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승중의 아메리카 편지] 술
김승중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 인류는 머나먼 옛날부터 술을 즐겨 마셨다. 토론토대가 고고학 발굴 중인 흑해 지역 조지아(그루지야)에서 기원전 4000년 신석기 시대의 포도주 양조
-
"서구사회에 없는 답, 한국에 있다" 사회학계 원로가 파고든 것 [백성호의 현문우답]
백성호 종교전문기자 “지금은 위기의 시대다. 선비문화에 그 대안이 있다.” 8일 서울 서초구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서울대 김경동(87) 명예교수를 만났다. 그는 한국 사회학계
-
[문광 스님의 글빛 다실] 진관사 태극기 미스터리
문광 스님·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삼일절을 맞아 서울 진관사에서 강연 요청이 있었다. 주제는 백초월(白初月, 1878~1944) 스님과 진관사 태극기에 관한 것이었다. 이
-
제자만 1만 명…'당대 최고의 주역가' 대산 김석진 옹 별세
‘당대 제일의 주역가’로 꼽히던 대산(大山) 김석진 옹이 15일 분당제생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5세. 김 옹은 1928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났다. 조부 김병철에게
-
[주역세상](54) 본분, 선 넘기
여지없다. 일요일 광화문은 시위대 세상이다. 한쪽은 '윤석열 탄핵', 다른 한쪽은 '이재명 구속'이라는 팻말을 들고 악을 써댄다. 그 옆에는 '노동 탄압'을 규탄하는 시위도 열린
-
놀란 주역 대가 "굉장한 괘 나왔다, 장부냐 소인이냐 택해야" [백성호의 현문우답]
백성호 종교전문기자 “올해는 세계적으로 큰 변화가 있는 해다.” 대산(大山) 김석진 옹은 올해 96세다. 야산(也山) 이달(李達ㆍ1889~1958)의 수제자인 그는 ‘주
-
[주역 세상](53)'뻣뻣한 리더십으로는 무엇도 이룰 수 없다'
군대 간 아들이 휴가 나왔다. 밥상을 사이에 두고 어머니와 정담을 나눈다. "우리 사단장 정말 존경할만한 분이에요. 얼마 전 제 몸에 종기가 났어요. 사단장님이 지나가다 보시
-
[주역 세상](52) "칼과 도끼는 악순환만 부를 뿐…"
정권이 바뀌면 여지없이 시작되는 게 적폐청산이다. 사정의 칼날이 번뜩인다. 이번 정권도, 전 정권도, 그 앞 정권도 그랬다. 되풀이되고, 또 되풀이된다. "저 악의 세력을 다
-
[주역 세상](51) "감옥을 이용하라!"
악이 쌓여 숨길 수 없고, 죄가 크니 용서할 수 없는 자다.惡積而不可掩, 罪大而不可解者也 주역 계사전에 나오는 문장이다. 그 자(者)는 이 말에 가슴이 뜨끔할 것이다. 온갖
-
[주역 세상](49) 3000년 전 섹스는 어땠을까?
도대체 저곳에서는 뭘 팔까…? 그곳을 지나면 항상 드는 생각이다. 시내 뒷골목 2층에, 국도 길가에 가끔 보이는 성인용품 가게다. '언젠가 꼭 한 번 들러 봐야지...' 하면
-
[주역 세상](48) 감동없는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
정치 얘기다. 기대가 컸던 걸까, 실망도 크다. 많은 이들이 돌아앉는다. 민심은 무겁게 가라앉았다. '집권 초기인데 돌아가는 꼴은 말기 증상'이라는 말이 나온다. 왜 이런 일
-
[주역세상] (47) '쓰레기 분리 배출, 까다롭게 해야 할 이유
거의 매주 티격태격이다. 필자는 대충하자고 하고, 아내는 하나하나 꼼꼼하게 구분해서 배출해야 한다고 말한다. 주례 행사인 일요일 쓰레기 분리 배출 얘기다. 아내를 이길 수 없
-
[주역세상](46) "당신은 어떤 CEO 입니까?"
6년이다. 작은 회사 대표로 일한 기간이다. 임기를 두 번 연장했다. 평생 글만 써온 필자에게는 새로운 도전이자 경험이었다. 은퇴를 앞둔 시간, '나는 괜찮은 CEO였나?'라는
-
[주역세상](45) '정적을 포용하고, 파벌을 깨라!'
#1. 경복궁에 교태전(交泰殿)이라는 이름의 궁전이 있다. 왕비가 머물던 곳이다. 사귄다는 뜻의 '交(교)'와 크다는 의미를 가진 '태(泰)'의 조합. 둘이 어울려 만들어지는 사
-
도올 김용옥 "대선때 주역 오해 생겨…점쟁이·사주 상관 없다" [백성호의 현문우답]
━ 주역강해서 낸 도올 김용옥 백성호 종교전문기자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도올 김용옥(74) 선생을 만났다. 그는 최근 『도올주역강해』(통나무출판사)라는 두툼
-
[주역 세상](44) '윤석열과 이준석, 최고의 앙상블?'
똑똑했다. 누구보다 기사 쓰는 게 빨랐고, 잘 썼다. 제목을 뽑는 것도 최고였다. 외모도 깔끔했고, 멋졌다. 후배 L기자 얘기다. 한가지 흠이 있었다. 윗사람이 보기에 '싸가
-
[주역 세상](43) 어리석은 군주의 시기, 현명한 신하의 처세는?
옛날얘기다. 3000년쯤 전, 중국 중원(中原)에서 벌어진 일이다. 주역의 탄생과도 관련된 이야기다. 재밌다. 함께 읽어보자. 당시 대륙 중원을 다스리는 왕조는 상(商)
-
[주역세상](42) '슬기로운 직장생활'의 조건
33년이다. 1989년 대학 졸업 직전 첫 출근을 했으니 33년여 직장생활을 했다. 퇴직이 코 앞이다. 같은 연배의 보통 남성들이 대략 30~35년 정도 직장 생활한다는 걸 고려
-
[주역 세상](41) "월클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욕심 날만도 했다. 고향 춘천에 아들 이름의 거리가 조성된다니 말이다. '손흥민 거리(路)'. 그러나 아버지는 단호하게 거절했다. "하지 마세요. 은퇴하면 누가 그 이름이나
-
[주역으로 본세상](40) 나는 왜 아직도 '낄끼빠빠'가 안 될까?
세상 모든 일 '타이밍(timing)'이다. 시의적절 행동해야 '매너 있다'라는 말을 듣는다. 그렇지 않으면 '무례하다', '푼수 같다'라는 뒷말이 돈다. 심하면 주변으로부터 따
-
[주본세](39) 주역의 경고, "팬덤을 깨라!"
위기 아닌 적이 없었다. 그렇다고 해도, 지금은 정말 위기다. 물가 폭등은 서민 생활을 위협하고, 금리 인상은 신혼 영끌족의 영혼을 갉는다. 인구 절벽, 연금 고갈은 공포다. 미
-
[주역 세상](38) 누리호의 장대한 성공, 장렬한 실패 안되려면
장쾌(壯快)했다. 거대한 불기둥이 하늘로 솟구쳤다. 우렁찬 발사음은 땅을 진동했고, 대기를 갈랐다. 몸체에 '대한민국'을 새긴 누리호는 한국을 세계 7대 우주 강국 반열에 올
-
[주역으로 본 세상](37) 50대의 끝자락에 나의 천명을 묻다
올해 60, 내년이면 환갑이다. 알듯 모르겠다. '지천명(知天命)'을 넘어 '이순(耳順)'의 나이로 접어들건만 삶은 어떠해야 했고, 어떠해야 하는지 뚜렷하지 않다. 공자
-
'의식있는 치과의사' 변신…성공한 도지사가 되기 위한 '이것'
"리모델링에 8000만원이나 드는 도지사 관사에 들어가지 않기로 했습니다. 할 수만 있다면 이런 예산을 젊은이들을 키우는 데 한 푼이라도 더 쓰고 싶습니다." 김영환 충청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