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을 자유" 도심 한복판 시식도…복날 전국 달군 개고기 논란
2021년 9월 대구 칠성시장 골목 안 보신탕 식당에서 식사를 마친 시민들이 이야기 나누고 있다. 뉴스1 초복 날인 11일 ‘개고기 논란’이 전국을 달구고 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
[분수대] 과거와 입시제도
조현숙 경제부 기자 과거시험이라고 하면 어떤 풍경이 떠오르나. 너른 궁궐 돌마당(조정)에 한 명씩 얌전히 줄 맞춰 앉아 정성스레 답지를 써내려가는 유생들 모습이 보통 생각날 거다
-
서귀포 술집서 대접받는 법…주문 때 “노지 껄로 줍서!” 유료 전용
살면서 국어 교과서에 나온 지문 조금 읽었을 뿐인데 원작 다 읽은 것처럼 얼렁뚱땅 넘어간다거나, 맛보기 영화 프로그램 주섬주섬 보고 나서 전편 다 봤다고 착각할 때가 있다. 겉모
-
[속보] 차세대소형위성2호, 새벽 대전과 7차례 교신 등 모두 정상
전날 통신문제로 중단됐던 한국형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5일 오후 6시 24분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비상했다. 누리호 관련 뉴스를 실시간 업데이트한다. 2023.
-
탕평정치가 잉태한 심청전·춘향전, 새로운 역사 신호였다
━ [근현대사 특강] 근대의 여명 〈중〉 ‘열녀춘향수절가’ 경판본, 한글박물관 소장본. 민간 출판이란 뜻으로 방각본이라고도 한다. [사진 한글박물관] 심청전과 춘향전은 조
-
[포토타임]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2023 부산슈퍼컵 국제요트대회' 개막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2023.04.28 오후 4:00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202
-
김정은 "계획대로 발사하라"…尹·바이든 정상회담 맞춰 쏘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사정찰위성을 "계획된 시일 내에 발사하라"고 지시했다. 김 위원장이 밝혔던 발사 시한은 '4월 내'였다. 노동신문은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
[이번 주 리뷰]황사의 기습,북한의 도발...학폭은 5수까지 불이익(10~15일)
4월 둘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美, 감청 파장 #KBS TV 수신료 #유아교육발전 기본계획 #中,대만 동부 방공식별구 첫 침범 #마약범죄 #예타 완화 #北, ICBM 도발 #
-
조선시대 승려들 '생계형 버스킹'…기녀 무리 마주친 그 순간
좁은 산길에서 승려 무리와 기녀 무리가 마주쳤다. 승려들은 북과 꽹과리를 두드리며 지나가는 기녀들을 흘긋 쳐다본다. 시주를 권하며 허리를 굽히는 승려도 보인다. 기녀들은 머
-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팬더믹과 사라진 중국 생선회
사진 셔터스톡 동북아시아의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한국 및 일본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생선회를 즐겨 먹지 않는다. 한여름에도 끓인 차를 마실 만큼 찬 음식을 거부하는 중국인이니
-
'진품명품' 최고가 15억 찍었던 작품…'석천한유도' 경매 나온다
김희겸, 석천한유도 石泉閒遊圖), 88.5x123.9cm, 1748. [사진 서울옥션] '석천한유도' 속 무신 전일상 초상 확대 이미지. [사진 서울옥션] 풍속화인가, 초상화
-
[윤덕노의 식탁 위 중국] 춘권(春卷), 봄을 돌돌 말아 먹은 뜻은?
사진 셔터스톡 봄을 돌돌 말아서 와사삭 베어 먹는 낭만적 음식이 춘권이다. 한자로는 봄 춘(春), 말 권(卷)을 쓰니 문자 그대로 봄을 말았다는 뜻이다. 미국 유럽에서도 즐겨 먹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최제우의 깨달음…여종 둘을 수양딸과 며느리로
━ 동학, 새로운 여명 오항녕 전주대 사학과(대학원) 교수 지금도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는 19세기 조선 말기를 세도정치와 삼정의 문란으로 특징지으며 민생은 피폐해지고
-
17세기 네덜란드 풍속화 속 와인잔, 부유함·유혹의 상징
━ 와글와글 화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작품. ‘신사와 와인 마시는 여인’(1660)에서 와인 잔은 유혹과 부유함의 메타포로 묘사돼 있다. [사진 베를린 국립회화관] 히딩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우물과 불씨 끊는다” 규약 어기면 마을서 쫓겨나
━ 농촌 마을은 어떻게 운영됐나 오항녕 전주대 사학과(대학원) 교수 과거의 마을에 대해 낭만적인 감정이 있다. 포도, 사과, 닭서리까지 범죄가 아니었던 그때, 할머니 할아
-
한마리에 130만원…잡히면 버린다던 이 생선 몸값 치솟았다
과거 흑산도산 홍어의 집산지였던 전남 나주 영산포 ‘홍어의 거리’. 1970년대 영산강 하구언 공사로 바닷길이 막히기 전까지 홍어가 육지로 유통되는 관문 역할을 했다. “
-
전라도만? 이젠 전국서 즐긴다...8㎏ 100만원 '삭힘의 미학' [e슐랭 토크]
━ “수리남 속 하정우와 닮은 홍어장수 문순득” “서… 섬이다!” 지난 2일 오후 6시쯤 전남 신안군 ‘1004(천사) 뮤지엄파크’. 무대에 오른 남성 3명이 서로 웃옷을
-
세종, 농업 부흥·민생 안정 위해 독자 달력·시계 만들어
━ 인문학자의 과학 탐미 세종 때 제작된 천문기구(위부터 혼천의, 측우기, 앙부일구) [중앙포토]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2019년, 허진호 감독)의 타이틀 시퀀스
-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강윤주 교수, 국립중앙박물관 프로젝트 ‘대박쌈박! 국중박’ 총괄기획
경희사이버대학교(총장 변창구) 문화예술경영학과 강윤주 교수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오는 9월 21일(수)부터 10월 29일(토)까지 진행하는 ‘대박쌈박! 국중박’ 프로젝트의 총괄기획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삶의 중심은 동네, 하지만 한 곳에 붙어살진 않았다
━ 얼마나 자주 옮겨 살았나 오항녕 전주대 사학과(대학원) 교수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80장에 보면 “나라를 작게 하고 백성을 줄여라. 백성들이 죽음을 소중히
-
붉은 천일홍이 넘실…멀리 갈 것 없다, 이틀 남은 연휴 가볼 곳
나흘간의 추석 연휴 중 절반이 지났다. 차례 지내고 성묘도 갔다 왔으니 오늘과 내일은 놀러 갈 시간이다. 휴일이 이틀밖에 안 남아 멀리 가지는 못 하겠고, 나들이 삼아 가볍게 다
-
[유홍준의 문화의 창] 전국의 근·현대거리와 서울 성북동
유홍준 본사 칼럼니스트·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올해는 추석이 유난히 일찍 들어서서 가을을 맞이하는 차비가 사람을 바쁘게 한다. 그중 가장 분주하게 가을
-
일제, 아편 흡입 방치 악독한 정책…만주국 셋 중 한 명 중독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41) 만주국 산업부 차장 시절의 기시 노부스케와 관동군 참모장 도죠 히데키. 1937년 봄, 만주국 수도 신징의 관동군 사령
-
[오항녕의 조선, 문명으로 읽다] 벼·보리는 기본, 모밀·수박·담배 등 40여 종 키워
━ 19세기 예천 농부 박득녕의 365일 오항녕 전주대 사학과(대학원) 교수 어릴 적 내가 자란 시골 외갓집의 여름 밥상은 으레 다음과 같았다. 감자와 풋고추, 우렁이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