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하이엔드] 보테가 베네타와 날아 올랐다...강서경의 '버들 북 꾀꼬리’
한국화에서 현실 세계로 튀어나온 듯한 가을의 ‘산’, 세상의 모든 소리를 흡수해버릴 것 같은 커다란 ‘귀’, 화문석과 철재로 만들어진 ‘자리’. 넓은 공간을 가득 채운 설치 작품
-
구찌도 홀린 경복궁의 밤, 원조는 고종의 ‘건달불’ 유료 전용
■ 더 헤리티지: 알면 더 보인다…‘볼수록 보물’을 만나다 「 진귀한 문화재일수록 구구절절 얽힌 사연이 많습니다. 그 의미와 멋을 오늘날의 시각에서 포착해 세대를 잇는 유
-
[포토타임]코스모스와 함께 가을 마중…21일까지 최대 150mm 가을비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2023.09.19 오후 2:30 코스모스와 함께 가을 마중…21일까지 최대 15
-
진홍빛 때깔 곱다, 고와…RM의 1억으로 되살린 조선왕실 ‘웨딩드레스’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활옷 만개 ... ’. 미국 시카고의 필드 박물관이 독일 수집가 움라우프에게 1899년 구입한 소장 활옷 등이 전시됐다. [뉴스1] 진홍색 비단에 모란·연
-
BTS RM이 기부한 1억 덕분에…'조선 웨딩드레스' 되살렸다
13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활옷 만개' 특별전 언론 공개회에서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소장 활옷이 선보이고 있다. BTS RM이 쾌척한 1억원에
-
文과 조깅하던 盧 한마디에…靑 미남불 110년 비밀 풀렸다 유료 전용
■ 더 헤리티지: 알면 더 보인다…‘볼수록 보물’을 만나다 「 진귀한 문화재일수록 구구절절 얽힌 사연이 많습니다. 그 의미와 멋을 오늘날의 시각에서 포착해 세대를 잇는 유산(헤
-
[노트북을 열며] 이건희 컬렉션서 나온 광화문 월대 ‘퍼즐’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이건희 회장은 이게 광화문 월대(月臺)에서 나온 거란 걸 알았을까?” 지난달 이 회장 유족 측이 1920년대 사라진 서수상(瑞獸像) 두 점을 국가에 기증
-
[더 하이엔드] 프리즈 맞아 샤넬·프라다·디올 출격...예술과 패션의 흥겨운 만남
이제는 ‘마케팅’이라고 부르지 말자. 예술과 패션의 만남 얘기다. 그동안 패션 브랜드의 예술 분야 협업 앞에는 늘 ‘팔기 위한 것’이라는 단서가 붙었다. 이슈를 만들고, 비슷한
-
한국 찾은 최초 외과의가 반한 책상…80년만에 韓 돌아온 사연
80년만에 한국으로 돌아온 러들로 박사의 '반닫이' 책상. [사진 연세의료원] 한국에서 활동한 최초의 외과의사 알프레드 어빙 러들로(1875~1961년)가 사용했던 '반닫이' 책
-
8월 마지막 주, 늦더위에 지친 일상을 잊게 해줄 미술전시
8월 마지막 주, 늦더위에 지친 일상을 잊게 해줄 미술전시를 소개한다. 이번에 소개할 전시는 월드아트엑스포 2024, 우미애 작가의 개인전, 조경 작가의 초대전, 이준하 작가
-
“뿔 한개 달린 용이나 해치 얼굴”…광화문 지킴이 100년만에 찾다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선대 회장 유족 측이 최근 기증한 서수상(瑞獸像, 상상 속 상서로운 동물상) 2점의 정면 모습. 뿔이 한 개 달린 용이나 해치로 추정되는데 뿔은 당시 관
-
[더 하이엔드] 콩·팥·벌레까지...모욕당한 것들을 그리는 작가, 정정엽
멀리서 보니 달인데, 가까이서 보니 붉은 콩이 한 아름이다. 마치 축포가 터진 것처럼 화려한 무늬는 알록달록한 녹두와 완두, 붉은 팥의 조화다. 솜털 한 올 생생하게 표현된 기기
-
광화문 월대 마지막 퍼즐 찾았다…이건희 유족, 서수상 2점 기증
1920년대 일제가 훼손한 광화문 월대(月臺, 돌로 만든 궁궐 진입로) 복원의 마지막 퍼즐이라 할 석조각 2점이 100년 만에 돌아왔다. 한때 월대의 양쪽 난간 앞쪽에 자리했
-
[윤석만 논설위원이 간다] 아프리카 그린 동양 최고 세계지도, 파리·로마 정확 표기
━ 중화주의 오명 조선 ‘혼일강리도’ 재평가 움직임 윤석만 논설위원 1402년 조선이 만든 세계지도에 파리(法里·법리)와 로마(剌沒·라몰)가 정확히 표시돼 있다면 믿을 수
-
[더 하이엔드] 로제로 250만 조회 수 터졌다...글로벌 공략 작정한 91년산 한국 대표 명품
단지 오래된 것이 아니라, 현재까지 살아남아 잘 ‘팔리는’ 명품 브랜드는 필연적으로 시대에 맞춰 진화해왔다. 브랜드 정체성을 일관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늘 시시각각 변화해왔다는 얘
-
10배 넓어진 청주박물관…이건희 기증품으로 탄생한 야외석조정원
국립청주박물관이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기증품 가운데 조선·근대 석조 유물 210여점을 따로 분류·배치해 정원 전체를 석조 전시장처럼 꾸몄다. [연합뉴스] 모퉁이를 돌면 해사한
-
10배 넓어진 청주박물관…이건희 기증품이 바꾼 야외석조정원
국립청주박물관 정원을 수놓은 각양각색의 석조물들. 2021년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유족이 사회에 환원한 '이건희 컬렉션' 중 일부로 청주박물관이 유물 등록 및 보존처리를
-
[문소영의 문화가 암시하는 사회] 21세기에 웬 귀신? 당신의 불안한 마음이 괴물로 키운다
문소영 중앙SUNDAY 문화전문기자 무속과 민간신앙은 21세기 우리 곁에도 있다. 요즘 화제인 드라마 ‘악귀’에선 초자연적 판타지이면서 현실풍자 도구로, 최근 시즌3을 시작한 토
-
“일단 빚부터 내요, 미쳤죠” 45세 ‘청자 덕후’의 가불 인생 유료 전용
청자를 만난 후 나의 시간은 설렘으로 채워져 있었다. 이 정도면 사랑 고백이다. 그런데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라 고려 청자다. 푸른 빛을 띠는 자기 말이다. 삼성 창업주 이병철(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자아를 찾아 떠난다고? 딱딱하게 굳은 ‘나’부터 돌아보자
━ 여행을 떠나는 당신의 이유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1925년, 이광수는 ‘잊음의 나라로’라는 글에서 떠나는 청년의 입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아아 조선아!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한국에 온 ‘인디아나 존스’, 고려왕궁 만월대 지켜
━ 미국 고고학자 랭던 워너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할리우드 어드벤처 영화 ‘인디아나 존스’의 마지막 편이 최근 개봉했다. 인디아나 존스는 가장 대중적인 고고학자이지만
-
[이은주의 아트&디자인] 정상화, 바보스러움으로 도달한 경지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요즘 아무리 사진 기술이 좋아졌다고 하지만 미술 작품을 책으로 접하는 것과 전시장에서 실물을 직접 보는 것 사이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심지어 사진 작품도 그
-
올 상반기 미술품 경매 작년 동기 절반 수준…거래액 811억원
김환기 작가의 ‘북서풍’. 사진 호암미술관 미술시장 경기가 침체한 가운데 올 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거래 규모가 작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30일 한국미
-
문 열면 ‘백남준’이 맞는다, 서정기의 특별한 ‘남산 집’ 유료 전용
1980년대 후반, 뉴욕에서 유학 생활을 하던 그는 뉴욕한국문화원에서 한 전시를 보았다. 전시를 보기 위해 간 것도 아니었다. 같은 건물에 있던 한국영사관을 찾았다가 말 그대