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킹]비빔밥과 불고기에 이은, K-푸드 2.0의 주역 ‘떡볶이・치킨・라면’
우리는 왜 분식을 좋아할까. 일단 빠르다. 종류도 다양하다. 떡볶이・치킨・라면・김밥・핫도그 등 간식으로 더할 나위 없으며 끼니로도 손색없다. 중독성 있는 맛도 빼놓을 수 없다.
-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팬더믹과 사라진 중국 생선회
사진 셔터스톡 동북아시아의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한국 및 일본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생선회를 즐겨 먹지 않는다. 한여름에도 끓인 차를 마실 만큼 찬 음식을 거부하는 중국인이니
-
[쿠킹&푸드] 떡볶이부터 라면까지 한국식 ‘단짠’ 매력 세계인의 입맛 홀리다
불고기·비빔밥에 이어 새롭게 떠오른 ‘K-푸드 2.0 분식’ 해외 한류 조사서‘음식’이 최고점 작년 농수산식품 수출 사상 최대 미국 내 떡볶이 전문점이 생기고 글로벌 시장
-
전갱이떼가 몸 휘감고, 머리 위엔 고래상어 노닐었다
태국 코타오의 대표적인 다이브 사이트 ‘춤폰 피너클’에서 만난 전갱이 떼. 코로나가 점령했던 시절, 제일 갑갑했을 사람은 아마 다이버였을 테다. 화려한 산호를 보기 위해, 고래상
-
[제약&바이오] K바이오 첨단 핵심 기술 확보 글로벌 초격차 경쟁서 약진
세계로 진격하는 바이오헬스 K바이오가 새로운 성장을 주도한다. 지속적 금리 인상 여파에도 제약·바이오 산업은 디지털 헬스,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의료 인공지능(AI)
-
中 직장인, 점심으로 중식 대신 맥도날드 먹는 이유?
사진 셔터스톡 최근 중국의 젊은 직장인들이 점심시간마다 자발적으로 ‘패스트푸드’를 찾고 있다는 소식이다. 중국인들은 찬물도 건강에 안 좋다고 안 마실 정도로 건강을 중시하는 것으
-
이게 '백수의 왕'이라니…뼈만 남아 비틀대는 사자에 中 발칵
중국의 한 동물원에서 뼈만 앙상하게 남은 사자의 모습이 포착됐다. 사진 데일리 메일 캡처 중국의 한 동물원에서 뼈만 앙상하게 남은 사자의 모습이 포착됐다. 19일(현지시간)
-
“3월인데 마음은 여전히 겨울”…요원한 이태원의 봄
“손님이 조금씩 늘어나는 거 같은데 매출은 여전히 들쭉날쭉합니다. 봄이 왔어도 마음은 겨울이에요.”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세계음식문화거리 일대에서 지난 16일 만난 김모씨가
-
전단지 돌리던 위구르족 부부, 서울대∙성균관대 의학박사 됐다
■ 「 “나라의 사귐은 국민 간의 친함에 있다(國之交在於民相親)”한중이 또 다른 30년을 여는 첫해 2023년을 맞아‘이사 갈 수 없는 영원한 이웃’ 중국에서 건너와한국에 자
-
선수 몸값 뛰었는데 실력은 떨어져…‘거품 덩어리’ K야구
━ 한국야구 왜 퇴보하나 WBC 1라운드 탈락이 확정된 뒤 13일 열린 중국전에서 22-2, 5회 콜드게임승을 거둔 한국 야구 대표선수들이 관중에게 인사하고 있다. [뉴시
-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마라탕과 불로장생 환상
마라탕. 셔터스톡 최근 수년간 우리나라에서 핫(hot)하게 유행했던 중국 음식 중 하나가 마라탕이다. 정확하게는 마라탕을 비롯해 충칭훠궈, 마라샹궈, 마라룽샤 등 마라 소스를 사
-
"첫 단추 잘 꿰었으니 완급 조절하며 여론 설득해야"[장세정의 직격인터뷰]
장세정 논설위원 도쿄에 벚꽃이 핀 16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한민국 정상으로는 12년 만에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한·일 관계의 새로운 출발
-
尹 "한일관계 정상화, 공동이익"…요미우리 9개면 털어 인터뷰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번 정상회담이 "한·일 관계의 큰 진전이자 성과"라며 "양국 관계 정상화는 두 나라 공통의
-
첫 여성 北유엔 인권특별보고관 “北서 하루 세 끼는 사치..여성 인권 취약”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AP=연합뉴스 유엔의 첫 여성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으로 지난해 임명된 엘리자베스 살몬(57) 특별보고관이 최근 보고서를 내고 “북한의 여성
-
350억→3조 불린 리틀 버핏…‘부리토’ 회사는 왜 자꾸 사? 유료 전용
코로나19 초창기인 2020년 3월, 한 달도 안 되는 기간 100배의 수익을 낸 투자자가 있습니다. 투자 이익 규모도 상당합니다. 2700만 달러(350억원)를 투자해 26
-
학생식당엔 어르신 가득 "방학인 줄"…지방대 신입생 멸종위기
올해 1학기 개학 후 첫 번째 월요일이었던 지난 6일 오후 2시쯤 경북의 4년제 사립대학인 A대학 열람실이 불 꺼진 채 텅 비어 있었다. 이후연 기자 “개강했어요? 아직 방학인
-
로봇, 그게 돈이 되냐고? 이재용도 끌린 미래 세계 유료 전용
Today’s Topic, 로봇, 그기 돈이 됩니까 언제적 로봇인가 싶은데, 언젠가부터 기업들이 다시 로봇을 외친다. 2017년부터 로봇 기업을 하나씩 사들인 LG전자에
-
"세계 7번째 보유국 될 듯" 베일 벗는 '핵잠'…호주 넘어야 할 산
지난해 5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쿼드 정상회의에서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를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 2021년 만들어진 미국
-
[중국구이저우통신] 더 이상 황무지 아니다, 고고학계 ‘왕훙’된 구이저우
중국 구이저우는 더 이상 작은 규모의 고고학 유적 지역이 아니다. 지난 10년 동안 구이저우는 중국 고고학 관련 종목으로 그랜드슬램을 달성했으며 세계 10대 고고학 신(新)발견을
-
'8학군 아빠' 된 육아고수 중국남자…중대 연영과 출신, 쟈오리징 [사공관숙의 한국 속 중국]
■ 「 “나라의 사귐은 국민 간의 친함에 있다(國之交在於民相親)”한중이 또 다른 30년을 여는 첫해 2023년을 맞아‘이사 갈 수 없는 영원한 이웃’ 중국에서 건너와 한국에
-
“술까지는 봐줄게” 경영난에 하이디라오가 꺼내든 카드, 무엇?
중국 하이디라오 매장. 사진 시나닷컴 중국의 훠궈 프랜차이즈 하이디라오(海底撈)가 고객들의 외부 식재료 반입을 금지한다는 소식이 중국 SNS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중국 네티즌
-
코리 리 “한식, 파인 다이닝 그 이상이 될 것”
■ 「 지난해 말 전 세계 미식의 중심지인 미국 뉴욕에서 한국 레스토랑 10곳이 미쉐린(미슐랭) 가이드로부터 ‘스타(별)’를 받는 등 한식의 약진이 눈에 띈다. 중앙일보는 지
-
정명석 실체 알린 교수 "이런 간판, 100% JMS…조심하라"
기독교복음선교회(JMS) 교주 정명석(78) 씨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다룬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 예고편 캡처. 사진 넷플릭스 기독교
-
골목길에 '하얀 액체' 뿌렸다…이슬람사원 CCTV속 수상한 장면
누군가 냄비로 액체를 골목길 바닥에 뿌리는 장면. 사진 무아즈 라자크 페이스북 캡처 이슬람사원 건립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누군가 대구 북구 대현동 사원 공사장 앞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