는 중이지만 일터의 위험인자인 탄분진
-
직업병 의심 노동자들의 “내 몸이 증거” 외침에 응답해야
━ 이현석의 ‘소설의 곁’ 이현석 칼럼 임솔아의 단편 ‘초파리 돌보기’(『아무것도 아니라고 잘라 말하기』, 문학과 지성사, 2021)는 “이원영은 초파리를 좋아했다”라는
-
세종사이버대 문예창작학과, 시인 김상혁의 온라인 창작 클래스 ‘세작교’ 2기 진행
국내 사이버대학 중 최고의 창작기지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가지고 인문적 소양과 예술적 안목, 개성적 문체를 가진 전문 작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세종사이버대학교(총장 신구)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