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7도 열탕’ 된 남해…물고기만 떼죽음? 인간도 위험한 이유
지난달 31일 찾은 경남 사천시 서포면의 한 가두리 양식장. 축구장 세개 정도 넓이의 양식장 해수면 곳곳에서 뽀글뽀글 기포가 올라왔다. 양식장 어민들이 산소공급기로 만든 산소였다
-
[시선2035] 긴급의 시대
박태인 정치부 기자 폭락과 폭등에만 민감히 반응해서일까. 종말과 붕괴라는 섬뜩한 단어가 국회 토론회서 나오고 국무총리의 긴급지시가 쏟아져도 모두가 어제와 똑같은 일상을 반복하고
-
유희동 기상청장의 경고 "韓, 지구평균보다 3배 빠른 온도 상승"
유희동 기상청장이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회 국가현안 대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기상청 유희동 기상청장이 최근 100년 사이 한반도의 급속한 기후 변화를
-
경희사이버대학교 조천호 교수, 기후 위기 강연 공개
경희사이버대학교(총장 변창구)는 기후 변화를 다룬 조천호 기후변화 특임교수의 강연 영상 10편을 유튜브 채널과 대학 홈페이지에 공개한다고 1일 밝혔다. 조천호 교수는 제1대
-
대홍수 1년뒤 말라버린 강…지구가 미쳤다, 더 빨라진 기후재앙
최근 독일에서는 오랜 가뭄으로 라인 강이 말라버렸다. 석탄을 운송하기 어려워지면서 일부 석탄화력발전소는 발전량을 줄여야 하는 처지가 됐다. 하지만 불과 1년 전인 지난해 7월 독
-
기후변화시대, 우리의 생존은 어떻게 가능할까?
경희학원이 오는 11월 26일(금) 16시부터 17시 20분까지 ‘제40회 세계평화의 날 기념 Peace BAR Festival 2021(이하 PBF 2021)’의 일환으로
-
외계 지적 생명체의 태양계 방문 지구(인)의 정체와 운명은 다시 쓰여질 것인가?
학교법인 경희학원이 10월 29일(금) 10시 30분부터 11시 50분까지 ‘제40회 세계평화의 날 기념 Peace BAR Festival 2021(이하 PBF 2021)’의 일
-
“인류는 똑똑해졌지만, 현명해지진 못했다”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는 라틴어로 ‘슬기로운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우리 인류는 자신에게 슬기롭다는 이름을 붙인 오만함 때문인지 생존을 위협하는
-
[장은수의 퍼스펙티브] 고장난 공기 체제 못 고치면 ‘거주 불능 지구’ 된다
━ 탄소 문명은 질식 중 Earth destroyed by pollution. Global catastrophe concept. [Shutterstock] 인류를 포함한
-
지금 당장 육식 줄여야 지구가 숨쉰다
우리가 날씨다 우리가 날씨다 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송은주 옮김 민음사 기후정의선언 우리 모두의 일 지음 이세진 옮김 조천호 보론 마농지 우리는 기후변화를 두려워한다.
-
기온 0.5도 오르면 난민 1억…한국이 첫 위기국 될 가능성
━ #이번 비의 이름은 장마가 아니라 기후위기 조천호 교수가 푸른 지구와 뜨거워진 지구 사이에 섰다. 붉은색은 온실가스가 저감되지 않을 경우 2100년 지구의 평균기온을
-
1년 내린 비, 28%만 활용…한번 쓴 물 걸러 화장실에 재활용을
경기도와 충남 등 중부지방이 극심한 가뭄을 겪던 지난 2017년 5월 충남 보령댐의 저수율이 댐 준공 이후 최저치인 10.1%까지 떨어지면서 댐 상류가 바닥을 드러냈다. 중앙포토
-
경희사이버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미래교육’ 토크 콘서트
[경희사이버대는 오는 7월 11일 토크콘서트를 개최한다.] 경희사이버대학교(총장 변창구)는 오는 7월 11일(토)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포스트코로나 시대 온라인 미래교육’
-
[소년중앙] "기후위기로 아픈 지구에 내 미래 없다…우리가 살아갈 지구 우리가 지키자"
왼쪽부터 백서정 학생모델, 장희우·박윤정·김가영 학생기자. “우리는 멸종위기종입니다!” 인간들을 향해 호소하는 절규가 울려 퍼집니다. 이 소리의 주인공은 누구일까요. 빙하가
-
"왜 생수 마셔요?" 수돗물 권하는 코펜하겐 사람들
━ [더,오래] 강하라·심채윤의 비건 라이프(11) 음식마다 칼로리를 확인하며 먹는 시대에서, 탄소 배출량을 생각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칼로리 확인이 ‘나’를 위한 것
-
“2020년까지 안 바꾸면 큰 재앙” PBF 2019
재난영화 '투모로우'는 기후변화의 위기를 담고 있다. [영화 캡처] ━ “미래세대의 미래는 있는가?” 1970년 12월31일이었던 생태환경 초과일이 올해는
-
설마했죠? 과한 육식 섭취도 기후변화 원인이란 사실
━ [더,오래] 강하라·심채윤의 비건라이프(8) 마우이 남쪽에 위치한 Wedding beach, 에메랄드빛 바닷속에서 거북을 만날 수 있다. 다양한 생명이 공존하는 삶이란
-
어른이 아이의 미래를 훔친다 "100년후 대재앙"
━ “2020년 기후변화 경로 안 바꾸면 대재앙” 급격한 해빙은 해수면을 상승시켜 많은 도시들을 집어삼킬 수 있다. [사진 영화 투모로우] 올여름 전 세계는 이상기후로 열
-
[마이 베스트] 기후변화 대처, 단호·섬세하게
중앙일보와 교보문고가 최근 출간된 신간 중 여섯 권의 책을 ‘마이 베스트’로 선정했습니다. 콘텐트 완성도와 사회적 영향력, 판매 부수 등을 두루 고려해 뽑은 ‘이달의 추천 도서’
-
[책꽂이] 나는 정신병에 걸린 뇌 과학자입니다 外
나는 정신병에 걸린 뇌 과학자입니다 나는 정신병에 걸린 뇌 과학자입니다(바버라 립스카·일레인 맥아들 지음, 정지인 옮김, 심심)=정신병에 걸렸다가 정상을 회복한 뇌과학자의 이야기
-
[시론] 여름의 폭염은 우연이 아닌 일상이 되고 있다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 기록이 한 번 깨지면 우연이다. 두 번째 깨지면 우연의 반복이다. 세 번째 깨지면 추세가 된다. 매년 깨지면 변화가 된다. 전 지구의 연 평균 기온
-
달 없었다면 지구 자전축 들쭉날쭉 … 인류도 없었다
━ [기후변화 리포트] 우연과 필연 사이 지난해 12월 3일 남아 공 수도 케이프타운의 테이블마운틴 국립공원 위에 뜬 수퍼문. 달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자전축의 기울기
-
소빙하기 이누이트는 적응 … 목축 고집한 바이킹은 소멸
━ [기후변화 리포트] 그린란드서 명암 갈린 두 종족 450년 가까이 그린란드에 살았던 바이킹은 소빙하기를 못 견뎌 15세기 초 소멸됐다. 그린란드 일루리삿 빙하, 그린란
-
무임승차국이 강제승차국보다 돈 더 내는 게 정의
━ [기후변화 리포트] 온실가스 비용 부담의 원칙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태평양과 인도양의 가난한 섬나라들이 지도상에서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사진은 중부 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